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동 타동사 구문의 선행어 특성

        김청자 ( Chung Ja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0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0 No.2

        Research in Korean passive indicates that an antecedent of such types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with transitive verbs., as `dangha-da, pat-da, ip-da, mat-da`, is a word from Chinese origin combined with `-hada` verb. However, despite this common consensus, this study focuses on several words completely at variance. In fact, I noticed that not only words of Chinese origin function as antecedent of passive expression with transitive verbs but also every kinds of noun forms including native Korean words and borrowed words from foreign origin. The crucial condition for selecting their antecedents is semantic features such as {-concrete}, {+action}, {+state}, {+passive}, {+affectedness}. Also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not all antecedents are combine with ‘-hada’, this study draws on that by no means that types of ‘dangha-da’ verbs are combined with verb stem instead of ‘-hada’ verbs. It should rather be interpreted that such passive expressions of ‘dangha-da, pat-da, ip-da, mat-da’ verbs are basically the syntactic constructions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noun and verb.

      • KCI등재

        중등학생의 성취목표 동기유형에 따른 창의적 사고력,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분석

        김청자 ( Chung Ja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중등학생들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성취목표 동기유형별로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을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검증해 보려고 한다. 또한 4분법적인 성취목표 동기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반응이 가장 많은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이들 집단 간에 창의적 사고력이나 창의적 인성에 대해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고등학생 492명에게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성취목표 동기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한 뒤 상관관계, 중다 회귀분석,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성취목표 동기와 창의적 사고력과는 의미 있는 상관이 없었다. 한편 창의적 인성하위요인에서 "유머"만 제외하고 나머지 7개요인과 창의적 인성 합계는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숙달 회피 동기는 호기심, 개방성과 상관이 있고, 수행접근 동기는 호기심, 자기 확신, 인내, 유머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수행회피는 부적으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수행접근 동기는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요인 독창성만을 유일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인성하위요인 유머를 제외하고. 7개요인과 창의적 인성합계를 설명해 주는 요인은 숙달접근 동기로 가장 유의미하게 설명력이 높은 동기 유형이었다. 수행회피는 자기 확신, 유머, 모험심, 창의적 인성 합계를 부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었으며, 수행 접근 동기는 독립심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성취목표 동기를 6가지 유형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의 창의적 사고력의 평균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 하위요인 점수와 합계 점수는 의미 없는 점수를 나타냈다. 6가지 동기 집단 간의 창의적 인성 합계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점수에서는 상상력과 유머를 제외하고 나머지 6개의 하위인성 점수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achievement goal motivation theory an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motivation variables in predict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TTCT)``,``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Self-reported response data on these instruments from 492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were analyzed by SPSS 17.0 program. The core of the new conceptualization lies in two dimension of goal orientation: orienting content(mastery vs performance) and orienting attitude(approach vs avoidance). Four goal orientations such as of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new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second, mastery-approach is the best predictor of creativity among the motivation types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performance-approach was the second significant predictor of creativity. third, six groups, by using the clustering analysis, has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creative personality.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김청자(Kim, Chung-J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 및 학업성취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의 중‧고등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검사와 자기결정성 동기 검사를 실시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상관관계,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고등학생 모두 자기효능감 합계와 학업 성취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자기결정성 동기에서는 중학생은 자기결정성 동기의 하위 요인 모두가 학업성취와 상관이 있었던 반면에, 고등학생은 하위 요인 중에서 동일시조절, 통합조절, 내적 동기와 학업성취 사이에 정적상관이 있고, 무동기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서 중학생은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이, 고등학생은 과 제 난이선호도와 자기조절효능감이 학업성취를 의미 있게 설명하였다. 자기결정성동기 하위요인 중에서 중학생은 내 사조절이, 고등학생은 동일시조절이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motivation proposed by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motivation variables in predicting 480 middle/high students' achievement.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efficacy' and 'Self - regula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stepwised) analysis. The correlations among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The variables among self-determination were cor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Among the 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but amotiv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Self-control efficacy and self-confidence were the significance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Hard-task preference and self-control efficacy were the significance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Introjected-regulation was the bes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Identified-regulation was the bes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 KCI등재

