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PAD(Pennies-a-Day)에서 발생하는 후회가 의사결정에 대한 만족도 및 제품에 대한 태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향미(Hyang Mi Kim),이소영(So Young Lee),김재욱(Jae Wook Kim) 한국경영학회 2012 經營學硏究 Vol.41 No.5

        It is well known that customers will choose the product/service which gives them the highest value. They compare the prices of all alternatives and select the most attractive price in terms of purchase value (Dodds, Monroe, and Grewal 19991; Janiszewski and Lichtenstein 1999; Lichtenstein, Bloch, and Black 1988). Therefore marketers are trying to design price framing strategies which can give high perceived value to the customers (Tversky and Kahneman 1981). PAD (Pennies-a-Day) i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of price fram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PAD principle, customers will not sensitive to the loss if the amount they have to pay is small enough to be neglected even though the redemption period is long. This principle violates the rule of mental accounting of the Prospect Theory which presents extensive evidence of loss aversion behavior of the customers. This study shall initially focus on PAD strategy. The existing studies on PAD strategy have mainly focused on the perceived value at the purchase stage even though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includes the after-purchase evaluation. We explore the effect of regret caused by PAD framing on customer attitude toward the product/ service both at the purchase stage and after purchase stage.We conducted 2 experiments to explore the Effect of Regret caused by PAD(Pennies-a-Day) on satisfaction with decision-making and attitude toward the product and the university students took part in our experiments. The result of experiment 1 shows that at purchase stage, customers prefer PDA framed price when the amount of monthly redemption is small enough to be neglected. This result is in line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es. However, in study 2 which is conducted at the after-purchase evaluation stagy, the regret due to the long lasting redemption period of PDA can be observed. Consequently, the regret occurs the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ir decision making, purchasing behavior and the product/ service as well. This negative attitude of the customer varies with the type of product/service. If the redemption period is longer than the consumption period (ex. Tour package program), the customers have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ir purchase decision and the product/ service itself than when the consumption period is longer than the redemption period (ex. computers, cars).

      • KCI등재

        한국 근대 초등학교 디자인·공예교육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고찰

        김향미(Kim, Hyang M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의 목적과 관점이 달라지듯, 근대를 전후하여 우리나라 미술교육 역시 다양한 변화를 거쳐 왔다. 개항 이후 서구의 근대 미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미술교육은 일본이 그러했던 것처럼, 미술의 표면적인 형식과 방법의 전수에만 급급했던 경향이 강했으며, 더욱이 근대화와 일본의 침탈이 맞물린 당시의 시대상황은 자주적 근대교육으로의 출발에 걸림돌이 되었다. 개항 이후 근대 교육제도가 우리나라에 새로이 정착되면서, 미술의 교과로서의 성격이 명확히 규명되지 못한 채 학교교육에 편입된 결과, 이는 오랜 동안 학교교육에 있어서 미술 교과의 위치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과거의 시행착오를 더 이상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미술교과의 본질 규명이라는 과제 앞에서 이에 대한 역사적, 이론적, 실제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단히 높다고 사료된다. 나아가, 근대 초기부터 만연되어 온 회화에 편중된 미술교육관은 회화 이외의 영역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어렵게 만들었던 바,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근대 초등학교 디자인·공예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주로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는 오늘날 학교 디자인·공예교육의 본질과 성격을 재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래 시대가 요구하는 미술교육의 목적과 향방을 조망하는 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fine art, which started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school system, was based on ‘enhancing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and ‘promoting industries’ to establish a modern state that wa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new education. Therefore, its purpose and method were also concentrated that fine art must reflect actual needs of life. In other words, the fine art education started as a functional curriculum pursuing practicality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should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as the modern art education was initially weighted on painting, the phenomenon has remained so far. As a result, it is the fact that historical and theoretical studies on sectors except painting have been rarely performed. In view of the f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basic investigation of the elementary design and crafts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se days, developed countries ahead of information have attempted to configure the curriculum based on design as a solution to nourish people having creativity and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abilities for a long time. In comparison,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under the condition that Korean education of art, design and crafts was not fulfilled successfully. It experienced the distorted history without filtration under Japanese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As a result, Korea has not equipped the traditional background comparable to the goal of today’s art education to nourish people having creativity and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abilities. Recently, thanks to increasing social interests and recognition transition, an importance of the design and craft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However, it is identified that the actual school lesson focuses on a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also schools have not prepared conditions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design and crafts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self-reflection and future outlook need to be performed based on the objective review and examination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modern design and craf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불임치료현장에서의 모성생명윤리

