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과 재학생들의 행복감,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에 관한 연구

        김평호(Pyong Ho Kim),김혜윤(Hye Yoo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진 행복감이 자아탄력성 및 자기결정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이 가진 행복감, 자아탄력성, 그리고 자기결정성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뒤 행복감이 다른 두 변수(자아탄력성과 자기결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였다. 경상남도 지역의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74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Pearson 상관관계 및 중다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내적행복 및 자기조절행복(행복감)은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자아탄력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의 자위요인은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의 하위요인은 자기결정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거치면서 마주하는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내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교사 역량 프로그램의 적용 및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e current paper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nse of happiness, ego-resilience, and self-determination. For these purposes, 174 pre-service teachers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Gyeongsangnam-do participated in surveys. The study then applied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analyses for its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sub-categories of sense of happiness of the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sense of happiness appeared to affect their ego-resilience.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sense of happiness appeared to affect their self-determination. The current paper suggested a few implications regarding the needs of teacher programs that aim to enhance their competencies in terms of overcoming stressful circumstances encountered during college courses and increasing their sense of happiness.

      • KCI등재

        Resolution of Teacher Feedback Constraints by Implementing Self-diagnostic tool

        Kim, Pyong Ho(김평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자기평가도구가 5학년에서 8학년 사이 173명의 학생들의 교사 피드백 활용의 효과를 높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89명과 84명의 학생이 2015년 5월부터 6월까지 3주에 걸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참여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루브릭(rubrics)과 안내질문(guiding questions)을 겸한 자기평가도 구를 사용하였다. 모든 학생은 문제를 풀고, 교사 피드백을 받고, 문제를 수정한 뒤 피드백 제공과 오류 수정 작업과 관련된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자기평가도구의 사용은 학생들의 성공적인 오류 수정작업과 교사들의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수용성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오류를 정확하게 지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상세한 지시사항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주 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피드백 제공의 중요성과 이유를 잘 인지함으로써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elf-diagnostic tools implemented among student participants ranging between 5th and 8th grades(N=173) would promote the usage of teacher feedback provided to them. The study was conducted in May and June, 2015, for three weeks as an experimental design in which 89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used the intervention, whereas 84 participants in control group did not use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comparing these two groups’ performance. Every participant solved problems, received teacher feedback, revised their own work accordingly, then answered questions regarding the feedback provision as well as error correction experi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diagnostic tools appeared to promote students’ successful error correction of their work, and to help them become more receptive towards teachers’ critical comments regarding their work. The outcomes imply that not only do teachers need to specifically locate the errors of student work, but they also are required to provide precise guidelines for error correction. Learners are encouraged to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as well as rationale of feedback provision in order to heighten receptivity level of critical comments regarding their work.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하는 갈등에 관한 연구

        김평호(Pyong Ho Kim),김길숙(Gil Sook Kim),김혜윤(Hye Yoo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보육실습생들이 보육실습과정에서 겪는 갈등의 유형과 보육실습기관의 배경 및 갈등 유형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4년제 및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예비유아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활용된 총 다섯 가지의 갈등유형으로는 자신갈등, 교사갈등, 유아갈등, 기관갈등, 동료갈등이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다섯 가지갈등요인 중 유아갈등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연령에 따른 보육실습 갈등을 분석한 결과 만 3세 반 보육실습생들의 유아갈등 평균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셋째, 보육실습기관에 따른 갈등유형을 살펴본 결과, 민간 어린이집의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신갈등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습을 통해 영유아 보육 및 다양한 영역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현장과 이론과의 연계성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를 경험하게 되므로 이러한 보육실습의 과정은 교사가 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보육실습생들의 갈등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실습기관에서 갈등요인을 최소화 하는 실습 직전 프로그램의 도입 및 운영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types of conflict that pre-service teachers encounter during their practicum course, as well as a possible existence of relationship between features of practicum sites and the types of conflict. To achieve the goals, 130 pre-service teachers enrolling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four- and three-year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sangnam-do participated in a series of survey. The five types of conflicts included ‘self’, ‘lead teacher’, ‘children’, ‘institution’, and ‘peer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children’ conflicts showed the highest score.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of 3-years-old classes demonstrated the highest score in ‘conflict with children’.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of private daycare centers displayed the highest score in ‘conflict with the self’. Because not only do pre-service teachers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needed for child care fields, but also they attain opportunities to move from theory to practice, practicum course is an essential procedure prior to becoming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mplied the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prior to conducting practicum in order to reduce conflict factors to the minimum.

