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기압 실린더의 구동특성에 관한 연구

        도태(Do-Tae Kim),장중걸(Zhong Jie Zhang),한신식(Shin-Sik Han) 한국생산제조학회 2009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9 No.5

        Pneumatic cushion cylinders are most widely used as actuators in automatic equipment because they are relatively inexpensive, simple to install and maintain, offer robust design and operation, are available in a wide range of standard sizes and design alternatives. Compressed air is a very expensive form of energy and therefore systems have been proposed to conserve pneumatic energy which mostly means lowering the supply press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meter-out and meter-in speed control of high speed pneumatic cushion cylinder. A mathematical simulation model of a double acting pneumatic cushion cylinder used the relief valve type is presente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in the horizontally-mounted pneumatic cylinder, the meter-out and meter-in speed control are investigated with variation of the supply pressure, total mass, effective area of flow control valve, cracking pressure of relief valve, piston rod diameter, stroke, cushion sleeve length etc.

      • KCI등재

        南宋代 性理學者들의 宗敎 改革

        김한신(Kim, Han-Shin)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본 연구는 남송대 성리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던 민간신앙 개혁과 선현사 제사 개혁이라는 두 가지 움직임 사이의 기존에 인식되지 못하였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여, 두 가지 움직임이 남송대 향촌사회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일관되게 유교화시키고자 하였던 일종의 유교적 종교개혁의 일환으로서 진행되고 있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의해 지역중심주의적인 태도를 강하게 표출하게 되었던 주희를 비롯한 남송대 성리학자들은 기층사회의 민간신앙에 대해서 유교적 가치를 기준으로 개혁하고자 하였고, 더 나아가 성리학적 가치에 부합되는 인물들의 영혼을 선현사에 안치시킴으로서 새로운 숭배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주희를 비롯한 성리학자들은 그 지역사회에 유교적 가치를 확산시키고자 하였다. 비록 민간신앙에 대한 개혁은 지역의 일반대중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던 반면에 선현사의 확산은 주로 지역 사인들을 대상으로 유교적 士風의 진작이라는 측면에서 분명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지만, 이 두 가지 움직임은 당시 그들이 지역사회에서 추진하고 있었던 전면적인 유교적 개혁의 종교적 측면으로서 종교적 환경의 개선 즉 종교적 개혁이었다는 점에서 일관된 특성을 갖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북송대 신법당에 의해서 추진되었던 민간신앙 개혁에 대해서 남송대 성리학자들은 그것이 지역사회의 종교적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데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지역사회의 종교적 관습을 유교적 가치에 따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교적 소양을 갖춘 지역 사인들이 민간신앙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그것에서 더 나아가 성리학적 가치를 구현하였던 지역의 인물들을 보다 이상적인 숭배의 대상으로서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유교화를 더욱 강화할 수 있었다. 새롭게 중화문명의 일원이 된 지역에 대한 상징적 조치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공자묘 즉 文廟가 건설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남송대 성리학자들은 민간신앙에 대한 개혁과 더불어 성리학적 가치에 부합하는 인물을 새롭게 숭배의 대상으로 하는 先賢祠를 확산시킴으로서 관습적 질서가 지배하고 있었던 지역사회를 유교화 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1127-1279), the Daoxue(or Cheng-Zhu School) literati who had met with serious political persecution since they failed in the political struggles began to be concerned with the local communities. Actually, since they could not go into the government office, they should establish their foundation in the local communities. On the contrary to the Northern Song Reformers’ state-centered argument, the Daoxue literarti argued that the reform must be carryed out by the Daoxue oriented intellectuals in the local society. The Southern Song Daoxue literati who were inspired by the local centered ideas desired to spread the Confucian values in the local communities by reforming the local religious cults and building up the temple of local worthies. First of all, they involved themselves in the local religious cults through writing prayers to the local deities or temple inscriptions, which stressed the Confucian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daoxue literati had strong urges to enshrine the local worthies, who deserved to be worshipped according to their Confucian principles, in the official temple. The impact of the religious reforms by the Doxue literati on the local religious environment had been relatively limited until the late Southern Song. However, their reformation spirits enormously influenced their later generations when the Daoxue values were promoted to the State Ideology.