        김향미(KIM Hyang Mi) 한국생명윤리학회 2009 생명윤리 Vol.10 No.2

        모성의 보호는 모성 자체의 건강뿐만 아니라, 모성을 통하여 태어나는 제2세 국민들의 건강과 성장 및 양육 환경의 온전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헌법상의 중요한 국가 의무로 받아 들여 지고 있다. 모성의 온전성이란, 인간의 생식(reproduction)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여성의 DNA를 유전정보로 이용하여 자기복제의 실현과정인 ‘모체로부터’라는 유전학적인 요소와 착상, 임신, 출산 및 양육이라는 연속적인 과정의 평온함의 유지라는 ‘모체 안에서’의 의생명과학적 및 사회과학적 요소의 실현을 통하여 비로소 확보되는 온전한 한 인간 존재의 성립을 위한 기본 전제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논의의 가능성은 있겠지만, 모성의 온전성에서 볼 때 생식세포인 난자의 공여나 대리모시술 등을 통하여 태어나는 자는 온전한 한 인간 존재의 성립을 위한 기본 전제인 모성의 온전성의 측면에서는 심각한 결함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법체계도 이들의 권리를 특별히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하며, 불임치료의 현장에서 난자 공여 혹은 대리모 시술 등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시술을 담당하는 의사는 이러한 모성생명윤리에 입각하여 시술받는 부부, 난자 공여자, 및 대리모지원자 등에 대하여 진지한 사전 상담 및 동의 절차를 거쳐 시술을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protection for maternity is important to prevent the health of maternity, and it is the important national duty in constitutional law for the completeness of the health, development, and good rearing condition of offsprings. In the view of the protection for maternity, it is essential to preserve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Maternity is the natural and continuing process completed by pregnancy and procreation. It is gained from the continuing process of ‘from the mother’ and ‘in the mother’, and two factors is essential and inseparable for preserving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which is a basic premise forming the human beings. It has the possibility to the various and different view points, but in the focus at the preservation of the maternal completeness, the baby who is birthed from oocyte donation program or surrogate mother has the severe defect on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which is a basic premise forming the human beings. So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pare the firming legal systems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n maternity. In the field of infertility treatment, before starting the procedure of oocyte donation program or surrogate mother program, it is necessary for the doctor to decide the treatment procedure after the sincere discussion with the infertility couples who are going to receive the treatment, oocytes donor, and candidate to surrogate uterus on the basic thinking of the bioethics on maternity and the informed consent to them.

      • KCI등재

        환경미술교육의 방향과 내용 탐색

        김향미(Kim, Hyang Mi)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1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지구적 규모로 확대되면서 최근 학교교육에 있어서도 다음 세대를 이끌어 나갈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환경문제에 대한 바른 인식과 환경보전의 태도를 형성해 줄 수 있는 구체적 대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교육적 요구를 배경으로, 특히 미술교육은 자연에 대한 기본적인 감성의 교육과 직결되며 나아가 자연 속에서 인간의 존재방식, 자연환경과 인공적 환경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본질 등과도 연계됨으로써, 그 활동내용 및 실천에 있어서 환경교육의 이념과 상통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지미술, 정크 아트, 오브제 등으로 대변되는 현대미술이 환경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모색해 온 일련의 동향들은 미술교육, 혹은 환경미술교육의 장에 있어서 커다란 시사를 던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 및 환경미술교육의 역할과 방향, 내용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환경미술교육의 구체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We have many difficult environmental problems for the future of the earth. And in the field of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as alternative educ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 education. Art educators have begun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ole of art education for solving current that problems. Art is a good media to evok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he environment in terms of an ecological viewpoint and to present an ecological perspective to art education. The ecological approach in art education was pursued through the inquiry into life, nature, art, and the inherent purpose of art education. And a direction for art education was presented from the ecological viewpoint. And unlike the past concept of art, contemporary art has expanded in a usage of theme, technique and material. The change reflects the change in overall trends in social and cultural trend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lead to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ntegrative approach in art education.

