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인 작가 김준의 『십오만 원 사건』에 나타난 항일투쟁 시기의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김필영 ( Phil Young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9 No.-

        김준(1900-1979)의 『십오만 원 사건』은 1964년 카자흐스탄에서 출간된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단의 최초의 장편소설이다. 1910년대 말 중령 간도의 고려인 청년들이 군자금 마련을 위하여 중령 간도의 일본은행으로 수송되던 돈을 탈취하고 조국독립을 위하여 항일투쟁을 벌인 실화를 서사화한 작품이다. 1920대를 전후한 고려인 사회의 구성원은 경제적 이유로 월경한 농민들과 조국의 독립을 위해 망명한 애국지사였기 때문에 고려인들 사이에 자연히 반봉건주의와 배일사상이 형성되었다. 기성세대의 소극적인 항일사상에 바탕을 둔 독립만세시위가 일제의 총검 앞에서 좌절을 맛보았지만 이것은 민중의 뜻이 단체행동으로 실현된 고려인 사회의 첫 집단적 민족주의의 표현이었다. 평화적 시위로는 조국독립에 어떤 긍정적인 결과도 가져올 수 없음을 인식한 청년세대는 소극적인 민족주의에서 탈피하여 당시 원동지역에 도래하던 사회주의 사상을 수용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할 것을 주장하게 된다. 항일투쟁 전개에 있어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조화롭게 상생할 수 있었던 것은 고려인 사회의 민족주의 중심에 민중성이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회주의의 수용이 지배층의 지시에 의해서가 아니라 피지배층 농민출신 청년들의 자발적인 요구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철혈광복단 중심의 소극적 항일투쟁이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아 빨찌산 중심의 적극적인 항일 무장투쟁으로 전환하게 되고 적파군과 연대하여 원동에 있던 일본군과 백파군을 몰아내게 된다. 1920년대 초기에 전개된 항일투쟁 활동상을 1960년대에 카자흐스탄에서 소설로 형상화된 데는 스탈린 체재 하의 시대적 상황이 허락하지 않았던 이유도 있겠지만 그 보다는 20세기 초 원동 고려인들의 영웅적인 항일 활동상을 고려인 사회에 상기시킴으로 강제이주 이후 고려인 사회가 겪고 있던 민족적 치욕을 치유하고 젊은 세대 고려인에게 민족적 긍지를 심어주기 위한 김준의 작가적 의도에서 찾을 수 있다.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군과 손을 잡고 백파군과 일본군에 대항하는 고려인빨찌산의 영웅적인 행적은 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의 민족동질성 회복은 물론 소련 당국의 부당한 처사로 인해 훼손된 고려인들의 삶을 복원해 주는 상징적 역할을 하였다. 사회주의 사상은 고려인들의 항일 무장투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지만 그것이 소비에트 사회주의 이념으로 발전하면서 고려인들에게 1937년 강제이주라는 민족차별이나 1938년 민족 교육기관 폐쇄 등과 같은 엄청난 민족 수난을 초래한 부정적인 면이 없는 것도 아니다. 김준이 『십오만 원 사건』에서 고려인들의 참혹한 역사에 대한 언급을 회피한 점은 참으로 아쉽지만 그가 고려인이기 전에 소비에트 사회주의의 공민이라는 역사적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을 것이다. The Incident of 150,000 Won is a novel written by a Soviet Korean writer, KIM Jun(1900-1979). It was published in 1964 in Kazakhstan being the first novel of Korean literary world in Soviet Central Asia. As indicates the title, it is based on a true story of young Koreans in Manchuria who striped funds of a Japanese bank in order to buy arms for anti-Japanese struggle. The Korean community of Manchuria and Soviet Far East in 1920s were consisted of peasants who transgressed border to earn their living and patriots who exiled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ir fatherland. Naturally among Koreans, an anti-feudalism and anti-Japanese feeling were formed. Though the peaceful street march organized by passive anti-Japanese feeling of senior generations experienced a bitter discouragement before weapons of Japanese imperialist, it was the first massive expression of nationalism of Korean community which have realized the intention of people in a collective action. Finally younger generation became to know that such peaceful demonstration could not bring any result for independence. Getting out of the passive nationalism, they claimed deployments of armed struggle to Japan by accepting the socialism prevailed in the Russian Far East in those days. That the nationalism and the socialism could cohabitate harmoniously in the deployment of anti-Japanese struggle is not only because these ideologies of Korean community are based on the masses, but also because the claim was a spontaneous request of ruled class, not by the order of ruling class. In consequence, by the influence of socialism, the passive anti-Japanese struggle of the Independence Corps was switched over to active partisan armed struggle to Japan. Jointly and severally with Red Army of Russian October Revolution, they expelled Japanese army and Russian imperialist army of the Russian Far East. Why the author has novelized the anti-Japanese activities deployed in the Far East of 1920s in Central Asia in 1960s? There could be a reason that it was simply impossible under the Stalin regime. It would suitable to say that, by reminding deported Koreans to Central Asia of their ancestors` heroic activities of anti-Japanese struggle deployed in the Far East in 1920s, the author had an intention to cure the dishonor which Soviet Korean community has experienced since the forced deportation in 1937 and to implant national pride in the younger generation. The Korean partisans uniting with Socialist Revolutionary army for struggling to Russian imperialist army and Japanese army has played a symbolic role to revive the national identity of Soviet Korean community and restore the damaged life of Soviet Koreans by unfair treatment of Soviet authorities. The socialis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Koreans` armed struggle to Japan, but as the ideology of the Soviet socialists it had also a negative aspect such as national segregation by forced deportation of Koreans in 1937 and closing of Korean national schools in 1938.It is pity that Kim Jun kept silence about the cruel history of Soviet Koreans in The Incident of 150,000 Won, however he should have considered historic reality that he was a Soviet citizen before being a Soviet Korean.

