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être et le paraître chez Mme de Lafayette

        김택모 한국프랑스문화학회 1997 프랑스문화연구 Vol.1 No.-

        본 논문은 라파이예트 부인의 소설 및 회고록 등, 전 작품에서 보여지는 궁정 서술에 있어, 작가의 종교적, 도덕덕 성찰과 연계된 작품의 의미, 그 “진실”을 파악해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무대화된 세계에 다름아닌 궁정과, 명예와 외형을 중시하는 그 등장인물들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대인관계에 있어 당대의 전형적인 인간관인 “교양인” (honnête homme)의 내면과 외면의 상충을 확인하였다. 특히 여러 작품의 주요인물인, 샤르트르 부인과 클레브 부인, 앙리예트 등의 행동 및 심리분석을 당대의 모랄리스트인 라 로슈푸코의 『잠언과 성찰』, 라 브뤼예르의 『성격론』, 보쉬에위 『추도사』 등과 비교검토하여, 작가의 글쓰기에 투영된 라파이예트 부인의 인간성 탐구에 대한 그 분학적 의도를 부각시켰다. 이러한 작가의 시선은 바로 이 “지상“의 세속적 모랄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이며, 그 염세적 세계관은 당시 고전주의 (1660~1680)의 “문학적 오귀스티니슴”과 궤를 같이 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 『잠언과 성찰』에 나타난 自愛心에 대해

        김택모 부산 외국어 대학교 1998 外大論叢 Vol.18 No.1

        On sait que La Rochefoucauld est un ??crivain mondain. Mais sa constatation 여 paradoxe, de l'hypocrisie, et de la fausset?? des vertus l'a amen?? ?? s'attacher ?? mettre au jour les ressorts de l'??tre humain avec une lucidit?? clairvoyante. Cette connaissance du aoeur s'accentue par une extr??me finesse analytique ?? d??couvrir ce qui se voile derri??re les actes humains. C'est la d??couverte augustinienne de l'amour-propre un seul amour naturel, l'amour de soi. L'auteur des Maximes d??nonce par l??en les hommes mondains les mobiles qui insprent le d??sir de "para??tre" : dans chacun de ces cas, la vertu se confond avec la r??putation, et les biens??ances sont un rem??de ?? la f??rocit?? et ?? l'ambition. Ainsi, la maxime 182 ne nous propose pas - solution optimiste - de faire des vertus avec des vices, elle se contente d'??clairer le paradoxe d'un univers o??le Mal collabore au Bien : ce qui est un bien, au regard du principe de l'action, peut ??tre un mal au regard de l'acte lui-m??me. Ainsi s'op??re un retournement complet des perspectives. Ce th??me, syst??matis?? en une critique g??n??rale des "fausses vertus", fonde, concluons-nous, l'analyse r??gressive de La Rovhefoucauld dont la formaule tient en la maxime-??pigraphe : "Nos vertus ne sont, le plus souvent, que des vices d??guis??s".

      • 지중해 지역의 프랑스 남부 작가 기행

        김택모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2 지중해지역연구 Vol.4 No.1

        La Provence bat dans les collines qui relient la mer aux montagnes des Alpes. Ce sont ces coteaux de vignobles, de cultures et de paysages colore′s qui ont charme′ Ce′zanne, Van Gogh, Chagall ou Giono…En Provence, les gens du Midi ont l′accent qui chante. Ils sont bon vivants et aiment se taquiner autour d′une table gourmande et ge′ne′reuse… C'est la Provence pittoresque de Pagnol, Daudet et Giono. Le bord de la mer Me′diterranne′e la Co^te d'Azur, la fameuse French Riviera, qui s'etend d'Hye`res a` Menton et accueille un tourisme intense et pluto^t luxueux dans ses grands hotels, restaurants chics, belles boutiques, plages prite′es et re′sidences prestigieuses. Les villes phares en sont Nice, Cannes, Saint Tropez et Menton. Mais le bord de la mer, c'est aussi la Camargue et ses gardians, les grands ports de Marseille, de Toulon et de Nice, portes de l'Afrique depuis l'antiquite. Fontvieille est le village ou` Alphonse Daudet a e′crit les celebres Lettres de Mon Moulin. Pour visiter le Moulin de Daudet et son petit muse′e, vous grimperez la petite colline ou` se tient le moulin majestueux. Jean Giono, enfant du pays Manosque, a consacre′ son oeuvre a` la Provence, il e′crivait de son village natal. Le ve′ritable tre′sor de Manosque est sa beaute′. Situe′e entre Marseille et Cassis, Aubagne est la ville natale de Marcel Pagnol. L'e′crivain cine′aste qui a celebre′la Provence et sa culture a` travers des personnages pittoresques, a passe′sa jeunesse a` Aubagne.