      • 중국인의 내세관(來世觀)의 변화와 민간신앙(民間信仰)의 변모 -한대(漢代)와 송대(宋代)인식의 전환을 중심으로-

        김한신 ( Han Shin Kim ) 단국사학회 2014 史學志 Vol.49 No.-

        이 글에서는 주로 서구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漢代와 唐代라고 하는 중국인들의 내세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전환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내세관의 변화는 곧바로 종교관의 변화와 연결되기 때문에, 그 두시기는 또한 중국인들의 종교관이 변화하는 시기였다. 우선 漢代에는 강력하고 괴팍스러운 神적인 존재이자 효도의 도리를 다하지 못했던 이승의 후손들에게는 해악을 끼칠 수 있는 존재라고 인식되었던 사망한 祖上에 대한 과거의 이미지가 점차 흐려지고, 그 대신에 무덤이라는 지하의 감옥속에 속박된 암울한 운명 속에 처해진 애처로운 영혼으로서의 死者에 대한 이미지가 지배적이 되었다. 또한 이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서 당시 진행되었던 신분질서의 변화라고 하는 사회정치적 환경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반면에 宋代에는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급속한 상업경제의 발달이 초래한 사회적 신분적 유동성에 불안을 느끼는 일반대중들을 중심으로 신적인 영역에 대한 보다 간단하고 직접적인 접근방식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내세관에 있어서는 死者의 영혼이 단순이 무덤에 머물러 있기 보다는 그 영혼이 지옥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우들에 대해 설명하는 시각적인 이미지들이 특히 발달하게 된다. 게다가 송대인들은 死者가 현세의 업보로 인해 겪게 되는 내세의 상황을 스스로 변화시킬 수 있다거나 혹은 후손들의 노력으로 그 과정에 개입할 수 있다는 보다 적극적인 내세관이 등장하고 있다. 결국, 중국인들의 내세관은 서구인들의 고정된 내세관과는 달리 시대에 따라서 혹은 지역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ordinary people’s views on the afterlife. Between the Warring States periods and the Qin·Han periods, first of all, the images of the deceased as grotesque and harmful beings had been transformed into the those as pathetic and poor ones who the descendents would sympathize and help to alleviate their sufferings. The changes in the tomb styles and the funeral rites and the prevalence of the cult of Queen Mother of the West(西王母) convincingly demonstrates the conceptual transition. During the late Tang Dynasty and the Song Dynasty, people actively desired to improve their destinies in the afterlife. They asked the divine helps from the Daoistic and Buddhist deities who had been popularized to allow easy access for them. In addition, they devised ritualistic tools to convey their intention directly to the deities. The Cult of the Guanyin(觀音) who is the omnipresent deity with universal access to people began to replace that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since the late Tang period. Consequently, this article argu es that the alteration of the concepts of afterlife during these two transitional periods promoted the rise of new kinds of religious beliefs.

      • KCI등재

        과학관 과학 논증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글쓰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신 ( Shin Han ),중한 ( Junghan Kim ),형범 ( Hyoungbum Kim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0 생물교육 Vol.4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6 weeks for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ience Experiment Class” program at ‘S Science Museum’ in Seoul. Through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ir argument elements and types of argument structures changed,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 of this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tinuous argumentative writing activity and feedback varied the argument elements used by the students,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rgumentation activities. Second, the “claim type” and “reason type” decreased, and the “acknowledgment type” and “rebutted type” increased. This shows that the ability to actively utilize objective fact information is improved. Third, as a result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scientific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continuous writing, and feedback.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ecognition of these students not only develops the type of argumentation structure but also enriches the argument elements and allows them to be used in various ways.