      • KCI등재

        논문(論文) : 독일 3월 혁명 시기의 "슐레스비히-홀스타인(Schleswig-Holstein) 문제" 인식: 가톨릭 보수 언론을 중심으로

        김필영 ( Phil Young Kim ) 대구사학회 2011 대구사학 Vol.103 No.-

        Interpretation of the Schleswig-Holstein Conflict in the German Revolution of 1848 -Focusing on the Catholic Conservative Press Kim, Phil-young [Abstract] The Schleswig-Holstein, under Danish rule, became one controversial issue of the five border conflicts in which the Frankfort Parliament was involved, when it intended to build a new german national state in 1848. When Danish nationalists declared to incorporate Schleswig into the Denmark, German nationalists in Schleswig-Holstein protested against it. A war broke out between two groups in 1848 and until 1850. This war was supported by German nationalists in Germany and in Frankfort Parliament and it was declared as an important agenda to the German nation by the latter.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how the Catholic conservative press in Germany interpreted this war, in the sense of the German nationalism or a revolt against a legitimate Prince. It is meaningful to know this, because the Catholic conservatives, loyal to the Pope in Rome, were suspicious of their German nationalistic consciousness.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German Catholic conservative press interpreted the Danish-German war on the one hand as a revolt against a legitimate Prince, but on the other hand as a German national movement. Much of the press shared the warlike enthusiasm for the German nationalism in 1849. It can be said that the Catholic conservative press partially was involved with the German nationalism in some way.