      • KCI등재후보

        근대 교육과정 비평을 통한 미술교육의 본질과 기능 재고

        김향미 ( Hyang Mi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모더니즘적 사고에 기반을 둔 근대 미술 교육과정은 이제 예술을 둘러싼 오늘날의 다양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변혁을 추구해야 한다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아울러, 현대의 미술은 대단히 다변적이고 통합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편협한 교과관에 미술교육을 대응시키는 일은 적절하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이라는 관점에서 근대 미술교육을 성립시킨 제 상황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탈근대시대 미술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조망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시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삶 속에서 미술교육의 본질과 특성들이,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을 포착하고 적응해 나가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 대안인지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예술과 생활, 삶의 의미와 다양성을 충실하게 반영하고자 하는 교육철학적 관점을 내포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기반으로 미술 교육과정이 구상되어야 할 것이다. 문화 예술적 역량이 특히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미술교육 내용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In modern times, art education was formed as the function of three factors: art, education and child. In the post-modern framework, however, the trinity relationship has been deconstructed and melt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ritical fundamental issues involved in art education at the time of the millenium transition. The transformation of art education from modernist criticism to post-modernism which was caused partly by the change of art concepts in the post modern society seemingly impacted on the educational priorities and practices. The result of the conceptual analysis extract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which may provide an overarching perspective in the new era:1. To solve the paradoxical relationships between evolution of modern art and growth of children`s in the curriculum studies. 2. To develop a syntactic structures in the new vision of totality which is observed in today`s movement of art, media and technology, surpassing the paradigm of formalism. We can conclude that the paradigmatic shift in curriculums is closely related to paradigmatic shift in our understanding of knowledge based in life. And art education should establish student`s individual life and future directions of arts. Moreover, art education in school curriculum should be revaluated.

      • KCI등재

        부가가치 제공 유형별 판매촉진과 유통업체 불확실성이 제품 가치 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향미(Hyang Mi Kim),이소영(So Young Lee),김재욱(Jae Wook Kim) 한국유통학회 2011 流通硏究 Vol.16 No.1

