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정성 원칙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고용·노동영역에서 형평·평등·필요의 원칙을 중심으로

        김혜원,손연우 한국공공사회학회 2023 공공사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고용·노동영역을 중심으로 형평, 평등, 필요의 원칙 중 어떠한 원칙을 선호하는지 검토하고, 공정성 원칙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취업기회 측면에서는 경력자 가산점 부여(형평), 지방대 가산점 부여(평등), 저소득층 가산점 부여(필요)에 대한 공정성 인식을 고려하였다. 직장생활 측면에서는 동일업무 수행 시 정당한 임금 차이를 위한 조건으로 업무 성과(형평), 성별(평등), 부양가족 수(필요)에 대한 공정성 인식을 측정하였다. 분석자료로는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에서 수행한 2022년 불평등·공정성 국민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치성향, 사회계층인식, 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고용상태, 소득수준 등에 따라 공정성 원칙의 선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영역에서 정책수요자들이 선호하는 공정성 원칙을 분석함으로써 공정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가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김혜원,이지연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5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late school-aged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anger contro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higher scores o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emotional clarity, increase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cores and higher levels of anger control were found. And emotional clarity had direct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addition,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direct effect on anger control. Second, emotional clarity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anger control.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anger control. Third,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had an effect on anger control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Discussion o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presented.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가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생 41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고,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며, 분노조절을 잘했다. 그리고 정서인식 명확성이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 및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각각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였다. 둘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는 분노조절에 직접 영향도 미치지만,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각각 부분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의 이중매개로도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부모의 성인애착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결혼불만족의 매개효과

        김혜원,유성경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1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dult attachment and behaviors. Data was collected from 704 parental units with children ages of 3-5, and analyzed using the APIM model.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achment anxiety positively affected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Negative parental behaviors were directly affected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his was especially true for paternal attachment avoidance; however, while maternal attachment avoidance positively affected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marital dissatisfaction, it had no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Second, parental adult attachment’s effect on their spouses' parenting behaviors was observed exclusively among father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양육행동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모형검증을 위해, 만 3∼5세 자녀의 부모 총 704쌍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APIM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부정양육행동과 긍정양육행동을 각각 독립모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각각의 애착불안이 긍정양육행동에는 정서조절곤란을 완전매개로 혹은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영향을 미쳤고, 부정양육행동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정서조절곤란을 부분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애착회피도 긍정양육행동에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결혼불만족 혹은 정서조절곤란을 부분매개로 혹은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부정양육행동에는 정서조절곤란을 완전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어머니의 애착회피는 결혼불만족을 완전매개로 긍정양육행동에만 영향을 주었고, 부정양육행동에는 어떠한 직․간접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배우자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애착의 효과는 아버지들에게만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애착불안/회피가 어머니의 긍정양육행동에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과 어머니의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어머니의 부정양육행동에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 SCOPUSKCI등재

        성인의 아토피 피부염과 식생활평가지수와의 관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016-2018년) 자료 이용

        김혜원,김지명,Kim, Hye Won,Kim, Ji-Myung 한국영양학회 202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5 No.5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 중 AD를 앓고 있는 사람들의 식이 섭취량을 분석하여 이들의 식습관이 AD발병 위험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활용한 자료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년) 자료로서, 참가자 중 19-64세 성인 10,571명을 AD군 (n = 366)과 non-AD군 (n = 10,205)으로 나누어 영양소 섭취 현황과 식생활평가지수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AD군의 1일 총 에너지섭취량은 non-AD군보다 많았고, 단백질 에너지섭취비율, 섭취에너지 1,000 kcal 당 단백질, 인, 철, 칼륨 섭취량이 AD군이 non-AD군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식생활평가지수 총점을 비교했을 때에는, AD군의 총 채소류, 김치 및 장아찌류를 제외한 채소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섭취점수가 non-AD군보다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식생활평가지수와 AD 위험도와의 관계를 분석했을 때, AD 위험도는 총 채소류, 김치 및 장아찌류를 제외한 채소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섭취 점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성인 AD환자들은 채소류와 단백질 식품 섭취가 낮았는데, 이들 식품군의 높은 섭취는 낮은 AD 위험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한 바, 추후 성인 AD 관리 및 치료 시 채소류와 단백질 식품의 충분한 섭취에 대해 강조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etary intake of Korean adults with atopic dermatitis (AD) to determine whether the risk of developing AD was related to their diet. Method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6 to 2018), 10,571 adults aged 19-64 were divided into AD (AD group, n = 366) and control groups (non-AD group, n = 10,205)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nutrient intake status and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score. Depending on the prevalence of AD, the nutrient intake, nutrient intake per 1,000 kcal,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 and KHEI score were tested for significance by correcting for age, sex, body mass index, education, marriage, occupation, residence area,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intake variables that were derived for confounding factors. Results: The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 for protein was lower in the AD group than in the non-AD group. Comparing the nutrient intake per 1,000 kcal, the intakes of protein, phosphorus, iron, and potassium of the A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n-AD group. In the KHEI, the scores of total vegetables, vegetables excluding kimchi and pickles, meat, fish, eggs, and legumes of the A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n-AD group. In addition, as these food intake scores increased, the risk of AD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 In conclusion, adult AD patients had low intakes of vegetables, meat, fish, eggs, and legumes, and it was confirmed that high intakes of these foods may be associated with low AD risk. Therefore, we suggest that an adequate intake of vegetables and foods containing protein would be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AD in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