      • 15세기 에스파냐와 오스만의 ‘다문화’ 정책

        김필영(Kim, Phil-yeong)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인간 Vol.4 No.2

        오늘 날 물적 인적 자원이 전 세계적으로 국경을 넘나드는 세계화 시대에 여러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들이 동일한 사회 내에서 ‘함께’ 살아가야 하는 ‘다문화’ 사회에서 주류 사회와 이주민의 통합 문제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15세기에 소위 ‘다문화’ 사회였던 에스파냐와 오스만 두 국가의 문화적 ‘타자’에 대한 정책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국가의 사회 통합 방안을 모색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에 주목하게 만들고자 한다. 15세기 에스파냐와 오스만은 기독교인, 이슬람교인, 유대인 등이 함께 살았던 ‘다문화’ 사회였다는 점에서는 동일했다. 하지만 이 두 국가는 ‘다문화’ 사회의 통합을 위해 다른 방법을 취하면서 다른 역사적 경험을 하게 되었다. 지배자와 주류 사회가 기독교를 믿었던 에스파냐는 문화적 ‘타자’에게 그들과 같은 기독교인이 되기를 요구했다. 즉 주류 사회에 ‘동화’되기를 강요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강요된 ‘동화’ 정책은 주류 사회가 ‘동화된’ 이들, 즉 콘베르소(개종한 유대인)이나 모리스코(개종한 이슬람 무어인)을 신뢰하지 못하면서 이들을 ‘종교 재판소’를 통해 ‘검증’하고 나아가 ‘순혈’이라는 인종주의적 잣대로 구분, 배제하면서 결국에는 ‘추방’으로 끝이 났다. 이에 반해 지배자와 주류 사회가 이슬람을 믿었던 오스만은 문화적 ‘타자’에게 ‘동화’를 강요하지 않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이긴 하지만 ‘자치’를 허용했다. 오스만은 이전의 이슬람 세계에서 통용된 관용적인 ‘딤미(Dhimmi)’ 제도를 계승하여 ‘밀레트(Millet)’ 제도를 확립함으로써 문화적 ‘타자’에게 경제적, 사회적 제한은 있었지만 그 제한된 범위 내에서는 근본적으로 자유로운 공동체 생활을 허용했던 것이다. 이 정책의 혜택을 받고자 에스파냐에서 추방된 유대인 중 일부는 오스만으로 이민을 가기도 했다. ‘문화’는 인간이 태어나 성장하면서 얻게 되는 ‘제2의 천성’과도 같다고 한다. 그런 ‘천성’의 변화를 ‘강요하는 동화’ 정책은 비인간적일뿐만 아니라, 주류 사회가 과거에는 ‘문화적 타자’였지만, 이제는 ‘동화된’, 즉 더 이상 문화적 ‘타자’가 아닌 인간을 자신과 ‘동등한’ 존재로 인정할 의사가 없다면 별 의미가 없음을 15세기 에스파냐의 사례에서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문화적 ‘타자’가 보유한 ‘제2의 천성’을 비록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였지만 인정하고 존중해 주었던 15세기 오스만의 사례가 사회 통합에 더 기여할 수 있는 모델이 아닐까 생각된다. It remains a difficult problem to integrate mainstream and immigrants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have to live "together" in an era of globalization today in which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are exchanged cross-border. This study wants to draw attention to the points to consider in seeking social integration policies in a so-called "multicultural" country by taking a look at two cases of the policies to the cultural "others" in Spain and the Ottoman Empire in the fifteenth century. It was the same that Spain and the Ottoman Empire in the fifteenth century were "multicultural" societies in which Christians, Muslims, and Jews lived together. However, the two countries have had different historical experiences while taking different ways for the integration of the "multicultural" societies. Spain in which the mainstream society and the rulers believed in Christianity forced the cultural "others" to convert to Christianity. In other words, it forced them to be "assimilated" into the mainstream society. But this forced "assimilation" policies ended eventually with "exile" while the mainstream society couldn"t trust in the "assimilated", i. e. Converso (converted Jews) and Morisco(converted Muslim Moors) and validated their conversions to Christianity by "Inquisition" and separated and excluded them by a racial criterion, "purity of blood". On the other hand, the Ottoman Empire in which the mainstream society and the rulers believed in Islam didn"t force cultural "others" to be assimilated and permitted them an "autonomy" under limited conditions. The Ottoman allowed the cultural "others" basically a free community life under some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by establishing a "Millet" system which inherited the tolerant "dhimmi" system that prevailed in the previous Islamic world. To receive benefits of this system, some of the Jews expelled from Spain emigrated to the Ottoman. "Culture" is equal to the "second nature" which man obtains by man"s birth and growth. An "assimilation" policy that forced one to change one"s "second nature" is not only inhuman, but also it has no meaning that the mainstream society is not willing to accept the one who is now "assimilated", no longer the cultural "other", as his "equal", as in the case of Spain in the fifteenth century. On the contrary, the case of the Ottoman in the same period can be a better model to contribute to the social integration while accepting and respecting the "second nature" of the cultural "other", although under some conditions.