        마케팅 연구에서 판매촉진은 지난 수십 년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온 분야중의 하나이다. 판매촉진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 소비자에게 비용을 줄여주는 방법인 가격인하 판매촉진과 둘째, 소비자에게 혜택을 제공하여 전체적인 지각된 가치를 높여주는 부가가치 제공 판매촉진 방법이 그것이다. 그 동안의 판매촉진의 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가격할인 판매촉진을 중심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부가가치 제공 판매촉진 방법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부가가치 제공 판매촉진 활동의 효과 평가, 적절한 부가가치 판매촉진 방법,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판매촉진 자체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부가가치적 판매촉진이 판매촉진 제품의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부가가치 판매촉진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부가가치 판매촉진은 상황적인 요인에 의해 그것이 혜택으로 지각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적 요인으로 사은품 제시 방법과 유통업체의 불확실성 수준이라는 2가지 요인이 판매촉진 제품의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보기위해 실험과 준실험을 이용한 2가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실험은 2(사은품 제시방법; 통합제시 vs. 분리제시) *2(유통업체의 불확실성 수준(높음 vs. 낮음) *3(평가대상; 전체 제품(본 제품+사은품), 본 제품, 사은품)로 집단 간 실험설계를 하였다. 그 결과 사은품을 통합 제시하는 경우가 분리 제시하는 경우에 비해 제품 가치 평가를 더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통업체 블확실성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전체 제품 가치 평가를 더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요인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상호작용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보다 상세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평가 대상별로 알아본 결과, 본 제품 평가에 있어서 유통업체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에 통합 제시하는 경우가 분리제시 하는 경우에 비해 제품 가치를 더 낮게 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실험인 연구 2는 연구 1의 결과를 재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시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제품과 최근에 이용한 유통업체에 대해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처럼 유통업체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제품 가치 평가를 더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 1에서 살펴보지 않았던 구매의도를 조사하였다. 부가가치 판매촉진 이전의 유보가격과 부가가치 판매촉진 자극물을 본 이후의 유보가격의 차이를 이용하여 2개의 집단으로 나눈 후, 구매의도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 구매의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통업체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사은품을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단순히 혜택으로 지각되는 것이 아니라 상술지각이 활성화되어 오히려 제품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구매를 망설이게 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특별기고 : 모자보건법 제14조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김향미 ( Hyang Mi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5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여성의 사회참여가 증가하게 되고, 여성이 가지고 있는 자유로운 발전을 할 권리와 자기결정권에 대한 존중으로 인해 인공임신중절의 허용하자는 주장과 함께 이에 대한 찬반이 논의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낙태와 관련하여서 형법상의 강력한 규제조항에도 불구하고 실제 불법적인 인공임신중절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사회적으로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를 규정하고 있는 모자보건법 제14조의 개정을 촉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모자보건법 제14조의 개정방향을 제시해 보면 아래와 같다.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는, 특히 태아의 생명권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그리고 의학적으로 모성에 건강상의 위해를 초래하는 합병증이 발생될 가능성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에 대해서는 반대를 한다. 인공임신중절허용시기와 관련하여 임신한 날로부터 28주 이내에 대해 임신 24주까지로 허용시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한다. 태아측의 심한 기형 등 태아측의 사유에 대한 적응증을 허용사유에 별도로 규정하자는 의견에 대해서는 따로 이 규정이 필요치 않으나 태아의 출생 후 생존 가능성에 대하여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며, 기존의 허용사유에 태아의 병인적 사유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규정이 있었으면 한다.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에 있어 사회·경제적 사유에 대한 규정은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자의적인 허용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결정을 하여야 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사회·경제적 사유에 대한 허용을 반대하지만, 필요하다면 실효성이 있는 사전 상담절차의 마련으로 절차적 요건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 모자보건법 내에 제14조의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규정이 없으므로 위반에 대한 처벌규정을 포함시켜는 문제에 대해서는 적절한 벌칙조항의 규정을 추가함으로써 생명의 보호를 한다는 취지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 위반에 대한 방지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생명은 절대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고 또한 절대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배아 역시 장차 완전한 개체로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인간의 생명체이므로 보호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배아의 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향후 이를 위한 윤리규정이나 법적인 절차의 마련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social development, women`s participation of social work is increased, and it is argued that artificial abortion of fetus can be accepted freely and easily as the respect of the women`s right of self-decision on reproduction. This is the conflicts of view in prolife and prochoice. In Korea, there is the strong forbidden clause of criminal law about abortion. But in reality, a lot of illegal abortion are performed despite of the permissible clause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So I reviewed and recommended the revision of Article 14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o the active direction. I am basically opposed to abortion for human dignity especially the right to life of fetus and the prevention of the mother`s health from the complication of abortion procedure. The permissible period of abortion must be shortened from gestation 28 weeks to gestation 24 weeks. The reason of severe fetal abnormality need not to be inserted to the permissible clause to abortion, but it is desirable that the meaning of that reason should be included. The socioeconomic reason of the permissible clause to abortion could mean the permission of abortion. So I object to adding the socioeconomic reason for artificial abortion to the revise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But if need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effective procedure on consultation before abortion. I agree to the revision of the penalty provision against illegal abortion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life and preventing the illegal abortion. It is rightful to prevent human life and keep the value, and in addition, we must concern to the prevention of embryos who have the potential to the individual in the future. So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ethical guidelines or the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embryos.

      • KCI등재후보

        미술교육에서의 만다라 교재화

        김향미(Kim, Hyang M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9 No.-

        미술은 교육이나 치료와 연결되며 인간의 정신적?정서적 성장과 발달을 이끄는 최적의 시점으로서, 인간이 살아나가는 데 필요한 표현과 아름다움의 의미를 추구하고 거기에서 심적 안정을 얻도록 해준다. 특히, 최근 미술치료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만다라 그리기 활동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창의성과 미적 능력을 육성하는 데 있어서 커다란 기능을 발휘한다. 나아가, 그들의 심리적 분열 상태를 통합해 주고, 다양한 불안요인들로부터 자유롭게 하며 긴장을 완화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외적인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는 정신적인 힘을 얻게 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만다라의 의미와 교육적 효과에 대해 고찰하고 미술교육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교재화 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에서 만다라와 관련된 이론적배경의 검토를 기반으로 만다라의 의미와 활용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미술교육에 어떻게 접목, 적용할 수 있을지 그 교재화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원형’, ‘중심’, ‘대칭성’이라는 만다라의 세 가지 규칙성을 기반으로 미술교육 교재화 방안을 모색하였는데 이는 ‘자연스럽게, 저절로’ 자기 표출을 의도한 만다라의 종교적, 심리학적 취지와는 구별되는, 즉 ‘의도적으로’ 그리게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차이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제작활동을 통해 완성된 만다라 작품의 감상 및 의미 해석에 있어서의 주안점을, 색채, 형태, 숫자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The healing ability of art has been mainly develop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e, who are involved in art education, have to re-examine the essential meanings of creativity in art education and healing in art therapy in order to both of them are an indispensable power for our total change. My concern in this paper is to consider whether Mandala can be a teaching material or not. To begin with, I would like to make sure of the value of Mandala psychologically considered by C.G. Jung, and from this point of view,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it is significant for children to draw Mandala. Next I will examine how, as a teaching material, we should use Mandala with regularity in form which children should take as means of drawing.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I am referring to the practice of collaboration in drawing Mandala. I think these two works collaborated there could show the possibilities of Mandala as a teaching material.