        창의적 사고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변인에 관한 연구 -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김청자(kim chung-ja),유경훈(ryu kyung-h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5 영재와 영재교육 Vol.4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BR>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as made.<BR>  1. Is creativit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motivation?<BR>  2. Dose a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explain the creativity?<BR>  3. Does a creativity high level group makes any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motivation?<B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students. The creativity was measured by TT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was measured by Herman"s test.<BR>  Total 250 TTCT an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boys and girls of forth and fifth grades who attended two primary schools. Of 250 questionnaires, only 237 were retur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12.0 SPSS program. The data were also tested by using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BR>  1.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um of creativity and sum of achievement motivation including sub area. There i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reativity subfactor and achievement motivation.<BR>  2. The achievement motivation subfactors (Risk-taking behavior, Upward mobility, time perspective)significantly explain the creativity.<BR>  3. The student whose creativity subarea level is high have achievement subfactors (Upward mobility) explain 3 creativity subarea and Risk-taking behavior explain 1 creativity subarea.<BR>  Creative researchers have generally agreed that motivation is more effective in creative performance than any other reason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supported revised view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creativity will be adapted by the sub area type of moti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들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는 창의성과 성취동기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TTCT를 사용하여 창의성을 측정하였으며 동기영역의 측정은 Herman의 성취동기 검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창의성과 성취동기는 전체적으로 상관이 있었으며 하위요인별로도 상관이 있었다. 둘째,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창의성을 설명하는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을 살펴보았다. 창의성 전체는 성취동기의 하위요인 중 모험행동, 시간지각, 지위상승 요인들의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유창성은 모험행동 요인이 가장 잘 설명했으며, 독창성은 시간지각, 추상성은 지위상승, 정교성은 성취행동 요인이 의미있는 설명력을 나타냈다. 창의성 하위요인별 상위 25%의 학생들에게 있어서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독창성은 모험행동 요인이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유창성, 추상성, 정교성은 지위상승 요 인이 의미있는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는 아동들의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창의성의 하위요인별로 통기유형을 파악하고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연관지어 차별화된 창의성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창의성이 높은 아동에게도 효과적일 것이다.

      • KCI등재

        과외수업이 학교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과외 수업의 필요성과 학습태도를 중심으로 -