      • KCI등재

        두 문화적 ‘타자’를 바라보는 하나의 시선?

        김필영(Kim Phil young) 한국독일사학회 2018 독일연구 Vol.- No.38

        20세기 초 제국주의가 고도로 발전했던 시기에 독일 선교 베네딕트회 오틸리엔 연합회 총아빠스 노르베르트 베버(Norbert Weber, 1870-1956)는 선교회를 지도하면서 직접 선교지역을 여행할 기회를 가졌다. 본 연구는 그의 ‘동아프리카’와 ‘한국’ 인식을 비교하면서 그가 두 문화적 ‘타자’를 바라보며 보유했던 ‘하나의 시선’을 식민주의와 선교 그리고 문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베버에게 독일 식민지 동아프리카의 비문명화된 ‘원시민족’ 흑인과 일본식민지 한국의 문명화된 ‘문화민족’ 한국인이 ‘기독교화’, ‘독일화’를 포함한 ‘유럽화’ 되어야 하는 ‘문화 활동’의 대상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비유럽 비기독교지역이 ‘유럽화’, ‘기독교화’ 되어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세상의 모든 민족에게 ‘기독교 복음’을 전하라는 예수의 ‘선교명령’ 때문이었다. 또한 오틸리엔 연합회의 설립과 선교활동의 시작 계기가 1880년대 독일제국의 ‘보호령’ 획득이었고, 독일 제국에서 ‘민족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독일인 취급을 받았던 독일 가톨릭교도들이 교회와 조국에 대한 이중의 충성심을 증명하고자 해외선교에 대한 열정이 강했었다는 점으로 볼 때, 독일민족주의와 제국주의라는 시대정신 역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베버에게 선교활동의 목표는 ‘신과 조국’을 위한 것이었다. 오틸리엔 연합회가 선교방침으로 ‘타문화 존중’을 내세웠지만, 문명화 사명이 타문화가 자문화와 같아져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베버의 독일 조국을 위한 민족적 열정이 컸던 것으로 보아, ‘타문화 존중’ 태도가 과대평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Archabbot Norbert Weber(1870-1956) of the Benedictine Congregation of St. Ottilien in Germany have had several chances to travel Eastafrica and Korea as mission area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age of imperialism’.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he had one view of the two cultural ‘others’, Eastafrica and Korea, in relation to colonialism, mission and ‘Kulturarbeit’, while it compares his perceptions of the two. Weber regarded Eastafrica and Korea as the mission objects by the Benedictines without differences which had to be ‘Christianized’ and ‘Westernized’, although he considered the black Eastafrican as uncivilized ‘Naturvölker’ and the Korean as civilized ‘Kulturvolk’. He justified this mission with the command of Jesus Christ to evangelize all nations of the world and with a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of Europe to the non-european cultures. And he had been influenced strong by the German nationalism which had induced the beginning of the Mission Benedictine of St. Ottilien and inspired the German Catholics who had been mistrusted as unpatriotic Germans because of their loyalty to the Pope their national patriotism. For Weber the mission, ‘Kulturarbeit’ aboard, meant his devotion to ‘God and Fatherland’.

      •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 <터미네이터> 는 1984년으로 갈 수 있는가?