      • 세비녜 부인의 『서한집』과 그 종교적 성찰 : du salon au couvent 사교계에서 수도원으로

        김택모 釜山外國語大學校 1994 外大論叢 Vol.12 No.1

        La retraite a l'ecart de la societe mondaine, sujet majeur des lettres de Mme de Sevigne, est l'objet meme de notre travail. Subie l'influence augustinienne de Port-Royal, surtout celle des chemins que les jansenistes proposent a la devotion, elle commence a se connaitre elle-meme et a essayer de faire son salut hors du monde. D'ou vient l'image de desert, mot clef chez notre epistoliere et qui un des themes les plus chers des moralistes solitaires du XXlle siecle francaise.

      • KCI등재
      • KCI등재

        뽀르 르와얄과 고전주의 세대 (1660∼1980) 에 관한 소고

        김택모 한국불어불문학회 1991 불어불문학연구 Vol.26 No.1

        Nous avons suivi de fac¿on breve le courant augustinien a` la fois religieux et intellectuel au sens propre du terme et ensuite de le placer dans la perspective morale qui de´bauche notre propos. Nos analyses ont traite´s donc ce qu`on pourrait conside´rer comme le cadre social, moral, litte´raire et spirituel ou` s`inscrivent les oeuvres des mondains a` l`e´poque classique, objet me^me de notre recherche. Leurs re´flexions anthropologiques semblent refle´ter au premier abord le courant majeur auquel les auteurs ont respire´. Et ce point de vue de´gage en fait la piste de notre recherche. Par conse´quent, nous avons vu la parente´ entre l`homme tragique des janse´nistes et celui des mondains dont Pascal et La Rochefoucauld. Certes, les oeuvres de ceux-ci montrent a` merveille la de´sinte´gration du moi sous la pression des passions amoureuses. Cette constatation nous ame`ne a` dire que les mondains litte´raires ont ba^ti leur re´flexion morale de l`homme sur la vision du monde de Port-Royal. Et le rapprochement ne se situe pas a` proprement parler sur le plan de leur contact re´el, mais davantage sur le plan de leur pense´e intellectuelle.

      • KCI등재

        프랑스 17 세기의 " 교양인 " 과 그 문학적 투영 : 메레 , 스퀴데리 , 라파이예트 부인을 중심으로 autour de Mere , Scudery et Mme de Lafayette

        김택모 한국불어불문학회 2001 佛語佛文學硏究 Vol.45 No.-

        본 논문은 크게는 17세기의 프랑스 살롱문학의 성격과 특징을 탐색해 보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또한 작게는 작가 라파이예트 부인의 모랄리스트적 성찰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작품들을 탄생시킨 그 배경과 당대의 도덕적 성향과의 관계에서 부여되어진 그 의미를 재고찰하기 위해서 비롯되어진 것이다. 우리는 우선 동시대의 이상적 전형(典型)이 어떠했는지를 간략하고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작품들의 주안점을 밝혀 볼 필요가 있기에, 당대 17세기의 "교양적 품성"을 정립하기 위해 쓰여진 일연의 저서 속에서 파레Faret 와 메레Me′re′가 논한 "교양인"의 위상과 이를 반영하는 시대적 조류를, 또한 여성과 사랑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스퀴데리가 널리 보급시킨 "galanterie"(air galant)의 개념 및 그녀의 소설세계를 가늠해 보았다. 이 "교양인"과 "갈랑트리"라는 사교적 개념은 한편으로는 17세기 전기의 궁정사회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궁정을 벗어나 사교적 모임인 살롱의 발전과 더불어 17세기 후기의 귀족사회에서도 그 영향을 더듬어 볼 수 있으며, 그 의미는 사회 내에서 원만한 대인관계를 갖기위한 하나의 덕목으로 요구되어지는 행동양식이요, 남에게 보다 우호적으로 보이려는 미학적 기술(技術)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는 또한 당대의 문화적 사실임과 동시에 하나의 문학적 사실임을 보게 된다. 한편 이러한 지적 흐름 속에서 후반기의 대표적 작가인 라파예트 부인에서는 보다 철학적이며 인류학적 시선을 발견하게 된다. 요컨대 내용보다는 형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의 문화풍토에서 그 덕목의 허위와, 자애심에 기인하는 인간의 무력함 등을 지적한다 이는 이전의 사교문인과는 다른 인간성 탐구자의 모습으로, 17세기 프랑스 살롱문학의 또 다른 양상을 부각시킨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