      • 중국(中國) 민간(民間) 불교결사(佛敎結社) 형성의 역사적(歷史的) 배경 고찰

        김한신 ( Kim Han-sh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중국 향촌사회의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 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다양한 명칭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 고유의 행사인 齋會와 중국의 전통적인 관습질서인 春秋二社의 社를 매개로 하여 형성되었다. 대단히 이질적인 성격의 두 요소들이 결합된 형태로 등장하게 되는 민간 불교결사는 당대에 이르러 국가권력의 통제 대상으로 주목될 정도로 크게 성장하였다. 당왕조는 처음에는 민간 결사에 대해서 금지시키려고 하였으나 이후 점차 향촌지배를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송대에 접어들어 민간의 불교결사는 더욱 크게 확산되었고, 이는 송왕조의 종교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교단불교에 대한 당왕조 시기의 간헐적인 탄압과는 달리 송왕조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통제정책 즉 승려에 대한 도첩의 발행과 불교 사찰에 대한 사액을 통해서 단불교를 적극적으로 통제하였다. 송왕조의 불교 통제 정책으로 인하여 교단불교는 그 교세가 정체 내지는 축소된 반면에 국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당시 상업의 발전으로 인한 기층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크게 활성화되었다. 주로 조상기나 몇몇 중요한 승려들에 대한 기록들을 통해서 부분적인 모습만 알 수 있었던 민간불교결사는 송대에 이르러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송조정은 민간불교 결사에 대해서 그 탈법적인 측면을 경계하고 있었지만, 『夷堅志』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자료들은 민간불교결사가 일반대중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전해주고 있다. 특히 송대에 이르면 이전에 비해서 규모가 크게 확대된 형태의 민간결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국가권력은 이러한 대규모 민간결사의 위험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면서 통제하려고 노력하였다. 비록 중국의 민간불교결사는 전통적인 시각에서 대체로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이는 국가권력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었다. 반면에 여러 다른 사료들을 통해서 볼 때, 그 실제적인 모습은 상당히 평화로운 종교적 모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중국 향촌 사회의 관습적인 질서 속에 강력한 기반을 갖고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국가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통제 속에서도 더욱 크게 번성하였던 것이다. The lay Buddhist societies in Chinese local communities are originated both from the traditional Buddhist rituals like upavasatha(齋會) and from the traditional folk religious practices like the spring and autumn festivals(春秋二社). The lay societies of Buddhism had been formed even when the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China. However, they had been clearly shown in the historical documents since the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The lay societies gathered to have religious events such as chanting Buddhist prayers or presenting offerings to Buddha. In addition, they sometimes raised funds for building the Buddhist Statues or inscribing Buddhist texts on the stone stele. In the early period of the history of the Buddhist societies, most of them were led and assembled by Buddhist monks or Buddhist monasteries. However, the societies led mostly by lay people began to be overwhelmed from the Tang period. When the Great Anti-Buddhist Persecution of Huichang(會昌廢佛)(845) occurred, the institutional Buddhism(敎團佛敎) took the brunt of sharp decrease of Buddhist clergies and temples, while the lay socie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were scarcely affected and even became more prosperous. Song dynasty aimed to fully control the Buddhism through bestowing the official plaques or issuing the identification cards of monks which is official permit to become a monk (nun) and join a monastery. As a result, the monasteries and monks of the institutional Buddhism were systematically controlled. At that time, however, since the lay people enthusiastically involved themselves in the Buddhist ritual practices, the lay Buddhist societies could attract a large amount of believers and grow up to be major religious groups. The Chinese Dynasties had conventionally taken a stand against the popular religious assemblies like the lay Buddhist societies. However, the lay Buddhist societies had actually been neither the rebellious secret societies nor the licentious assemblies. In addition, they had peacefully coexisted with the state power at all times. Although the state power had assailed the lay Buddhist societies with a negative stereotyping of the societies, we need to take a true perspective on them beyond the face value of the historical documents, which were mainly written with conventional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南宋代 眞德秀의 民間信仰에 대한 새로운 인식

        김한신(Kim, Han-Shin) 역사학회 2014 역사학보 Vol.0 No.221

        The Daoxue literati of the Southern Song argued an autonomous rule over the local communit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onfucianism-oriented literati. Since they thought that the popular religious cults were not only the focal points of the local communities but also valuable methods for enlightening the ordinary people, they actively involved themselves in the popular worship. The unprecedented increase of the written prayers and the stele inscriptions for the local cults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in particular, obviously verifies the Daoxue literati’s act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y not only acknowledged the possibility of the worshiper’s communion with the spiritual beings but also tried to explain it through their theory of principle (li 理) and vital force (qi 氣). However, in terms of the social unrest that used to be caused by the popular worshipers’ enthusiastic participation in the popular religious practices like the temple festivals, they harshly criticized it also. Due to the Daoxue literati’s local activism, therefore, the popular religious cults became one of the biggest concerns for them. Consequently, the Southern Song thinkers chose the direct and practical approaches toward the popular religious cults to attain the goals of their local activism within each local community.

      • KCI등재

        과학관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논증구조 변화에 주는 영향 : 에너지와 기후변화 주제를 중심으로

        한신(Han, Shin),중한(Kim, Jung-Han),형범(Kim, Hyoungbum)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에너지 및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 글쓰기 활동을 6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그들의 논증 구조가 어떠한 형태로 발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교육을 받기 전 초등학생들은 이유와 주장과 같은 논증 요소를 사용하였으나, 피드백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 교육을 받은 후 이유, 근거, 반론수용, 반박과 같은 논증 요소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글쓰기 초기에 학생들은 주장과 이유로 이루어진 ‘이유형’의 과학 글쓰기 유형이 가장 많았으나, 점차 주장, 이유, 근거, 반론수용, 반박의 논증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반박형’ 유형으로 발달하였다. 셋째, 지속적인 과학 글쓰기 활동과 피드백은 학생들의 논증 수준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반구조화된 면담 결과 꾸준한 글쓰기와 지속적인 피드백, 그리고 과학 글쓰기 관련 수업이 학생들의 논증구조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science writing activities related to ‘energy and climate change’ fo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 6 weeks, and investigated how their argument structure was develop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rst, before receiving writing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argument elements such as claim and reason, but after receiving science writing education using feedback, the frequency of use of argument elements such as ‘reason, evidece, acknowledgement and rebuttal’ increased. Second, in the early days of writing, “reason types” were the most common, but gradually developed into “rebuttal types” that included all argument eleme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ontinuous science writing activities and feedback improved the students level of argument. Forth, as a result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constant writing, continuous feedback, and science writing- related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argument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