        김필영(Phil you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30 No.-

        There are two doctrines of metaphysics of time: Presentism and Eternalism. Presentists claim that only present is real. On the contrary Eternalists claim that past and future are equivalently real as present. Eternalists argue that time travel is physically/logically possible and therefore past and future are real, because if there is neither past nor future, time travel is not possible. But some philosophers insist that even if there ais neither past nor future, time travel is possible. I will analyze and evaluate two issues related to the debate between two sides. First issue is whether the possibility of time travel implies Eternalism. And second issue is whether presentistic time travel is (Lewisian type) real time travel. I will conclude that real time travel is possible even if there is neither past nor future. It is proved that eternalists argument that possibility of time travel implies Eternalism is not sound. 대표적인 형이상학적 시간이론은 현재주의와 영원주의이다. 현재주의자는 오직 현재만이 실재한다고 주장하고, 영원주의자는 과거/미래는 현재와 동등하게 실재한다고 주장한다. 영원주의자들은 시간여행이 물리적/논리적으로 가능하고, 그렇기 때문에 과거/미래는 실재한다고 논증한다. 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과거로의 시간여행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하여 일부 철학자들은 과거/미래가 존재하지 않아도 시간여행이 가능하다고 반대한다. 필자는 이들 사이의 논쟁과 관련된 두 개의 이슈를 분석하고 평가할 것이다. 첫번째는 시간여행의 가능성이 영원주의를 함축하는지에 관한 이슈이고, 두 번째는 현재주의적 시간여행이 (루이스식의) 진짜 시간여행인지에 관한 이슈이다. 이를 통해서 과거/미래가 존재하지 않아도 진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필자의 이러한 결론을 통해서 시간여행의 가능성이 영원주의를 함축한다는 영원주의 논증의 부당함이 드러날 것이다.

      • KCI등재

        논문(論文) :“가톨릭 근본주의”로서의 “교황권지상주의(Ultramontanismus)”? - 19세기 중엽 독일 바덴 대공국의 “교황권지상주의자(Ultramontane)”의 정치 세력화를 중심으로

        김필영 ( Phil Young Kim ) 대구사학회 2015 대구사학 Vol.120 No.-

        ‘교황권지상주의’는 19세기 독일사에서 논쟁적인 개념들 중의 하나이다. 이 개념은 19세기 유럽 국가들에서 가톨릭교회가 로마교황과 연계하여 ‘국가교회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모든 지향들을 지칭한다. 베버는 이 ‘교황권지상주의’를 ‘가톨릭 근본주의’로 간주하는데, 본고는 ‘교황권지상주의’가 베버가 주장하듯이 ‘근본주의’라고 할 수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어떤 점에서 그렇게 볼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고는 한 사례연구로서 19세기 중엽 독일 바덴 대공국의 ‘교황권지상주의자’들이 정치 세력화하는 배경과 과정에 주목한다. 특히 평신도로서 프라이부르크 대학의 국가법과 교회법 교수이자 ‘교황권지상주의자’였던 프란츠 부스가 중심에 놓인다. 그는 1845년에는 종교, 정치적 급진운동이었던 ‘독일가톨릭교회’에 반대하여 가톨릭 주민을 동원하여 대규모 진정서 운동을 추진했었고, 1848년에는 가톨릭교회의 ‘자유’를 위해서 가톨릭협회를 조직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었다. 