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대한 도침을 포함한 한방 복합치료 효과: 연속증례보고

        김혜수,김소연,김현지,김은석,김영일 대한침구의학회 2015 대한침구의학회지 Vol.32 No.3

        Objectives : This is a case series reporting of th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a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by means of acupotomy combined with oriental medicine. Methods : We treated seven patients with a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with acupotomy combin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We checked the numeric rating scale(NRS),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index(ODI) and range of motion(ROM). Results : NRS and ODI decreased, and ROM improved in all case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acupotomy has a meaningful effect when applied on a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얼굴 자기상, 성격 특성 및 심리적 부적응 간 관계

        김혜수,박지수,김진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상의 새로운 측정 기법인 역상관 기법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자기상을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얼굴 자기상이 자기(self)와 관련된 성격특성 및 심리적 부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8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자기상을 생성하기 위해 본인과 유사한 이미지를 고르는 양자택일의 역상관 기법을 활용한 자기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성격특성과 심리적 부적응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존중감 척도, 사회불안 척도(SAS-A), HEXACO-60의 하위척도 중 외향성 척도, 부모 및 또래 애착 검사 개정본(IPPA-R), 소속감 지향성 척도(BOS), 한국판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 그리고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얼굴 자기상 긍정값은 자기존중감 및 외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또래 애착의 하위 요인인 화 및 소외감 그리고 긍정적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부적응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바람직성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공격성, 충동성, 우울, 부모-자녀관계, 주의집중문제를 중심으로-

        김혜수,현명호,배성만 한국건강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2 No.2

        The study examined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 addictive adolescents by conducting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A total 249 subjects were surveyed levels of mobile phone addiction, impulsivity, aggression, parent-child relation, depression, and paying attention. High risk group and low risk group were classified as the higher standard deviation 1, 48 students and the lower standard deviation 1, 43 subjects.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yielded a function containing 5 variables, then the two groups differed each other in impulsivity, depression, aggression, and paying attention.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yielded only attention, depression and aggression to classifying 78.0% accurately into the high risk group and the low risk group. Finally, results, the understandings of mobile phone addiction, suggestions of how to utilize treatment intervention,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휴대전화중독 경향성을 가진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을 판별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체 262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중독지수, 충동성, 부모-자녀 관계, 우울, 공격성, 주의집중 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249명의 휴대전화 중독지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위 1 표준편차 이상과 하위 1 표준편차 이하의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고위험 휴대전화중독 집단이 48명, 저위험 휴대전화 중독 집단이 43명 선정되었다. 총 5개의 변인을 예측변인으로 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충동성, 우울, 주의집중, 공격성이 휴대전화 중독 고위험 집단과 저위험 집단을 유의미하게 판별하였으며, 주위집중 변인이 상대적인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의집중, 충동성, 우울 이 세 요인으로 이루어진 판별함수가 휴대전화중독 고위험 집단과 저위험 집단을 78%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충동성, 우울, 공격성 수준이 높고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보이는 청소년이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의 휴대전화의 중독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개입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와 추후 연구방향 및 의의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음성 증상이 주된 조현병 환자에서 Aripiprazole의 효과에 대한 52주의 전향적 연구

        김혜수,김성년,장준환,권준수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7 No.2

        p<.0001), and 41.03% of patients appeared to respond according to CGI-I. Conclusion:Aripiprazole may be as much efficacious against negative symptoms as posit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clinicians can consider aripiprazole as a drug of choice in th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with prominent negative symptoms before trying switching other antipsychotics with clozapine. 본 연구는 aripiprazole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선택 약제로 사용될 수 있는 작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많은 종류의 항정신병약물이 조현병의 치료를 위해 쓰여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병의 경과 상 다양한 시점에 놓인 각각의 환자군에 대한 보다 많은 종류의 항정신병약물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가 축적된다면, 임상의사의 약물 선택에 대한 시행착오가 지금보다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ripiprazole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with prominent negative symptoms. Methods:This study was a prospective, multicenter, single-group, 52-week open study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eniform disorder and schizoaffective disorder. A total of 300 Korean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mong them, 39 patients with prominent negative symptoms were initially administered 15mg/day of aripiprazole for the first 2 weeks, and then treated with 10-30mg/day. The efficacy measures included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otal, positive and negative subscale scores,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of Illness(CGI-S), and the CGI-Global improvements(CGI-I). Results:The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all 3 PANSS parameters total(-35.72 p<.0001), positive subscale(-7.41 p<.0001), and negative subscale scores(-11.56 p<.0001). The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subscale scor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baseline to week 52. CGI-S was also decreased (-1.67

      • 디지털 혁명과 패션의 변화

        김혜수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1 생활과학연구논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transformation of fashion in the digital revolution. The definition of digital era is the time of computer-centered multimedia and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is defined as rapid cycle of fashion and the variety of industrial and social stru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The time of the digital revolution is from the 80's to the 90's. 2.In the 80's, the rich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xpending consumption of pursuing the quality of life emphasized the aspect of activity and function in fashion. 3.The fashion in the 90's is a crossover phenomenon between ecological theme and spiritual theme. In the 90's fashion is the expression of our inner mind, or the combination of nature, orientalism and occidentalism.

      • KCI등재

        주자의 공부론 관점으로부터 理氣의 관계 재해석

        김혜수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6

        This article presents a reinterpretation of the system of the Li-Qi theory in the structure of practical study of Zhu-zi. Previous researches have analyzed the system of Zhu-zi’s Li-Qi theory, furthermore, explained the theory of human mind/nature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based on this system of the Li-Qi theory. This approach is limited to describe the theory of human mind/nature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the structure of ontological Li-Qi of the Neo-Confucian. But, Zhu-zi’s academic scheme is formed through a practical study process such as the old theory of zhonghe(中和舊說) and the new theory of zhonghe(中和新說) etc. In other words, Li-Qi theory and human mind/nature theory is the moral and practical system of confucius' philosophy formed in the practical life of Zhu-zi. Therefore, confucius' philosophy of Zhu-zi can grasp the mor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 and ‘Qi’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Li-Qi theory from practical system of self-cultivation theory. ‘Li’ is the essence of absolute good and the power of moral realization, ‘Qi’ is the source of evil and a phenomenon that morality is realized in the structure of practical study of Zhu-zi. The ‘Li’ and ‘Qi’ have the separable and inseparable relation in this frame of practical study. 본 논문은 朱子의 工夫論 관점에서 理氣論 체계를 재조명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는 존재론적 관점에서 주자의 리기론 체계를 해석하였고, 더 나아가 이와 같은 리기론 체계를 바탕으로 心性論과 공부론을 해명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주자학에서 존재론적 ‘理氣’ 사이의 관계로써 심성론과 공부론 등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주자의 사상체계는 주자 자신이 中和舊說과 中和新說 등의 실천공부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기론과 심성론은 주자의 실천적인 삶 속에서 공부를 통해 형성된 도덕 실천적 유학사상체계이다. 그러므로 주자의 유학사상은 실천적 공부론 체계로부터 리기론 구조를 파악해야 ‘理’와 ‘氣’의 관계에 대한 윤리적이고 실천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주자의 공부론 구도에서 ‘리’는 절대적인 善의 본질이자 도덕 실현의 동력이 되고, ‘기’는 惡의 근원이자 도덕이 실현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실천공부의 구도에서 ‘리’와 ‘기’는 不相雜[분리]이면서 동시에 不相離[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