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교육(STEAM) 운영 현황 실태 조사 및 미래형 융합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조사

        김현경,김현경,김선경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3 Brain, Digital, & Learning Vol.13 No.1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perception of future STEAM education was investigate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of the STEAM Teacher Research Group, and frequency analysis and word cloud keyword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response data.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With respect to current status of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first, the reason for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was teachers' voluntary efforts and the necessity for future talent cultivation for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are heavy workload, adjustment of class hours, difficulties in securing budget,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STEAM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For middle schools, the answers are difficulties in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collaborating with other teachers, and the lack of program dissemination, while high schools responded to the lack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administrators'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expectations. Third, as a learning method for STEAM classes, the student participation type in which students directly solve problems was mainly used, and the student-led type emphasized in future STEAM education was already applie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future STEAM education, first, they were well aware of the main contents of future STEAM education, such as nurturing future talent, chemical fusion, student-led, real-life problem solving, and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Secon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future STEAM education were teacher competency, teacher understanding, culture creation, and realistic burden. Finally, by synthesizing these opinions, the goals for revitalizing future STEAM education are summarized as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ism, forming a consensus, and creating an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s a specific way to achieve this, professional support for teachers, research and selfdevelopment, change of percep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were suggested.

      • KCI등재

        유산소 운동이 비만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관 내피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강승모,이승엽,박세환,민경완,한경아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3

        연구배경: 비만과 당뇨병은 모두 혈관내피세포기능 부전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운동은 이러한 혈관기능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것이 운동 자체의 효과인지 아니면 체중감소의 동반효과 때문인지에 대한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만한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체중감소가 없이 유산소 운동만을 시행한 군과 식사 요법, 유산소 운동을 함께 시행하여 체중 감소를 나타낸 군의 혈류매개 혈관확장반응(FMD)을 비교하여 체중 감소가 혈관 내피 세포 의존성 혈관 이완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8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당뇨센터를 내원한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운동, 식사 요법만을 시행중이거나 메트포르민을 복용 중인 자, 체질량지수 23 kg/m2 이상의 과체중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체중 유지 운동군, 체중 감소 식사운동군으로 분류하였다. 체중 유지 운동군은 400 kcal 이상의 열량 소모를 할 수 있는유산소 운동을 주 5회, 1회 60분 이상 시행하였고 체중 감소 식사운동군은 운동군과 같은 정도의 운동을 시행함과동시에 연구 시작 이전의 식사에 비해 300 kcal/day의 열량 섭취를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전후로 혈류매개 혈관확장반응(FMD), 인슐린 저항성(Kitt), 아포지질단백질 B, 유리지방산, hsCRP 혈청 지질, 혈당, 혈압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12주 후에 대조군과 체중 유지 운동군은 0.75 ± 1.06 kg와 0.64 ± 0.71 kg의 증가로 연구 전후 유의한체중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식사 운동군은 3.07 ± 1.03 kg의 체중 감소를 보였다. 체중 감소가 동반되었던 식사운동군에서 혈류매개 혈관확장반응이 2.62 ± 2.7의 개선을 보였고 아포지질단백질 B과 유리 지방산 역시 유의한감소를 보였다. 인슐린 저항성, hsCRP 등은 대조군, 운동군, 식사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당뇨병 환자에서 운동 요법은 체중 감소가 동반될 때 혈관 내피 세포 의존성 이완능의 개선을 보이고 이는 아포지질단백질 B와 유리지방산의 호전과 동반되어 나타난다.

      • KCI등재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만 및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 :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김현경,정자용 한국영양학회 201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2 No.5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nutrient intake and the prevalences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eating alone behavior in middle-aged men and women. Methods: The data from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A total of 7,728 adults (3,404 male, 4,324 female) aged 40 ~64 years old were include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eating alone per day (0, 1~2, and 3 times/day). Dietary data were collected by a 1-day 24-h recall. The nutrient intak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the eating alone behavior with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djusting for the related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In men, eating alone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a lower intake of potassium (p-for-trend=0.048) and lower intake of calories from protein (p-for-trend=0.04). In women, the proportion of subjects consuming energy less than 75%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p=0.001) and less than the estimated adequate requirement of riboflavin (p<0.001)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eating alone behavior. The eating alone behavi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metabolic syndrome (p-for-trend=0.033), increased blood pressure (p-for-trend<0.001), and increased waist circumference (p-for-trend=0.004). On the other hand, in women, however, the eating alone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s of developing obesity (p-for-trend=0.02).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eating alone behavior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wome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ating alone behavior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Korean men.

      • KCI등재

        신규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인식한 직무역량과 교육요구

        김현경,은영,전경자,소애영,김희걸,엄미란,송연이,최은숙,박지연,김형숙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4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job competencies and needs for job education perceived by new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Eight new communityhealth practition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content analysis. Results: Five job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including primary care, public health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aching and counseling, and leadership. The contents of job educationthat they needed were management of major symptoms and chronic diseases, understanding and prescriptionof medications, emergency responses and care, management of endemic diseases, planning and managementof public health programs, writing official documentsand computer works, and leadership training. The learningmethods they preferred were connecting theory and practice, situation- or case-based learning, skill- or practice-based learning, and increased opportunities of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the direction of job education for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Job education for new communityhealth practitioners needs to consider the job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identified in this study.

      • KCI등재

        헌법상 재산권 보장과 저작재산권 제한규정의 정합성에 관한 연구

        김현경 한국저작권위원회 2013 계간 저작권 Vol.26 No.2

        우리 헌법은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되며, 재산권의 행사는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하되,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서,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헌법 제23조). 지적재산권이 현대사회에서 갖는 경제적인 역할과 중요성, 비교법적 고찰 등에 비추어 볼 때 저작재산권은 헌법 제23조의 재산권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재산권의 제한에 따른 보상 여부의 결정에 있어서도 헌법상 원리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저작권법은 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공연·방송, 도서관등에서의 복제 등 저작재산권에 대한 일정한 제한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한에 대하여 법률에서 보상을 인정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보상을 인정하고 있지 않은 저작재산권 제한의 경우 헌법상 재산권 규정과의 정합성이 문제된다. 보상이 전제되지 않은 규정이 의미하는 바가 보상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보상을 규정하지 않은 것인지 불명확하다. 즉 헌법 제23조제1항제2문과 제2항에 해당된다 할지라도 보상이 불필요한 사회적 기속성에 따른 제한인지 조정적 보상이 필요한 사회적 기속성에 따른 제한인지 불명확하다. 또한 저작재산권의 일반적 제한규정이라고 할 수 있는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제35조의3)의 경우에도 이러한 문제점은 그대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논점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헌법상 재산권 제한에 따른 보상과 관련된 이론들(경계이론과 분리이론)을 검토하였다. ‘경계이론’과 ‘분리이론’은 각각 논리적 강점과 약점을 모두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견해가 타당한지를 필자가 단정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들 견해 중 어떠한 견해를 취하든 저작재산권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비례원칙에 의한 정당화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따라서 저작재산권을 제한하는 경우 보상 지급 여부에 대하여는 헌법상 비례원칙에 입각한 재검토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