부스가 주장한 ‘교회의 자유’는 근대 국가가 가톨릭교회를 ‘국가교회주의’로부터 해방시키고 중세 때처럼 ‘조합’으로서의 전통적 권리들을 보장해 주는 것을 의미했다. 또한 그는 그와 생각이 다른 자유주의자, 개신교도와 ‘계몽된’ 가톨릭교도에게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기도 했다. ‘근본주의’ 역시 분명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용어 중의 하나이다. 근본주의 연구자 마이어에 의하면 근본주의는 특정 종교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상황에서는 모든 종교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근본주의 현상이 공유하는 중요한 특징들에 주목한다. ‘불관용’과 ‘근대적인 반근대운동’이 그것이다. 근본주의는 근대화의 결과인 다양한 종교, 이념, 문화 등을 인정하지 않으며, 근대적 수단을 이용하되 근대에 반해 ‘전근대’ 사회에서 이상을 찾는 반근대운동이라는 것이다. 마이어가 ‘근본주의’ 현상의 공통점으로 지적한 특징들을 근거로 볼 때 바덴의 ‘교황권지상주의’는 근본주의 혹은 근본주의적 운동이라고 할 수 있겠다. ‘Ultramontanismus’ is a term which has many meanings according to times and spaces. But it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orientation to Rome and the pope by Catholics in Europe who suffered under the ‘Staatskirchentum’, i. e. the Roman Catholic church 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s in the 19th centur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Ultramontanismus’ is a Fundamentalism, and if so, in which points we can call it so. To answer this question it takes a case study, focusing on the politicization of ‘Ultramontane’ in the Grand Duchy of Baden in Germany in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Especially its focus lies on a lay ‘Ultramontan’ leader, professor in state law and church law in the university of Fribourg, Franz Josef Buss. He organized two great campaigns of petitions in 1845 and 1848 to defend the rights of Catholics in Baden against ‘Germancatholics’, a religious and politic movement, and to achieve the freedom of the Catholic church in the sense of ‘Ultramontane’. The modern state have to leave the Catholic church free without his previous control and guarantee her traditional rights as a corporation as in the Middle Ages. He has a aggressive attitude to liberals, protestants and ‘enlightened’ Catholic cleric. Fundamentalism is a term also which cannot be defined clearly. According to an expert of Fundamentalism, T. Meyer, it can arise from every religio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He points out its shared meanings: non-tolerance, not accepting the diversity of religion, ideology, culture and so on, which resulted from Modernization, and its character of a modern Antimodern movement. In the sense of Meyer, we can regard the ‘Ultramontanismus’ in Baden as a Fundamentalism or a Fundamental movement.