      • KCI등재

        보육실습생이 가진 갈등의 정도,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분석

        김혜윤(Hye Yoon Kim),김길숙(Gil Sook Kim),김평호(Pyong Ho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본 연구는 보육실습생들이 보여주는 갈등의 수준,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의 정도를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서로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74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알아보는 단순 통계, Pearson 상관관계 및 상대적 설명력을 분석하기 위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실습생들이 가진 갈등 요인의 ‘자신갈등’, 행복감 요인의 ‘자기조절행복’, 그리고 자아탄력성 요인의 ‘감정조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earson 상관관계 결과 갈등(전체 평균)과 행복감(전체 평균)이 -.556(p<.01) 라는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보육실습생의 갈등(전체 평균)은 행복감(전체 평균)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3.77, p<.001).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보육실습생들이 추후 교사직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상황에 요구되는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current article aimed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levels of conflict, happiness, and ego-resilience, and how these factors affect each other. 174 pre-service teachers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four-years university in Gyeongsangnam-do participated in surveys, then the researchers conducted a preliminary statistics, a Pearson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conflict’ among the conflict factors, ‘self-control’ among the happiness factors, and ‘emotion-control’ among the ego-resilience factors came out to be the highest. Second, the results of Pearson correlation displayed -.556 between their levels of conflicts and happiness, which demonstrat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negative correlation.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conflict(the total average) affected their level of happiness(the total average) the most(t=-3.77, p<.001). The results suggested implications regarding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pre-service teachers to enhance their levels of happiness as well as ego-resilience.

      • KCI등재

        협력적 교수를 통한 과학지식 향상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을 중심으로

        안부금 ( An Bu Geum ),김평호 ( Kim Pyong 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협력적 교수와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중심의 과학지식 향상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두 명의 교수가 8주 동안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중심의 과학지식향상 프로그램을 협력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과학지식평가 자료와 과학교수효능감 자료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심층면담과 저널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적 교수와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중심의 과학지식 향상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과학적 지식 향상과 관련된 구체적 내용으로 과학적 지식 및 개념에 대한 관심 증가, 이해 향상, 중요성 인식이 나타났고 과학교수효능감과 관련된 구체적 내용으로는 수업목표의 구체화 및 세분화, 수업내용의 명확화, 유아 수준을 고려한 계획, 일관성 있는 계획, 과학수업에 자신감 갖기, 구성주의 교수법 적용하기, 일관성 있게 수업하기, 수업 평가 정확하게 하기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향상을 비롯한 교사교육 방법으로 협력적 교수와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amine the effect of an intervention aimed to improve science content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prospective teachers( N=40), adopting co-teaching and rubric-based feedback, on their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self- efficacy in science teaching. For this purpose, two faculty members collaboratively implemented an eight-week-long intervention, providing rubric-based feedback about the prospective teachers’ performance in order to promote their subject matter in scie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research material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science content knowledge as well as their self-efficacy in science teaching, post- intervention conferences, and journal writing. The findings obtained demonstrated that the intervention involving co-teaching and rubric-based feedback helped the participants enhance their science content knowledge: particularly increased interests in science subject matter and concepts, improvement i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its importance. After th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in teaching was also reinforced, particularly in defining the teaching objects in greater details, clarifying the lesson contents, planning the lessons in accordance with children’s learning level, planning with consistency, and accurately evaluating their lesson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can enhance their prospective teachers’ science content knowledge by implementing co-teaching and rubric-based feedback.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impli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prospective teacher educators are discussed.

      • KCI등재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일화기록 작성능력과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안부금 ( An Bu-geum ),김평호 ( Kim Pyong-h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일화기록 작성능력과 반성적 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작성한 일화기록에 대해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을 총 9회 실시하였으며, 일화기록 작성능력 평가자료, 반성적 사고 평가자료 그리고 심층면담과 반성적 저널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일화기록 작성능력을 향상시켰으며 구체적으로 피드백의 수용성과 활용도의 증가, 기록과 분석에 대한 수준 향상, 관찰 및 유아발달에 대한 관심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반성적 사고 수준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오류 인식, 생각의 변화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일화기록이 갖는 중요성에 비추어 예비교사 대상의 일화기록 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사교육 방법으로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rubric-based feedback strateg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in writing anecdotal records as well as their development of reflective thinking. To this end, pre-service teachers were provided with rubric-based feedback on their anecdotal records for nine instances during the intervention. Additionally, research materials including post-intervention conferences and participants` journal writings were collected to evaluate their competency in anecdotal writing and their development of reflective thin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intervention appeared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in writing anecdotal records, particularly for the following i) elevated level of acceptance and utility of provided feedback, ii) enhanced ability to document and analyze what they observed, and iii) higher interests in child observation an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specifically as follows i) detecting their errors, and ii) changes in their thoughts. The intervention implemented in this study (i.e., providing rubric-based feedback)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reinforce pre-service teachers` expertise on anecdotal record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se findings appear at the end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