      • KCI등재

        모성보호에 대한 의료법리적 이해

        김향미 ( Hyang Mi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1

        모성은 생식과 관련되는 기능을 하는 잠재적인 어머니로서의 여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모성은 가족을 이루는데 핵심적인 구성요소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국가구성원인 국민의 생산적 모체를 이루게 하는 중요한 임무가 있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모성을 보호한다는 것은 생식과 관련된 어머니로서의 여성 그 자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비단 임신과 출산이라는 생리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기능 등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또한 포괄적으로 보호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모성의 보호양상은 사회적·경제적·문화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각 국가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최근 세계적으로 모성보호에 있어서 생식건강의 개념을 도입하여 모성의 보호를 임신과 관련되는 시기뿐만 아니라 크게 여성의 전 생애로 확대하고 모성의 건강의 중요성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여성에 있어 모성이라는 의미는 사회적으로 그만큼 중대하며,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모성과 관련하여 의료법리적인 보호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서 보호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여 보면, 모성보호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모성의 온전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모성은 `모체로부터`와 `모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과정 안에서 획득된다고 볼 수 있으며, 모성의 온전성을 위해서는 본질적이며 분리할 수 없는 요소로 온전한 한 인간 존재의 성립을 위한 기본 전제가 된다. 모성보호를 위한 정책은 온전한 사회구성원을 양육한다는 관점에서 개인이나 가정에서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전체가 책임을 나누어 가지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모성보호와 관련되는 정책은 여성의 모성으로서의 권리, 노동권, 양성평등권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인정하는가의 정도에 따라 결정이 되는 것이지만, 여권과는 다른 법리적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하는 국가적 과제로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모성보호와 관련되는 모든 제도적 장치와 법체계는 모성의 온전성의 확보와 특별한 보호의 보장이 최우선의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모성보호를 위해 모성의 온전성을 확보와 더불어 여성의 생식건강과 관련된 부분에 초점을 두어 모성의 건강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이다. 모성의 건강문제를 관리함에 있어서, 국가의 커다란 틀 안에서 정책을 결정하고 실행할 경우에는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에 대하여 직접 다루고 있는 산부인과 의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으로 모성이라는 가치에 대하여 새롭게 조명하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련 이해 당사자들이 모여 담론할 수 있는 열린 의사소통의 마당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aternity has the concept of woman who can be a mother having the reproductive function. It is not only an important factor for making the family, but also socially an important duty for producing the members of nation. The protection for maternity means the woman as a mother with reproduction and also means widely and comprehensively protecting for the psychological function as well as the physiological function including the pregnancy and procreation. The methods for maternity protection are various o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by the individual nations. Recently the concept of the reproductive health in maternity protection is introduced and it is expanded to the whole woman`s life from the period related with the pregnancy. The maternity in women is socially very important and needs for the deliberate concern and the long term proper care. I reviewed the various medicolegal aspects for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from it, I pointed out the direction for protection. In the level of the maternity protection, it must be firstly considered that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is preserved. Maternity is the natural process completed by pregnancy and procreation. Maternity is gained from the continuing process of `from the mother` and `in the mother`, and two factors are essential and inseparable for preserving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which is a basic premise forming the human beings. The protection of maternity is the right of the person who will be born, and it is also a duty of the social members. The related legal system needs to be prepared by the systemic process for the special protection of the right. It is important to focus at the preservation of the maternal completeness for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the maternal health with women`s reproductive healt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ield of the discussion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related person in the var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