      • 문화적 경계를 넘다

        김필영(Kim, Phil-Yeong)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인간 Vol.5 No.1

        여러 가지 이유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들이 동일한 사회 내에서 살아가야 하는 ‘다문화’ 현상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현실에 직면하여 문화적 ‘타자’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많은 사회 집단들이 문화적 ‘타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의 통합과 평화로운 상호공존을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그 성과는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 이유는 아마도 문화적 ‘타자’ 이해 가 생각보다 쉽지 않으며, ‘타자‘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보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우세한 까닭일 것이다. 문화적 ‘타자’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두 가지 연구방법이 최근 문화에 대한 연구성과로 확립되었다. 그것은 문화의 ‘구성적’ 성격과 문화적 경계를 넘은 ‘경계인’의 경험에 주목하는 것이다. 우선 문화적 ‘타자’가 관찰자에 의해 어떠한 배경에서 어떤 목적으로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문화적 ‘타자’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해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우리’와 ‘그들’ 사이의 ‘문화적 경계선을 넘는’ 경험을 통해서 문화적으로 ‘경계인’이 된 관찰자의 시선을 통해 문화적 ‘타자’의 이미지를 새로이 점검해 보는 것이다. 이렇듯 문화적 ‘타자’ 이해에 새로운 두 가지 연구 성과를 적용하는데 가장 적합해 보이는 대상 중의 하나가 바로 문화적 경계선을 넘나든 기독교 선교사들이다. 본고는 16세기 아메리카의 에스파냐의 선교사 라스 카사스(Bartolomé de Las Casas, 1474-1566)의 아메리카 원주민 인식을 바야돌리드 논쟁(1550-1551)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유럽과 아메리카를 넘나든 문화적 ‘경계인’으로서 경험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 아메리카 ‘원주민 노예주’에서 아메리카 ‘원주민 변호인’으로 변신했던 그가 가졌던 아메리카 원주민 상(像)에서 보이는 ‘문화적 월경’ 모습을 찾아보았다. 바야돌리드 논쟁에서 아메리카 원주민을 ‘타고난 노예’이자 ‘야만인’으로 인식하는 세풀베다에 반해 라스 카사스는 인종 및 종교와 문화에 상관없이 ‘신 앞에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는 기독교적 인식 위에서 원주민의 인권을 지지하고, 그들의 주권과 평등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분명히 ‘문화적 경계를 넘었다’고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그가 문화적 경계를 넘을 수 있게 해준 기독교적 신념이 다른 한편으로는 그가 또 다른 문화적 경계를 넘는데 장애로 작동했다. 타자, 즉 아메리카 원주민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 보다는 이들이 궁극적으로는 ‘평화적인 선교’를 통해 ‘기독교화’ 되어야할 대상, 즉 ‘서구화’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하는데 있어서 의심의 여지가 없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16세기 에스파냐제국의 당시 상황에서 라스 카사스가 그러한 견해를 개진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는 그가 16세기에 어떤 면에서는 ‘매우 높은’ 문화적 경계를 넘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The needs for understandings of cultural ‘others’ cannot be overemphasized for our ‘multicultural’ reality today in which many groups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have to live together in the same society for various reasons. It is a long way to go for many group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to achieve a social integration and live together in peace. It is not an easy job because negative images of the cultural ‘other’ prevail over positive ones. There are two new ways to research culture to help to understand the cultural ‘other’ better: the constructive character of culture and the attention to experiences of people who went beyond cultural border. First, it can be tried to reduce the negative images of cultural ‘other’ by observing how it can be constructed under what situation for what. Second, it can be tried to think about the images of the cultural ‘other’ again in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that went beyond cultural border. It seems to be the Christian missionary to be the most appropriate object to apply this two research methods. This study wants to draw an attention to the perception of Native American by Bartolomé de Las Casas (1474-1566), the Spanish missionary in America in the sixteenth century. He was first an encomendero, an owner of Native American slaves. After he regretted his life as such, he became a defender of them. There was a controversy in Valladolid in 1550-1551 to discuss the character of them, whether they were uncivilized, and propagation of Christianity to them.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traces of his going beyond cultural border in the defense for them in it. While Las Casas remained in his cultural border by convincing that the Indios in America had to be christianized, but he went beyond cultural border by positioning Indios to the Spanish, the Europeans, equal by believing “All man are equal before God” and requesting the Spanish to respect the culture of Indios and to missionize them by peaceful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과 계봉우

