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천 홍석주가 『도덕경(道德經)』을 주석한 목적

        김학목(Hak Mok Kim) 철학연구회 2003 哲學硏究 Vol.60 No.-

        조선조 『도덕경』주석사에서 주목할 점은 율곡 이이가 『도덕경』에서 수기치인과 관련된 구절들을 주로 발췌해 『순언』을 저술한 이래 그 주석에 대한 하나의 큰 흐름이 성리학의 형이상학적인 사유를 이탈하는 쪽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제자백가의 서적 가운데 『도덕경』이 주목되는 이유는 유와 무를 도와 관련해서 형이상학적으로 논의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이는 이와 거의 무관하게 『도덕경』에서 주로 마음 비움이나 절제와 관련된 구절들을 발췌해 『순언』을 편집했다. 이이가 이렇게 한 이유는 당시 조정이 동서로 분열하는 것과 관계가 깊다. 이이가 『도덕경』주석을 통해 조정의 분열을 비판하는 점은 서계 박세당으로 이어져 『신주도덕경』에서 더욱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박세당의 『신주도덕경』은 주자 성리학의 형이상학적인 명분론을 바탕으로 예송을 벌일 정도로 文 곧 명분론(名)에 사로잡힌 당시의 세태를 비판하기 위함이다. 곧 박세당은 『논어』의 문질빈빈을 근거로 文에 치우친 당시의 세태를 비판하기 위해 주자의 형이상학적인 사유방식으로 樸(質)을 강조하는 노자의 사상을 주석했던 것이다. 이외에도 『도덕경』을 주자의 형이상학적인 사유방식으로 주석한 데는 주자의 고원한 사유방식은 『도덕경』처럼 고원한 서적의 주석이나 적당하다는 비판 의식도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이가 『순언』에서 성리학의 형이상학적인 사유에 치중하지 않았던 점은 『정노』로도 이어지니, 그것은 연천 홍석주가 『도덕경』을 원시유학적인 사유로 해석하면서 노자의 사상을 극도로 긍정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홍석주가 『도덕경』을 이렇게 주석한 근본 이유는 박세당의 주자 성리학 비판에 맞서 주자학을 경세론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정립하기 위함이다. 비록 주자가 형이상학적인 논의를 간혹 했을지라도 이는 그 당시의 상황에 따라 유학을 변호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한 일이다. 그런데 박세당은 그런 상황도 모르고 『도덕경』을 성리학적인 틀로 논의했으니, 이는 원시유학과 크게 다르지 않은 노자의 사상을 오도한 것이다. 홍석주가 박세당의 주자 비판에 맞서는 것 이외에 『도덕경』을 원시유학의 사유방식으로 주석한 다른 이유는 노자의 사상처럼 주자의 사상도 대부분 원시유학을 벗어나지 않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강조하기 위함이다. 이미 청조의 학술 변화와 기독교를 통해 서양문물을 접한 상태에서 홍석주는 탈주자학자나 실학자의 성리학 비판을 냉정하게 받아들여 주자학에서 성리학적인 면을 과감하게 제거함으로써 주자의 경세론적인 면을 부각시키려는 것이다. 곧 정통주자학자인 홍석주는 조선후기 관념적인 성리학의 폐단을 인정하고 그것을 주자학과 결별시킴으로써 주자학에 여전히 통치이데올로기로서의 권위를 두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노자』에 대한 박세당의 이중성과 그 주석 시기

        김학목(Kim, Hak-mok)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6 No.-

        박세당은 그의 연보와 『장자』 주석에서는 노자에 대해 부정적으로 비판하고 있지만 정작 『노자』 주석에서는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논자는 노자에 대한 그의 이중성을 살펴보고, 또 그가 『노자』를 주석한 시기를 고찰하고자 한다. 서계의 편지 글로 볼 때, 1678년이나 그 이전에 이미 『노자』 주석이 있었고, 그의 『장자』 주석 「서문」으로 볼 때, 1680년에 『장자』 주석이 있었다. 그런데 『장자』 주석보다 먼저 완성된 『노자』 주석에 노자에 대한 비판이 없다면, 그 이유는 그가 노자에 대해 점차 긍정적으로 변해 부정했던 부분을 그 후 다시 수정했다는 것이다. 그의 『노자』 주석 「서문」이 그 주석과 함께 있지 않고, 또 그 「서문」에서 그 주석 시기가 기록되지 않은 것도 그 증거이다. 그가 비록 『노자』를 주석했지만 일관되게 완성하지 못해 「서문」을 함께 넣지 못했고 그 시기를 기록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서계가 『사변록』에서 원시유학을 근거로 주자성리학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것으로 볼 때, 그는 당시 사대부들이 허례허식에 빠진 원인을 주자의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에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그 병폐 치료를 위해 질박함을 강조하는 『노자』를 주석했던 것이다. 그런데 그는 자신이 그토록 부정한 주자의 사유방식으로 『노자』를 주석했으니,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당시 사대부들이 가장 익숙한 사유방식으로 질박함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주자의 형이상적인 사유방식은 『노자』처럼 어려운 책의 주석에나 적당하다고 암암리에 비판하기 위함이다. 서계는 한마디로 『노자』 주석을 통해 당시 주자의 사유방식에 익숙한 사대부들과 한 판의 승부를 겨루며 비판하느라고 『장자』 주석 이후에도 일정 시기 또는 평생 그 주석을 계속 치밀하게 갈고 닦았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Park Se-dang criticized Laozi negatively in his annals and his annotation of Zhuangzi(壯者), but actually he did not criticize him so much in his annotation of Laozi(老子). So,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his dual attitude toward Laozi(老子)and the time when he criticized Laozi. According to the letter of Park Se-dang, there was already an annotation of Laozi in or before 1678, and in 1680 there was an annotation of Zhuangzi(壯者) found in the preface to his annotation of Zhuangzi(壯者). However, if there is no criticism of Laozi in the annotation of Laozi completed before his annotation of Zhuangzi(壯者), the reason is that he gradually changed positively toward Laozi and then revised the part he denied. It is evidence that his preface to the annotation of Laozi is not found in his annotation of Laozi, and that the period of his annotation of Laozi is not recorded in the preface. Although he commented on Laozi, he could not put the preface together because he could not consistently complete the comment of Laozi, so he could not record the period of his annotation of Laozi. Park Se-dang criticized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of the ZhuXi(朱子) school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He thought that the bureaucrats and scholars fell into a hollow cause of the day because of XhuXis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Thats why he commented on Laozi, who emphasizes simpleness for eradicating such a social disease. Nonetheless, he commented on Laozi from the perspective of ZhuXis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that he did not prefer. There are two reasons he did so. One reason is that he wanted to make the scholar-gentry class in the Joseon period realize the importance of simpleness in the most familiar way of thinking at that time; the other reason is that he want to criticize that ZhuXis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is appropriate only for the annotation of difficult books like Laozi. In short,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Park criticized and competed with the bureaucrats and scholars familiar with ZhuXis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at that time through the annotation of Laozi, and he continued to revise his Annotation of Laozi for a certain period or a lifetime after his annotation of Zhuangzi in 1680.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