        김필영 ( Kim Phi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5

        이 글의 목적은 계봉우(필명 북우 혹은 뒤바보)가 민족어 교육에 참여했던 초기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 상황과 민족어 교육 현황을 소개한 후, 그가 남긴 문학 분야의 필사본 저술 가운데 <조선문학사>와 『레닌기치』 신문에 발표된 여섯 편의 시 작품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그 동안 계봉우의 <조선문학사>나 그의 창작 시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조선문학사>에 적용된 시대 구분과 갈래 분류에 나타난 계봉우의 견해를 안자산의 『조선문학사』에 대한 그의 부정적인 비평을 바탕으로 검토해보았다. 계봉우는 시대 구분을 ‘발아기’, ‘생육기’, ‘장성기’, ‘번영기’로 나누었는데 얼핏 보면 문학 내적인 기준을 적용한 것 같지만 실제 내용을 살펴보면 왕조사를 바탕으로 한 문학 외적 기준을 따르고 있다. 이는 안자산이 택한 문학 외적 기준을 적용한 시대 구분과 같은 것이다. 갈래 개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지만, 유감스럽게도 계봉우는 <조선문학사>에서 자신의 의욕과는 달리 어떤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계봉우 스스로가 밝힌 것처럼, 김태준의 문학 분류 방법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고, 갈래에 관한 내용 역시 당시 간행된 안자산 등의 저서들에 언급된 범위를 넘지 못하고 있다. 계봉우가 자신이 집필한 <조선문학사>에 대해 “내용이물론 빈약하며 솜씨가 서툴러 論斷이 물론 詳明치 못할지니 安自山의 것과 무슨 다름이 있으랴”라고 한탄한 것은 안자산에 대한 자신의 부질없는 비판에 대한 후회의 고백이나 다름없다. 계봉우의 <조선문학사>에 대해어떤 의미를 부여한다면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에서 시도된 첫민족 문학사라는 점이다. 『레닌기치』에 발표된 시가 모두 여섯 편이라고 단정한 뒤, 필명이 ‘뒤바보’가 아닌 ‘바보’로 발표된 시들도 계봉우의 작품임을 규명했다. ‘바보’가 계봉우의 필명으로 이미 다른 저술에 사용되었던 점과 문장의 특성과 연을 구분할 때 사용한 부호 등이 동일함을 들어 ‘바보’가 계봉우의 필명임을 입증하였다. 시 작품에 나타난 주제는 풍작에 대한 기쁨과 스딸린을 흠모한 작품으로 <꼴호즈의 밀가을>ㆍ<이날에>ㆍ<보배>가 있고, 레닌이 주도한 시월혁명을 찬양한 작품으로 <할아버지의 눈물>이 있고, 조선을 해방시킨 소비에트 군대와 스딸린을 예찬한 작품으로 <나의 늒김>과 <해방 삼주년>이 있다. 모든 작품에서 일관되게 소비에트 체재나 지도자를 찬양하고 있는데 이것은 소비에트 사회의 우월성을 강조하도록 한 소련의 문학창작 방향을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계봉우의 시 작품의 특징은 일정한 선동선전용 목적을 위해 창작된 시적 긴장이 결여된 행사시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situation of Korean literary world of Soviet Central Asia and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ere Gye Bong-U (penname Bugu or Dwibabo) has deployed educational and creative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in priority Gye Bong-U’s manuscrip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six poems published in the Lenin kichi. So far, there has not been any comprehensive discussion neither o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nor on his creative poems. Based on the period division and genre classification referred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e examined Gye Bong-U’s literary point of view through his severe review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An Jasan. Gye Bong-U divided the period in four: germination, growth, development, and prosperity. At a glance, it seems that he has applied the internal literary criteria, however if we examine in detail the contents, we know that he simply followed the external literary criteria based on dynastic history. This is the very period division of An Jasan, who referred the external literary criteria. In genre classification, to our regret, unlike his desire Gye Bong-U could not suggest any original opinion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Gye Bong-U himself revealed, he had to adopt Kim Taejun’s literary classification and could not overcome the limits described in the existing books written by An Jasan etc. Gye Bong-U himself valued his manuscript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at “not only its contents were poor due to absence of reference materials but also its conclusion were not clear due to my poor skill, it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An Jasan”. Such lamentation is nothing but a confession of regret about his idle thought on An Jasan. Nevertheless, if we grant a meaning to Gye Bong-U’s manuscript ‘History of Korean literary’, it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n society of Soviet Central Asia to write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ffirming that there are six poems published by Gye Bong-U in the Lenin kichi, we have cleared up that pomes published not only by ‘Dwibabo’ but also by ‘Babo’ are Gye Bong-U’s works. The penname ‘Babo’ was already used as his penname in journalistic articles and the poetic particularity and usage of certain mark in stanza division by ‘Babo’ are the same in the poems by ‘Dwibabo’. Regarding poetic themes, there are the joy of good harvest and admiration for Stalin in < autumn of wheat in Kolkhozes >, < This day > and < treasure >; the praise of the October revolution led by Lenin in < Tears of grandfather >; the admiration for the Soviet army, which liberated Korea and Stalin in < My feeling > and < Third anniversary of liberation >. Throughout all poems, the poetic narrator praises leaders of the Soviet Union and its system. It is because the direction and guideline of literary creation of the Soviet Union, which accentuates the superiority of the Soviet society, was consistently reflected in the poems. The characteristics of Gye Bong-U’s poems can be defined as an occasional poetry lacking poetic tension created for a specific purpose for agitation propagan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