        김청자(Chung Ja Kim) 한국청소년학회 2001 청소년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과학계열)을 대상으로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시절에 경험한 과외수업을 회상하게 하여 학생 스스로가 평가한 과외 수업으로 인한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초·중등학교 시절의 과외 수업의 필요성과 과외 수업이 학습태도 형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가를 검토할 목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과외 수업을 하게 된 동기, 학교 단계별로 과외수업 이수과목의 변화, 과외 수업이 학교 학습에의 도움여부와 학습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에서의 학업 수행에 미치는 경향 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과외수업경험여부를 보면 유치원, 초·중·고등학교기간동안 과반수 이상의 학생이 과외수업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과외수업을 받은 동기로는 자신의 실력을 향상시키거나 타인과의 경쟁의식으로 과외수업을 한다는 것이다. 2) 어린 시절인 유치원 시기와 초등학교 기간에는 예체능분야의 과외수업을 많이 받는 경향인데 반해 중·고등학교에 갈수록 수학과 영어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아 대학입시와 관련된 교과목에 치중하는 경향이다. 4)과외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학교학습에 도움이 되었다면서 과외수업을 받기 잘 했다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상급학교에 갈수록 더 긍정적인 반응이었다. 5) 과외학습이 도움이 안된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었다. 6)과외수업으로 인해 괴로움을 느꼈던 정도는 괴로움을 느낀 적이 없다다 가장 많았으며 과외비 마련에도 별로 어려움이 없는 편이었다. 7) 학습습관과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은 초등학교 시절인 어린 시절에 형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평가였다. 학습의욕은 첫 번째가 중학교 시절에 다음이 초등학교 시절에 학습의욕을 지녀야 한다는 것으로 과외를 한 학생이 더 어린 시절을 강조하였다. 8) 학습습관, 의욕 및 학습에 대한 흥미유발은 자기 스스로에 의해서 길러진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다. 두 번째로 학습 의욕과 학습에 대한 흥미유발의 경우 과외를 한 학생은 과외수업을 통해서, 과외를 하지 않은 학생은 정규수업을 통해서 형성된다고 한다. 9) 과외수업이 대학수업에는 별로 도움이 안 된다는 반응인데 반하여 학습하는 방법이나 학습 태도에 효율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10) 만약 다시 중·고등학교 시절로 돌아가 대학 진학을 위해 준비한다면 학교수업을 중심으로 하면서 과외 수업을 약간 받겠다는 것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이었다. 이상의 반응으로 보아 각급 학교 단계에서 과외수업을 희망자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was to evaluate the students` achievements and effectiveness of out-of-school learning(OL) and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learning and learning habits through a questionnaire. The questions were based on the following issues: the previous experience of OL, the reasons for receiving OL, the advantages of OL,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learning and OL, the effectiveness of OL, when and how attitudes toward learning were formed, and contribution to the university education as a result of OL. 1. Over half of the students received OL in all stages of education (kindergarten through secondary education). 2. The reasons that they received OL were to improve their competence, to review and preview the materials, and to compete each other from a sense of rivalry. 3. The subjects of OL that they received were mostly arts or performing arts in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ages compared to mathematics or English in secondary school ages. 4.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ffects of OL increased in secondary education rather than in kindergarten and primary education. 5. Most of the students attribute the negative effects of OL to themselves because they didn`t study hard enough. 6. The majority of students tended not to feel distress because of OL. Also they tended not to feel discomfort for the preparation of OL expenses. 7. Most of the students tended to believe that learning habits and interest toward learning may well be achieved during kindergarten ag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may well be achieved during middle school age. 8. The majority of students tended to believe that learning habits, interests toward learning,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may be achieved by themselves. The students who received OL tend to believe that learning habits were formed through discipline at home and OL, while the students who didn`t receive OL tend to believe that learning habits were formed through regular classroom learning. 9. The majority of students tended to believe that learning methodology and attitudes toward learning in university education was changed effectively as a result of OL. 10. The majority of students tended to believe that, when they were given another opportunity to study for the university admission test, they would concentrate an the classroom learning, and would receive OL also.

      • KCI등재

        중등학생의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ㆍ외재적동기와의 관계연구

        김청자(kim chung Ja) 한국열린교육학회 2005 열린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중등학생의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ㆍ외재적 동기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ㆍ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창의성 검사와 성취동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내재적ㆍ외재적 동기를 알아보기 위해 Amabile의 WPI(작업선호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 동기와는 상관이 있었으나 외재적 동기와는 상관이 없었다. 둘째, 창의성을 설명하는 성취동기의 하위요인 4개와 내재적 동기의 하위요인과 는 모두 설명력이 있었으나 외재적 동기와는 영향력이 없었다. 셋째, 남학생은 성취동기 하위요인 4개, 여학생은 2개간에 각각 설명력이 있었고, 내재적 동기는 남ㆍ여 모두 의미 있는 설명력을 나타냈다. 외재적 동기의 하위요인 외부자극에서도 남학생만은 의미 있게 영향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단계별 중ㆍ고등학생들에서도 창의성과 성취동기의 일부 요인에서 각각 의미있는 설명력이 있었으며 내재적 동기에서는 모두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uture society is forcasted the creativity society. Both motivation and the creativity be suggested as a important factors to accomplish the individual. With 4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subject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of motivation and creativity. Creativity Test from GIFT, Herman's Achievement Motivation Test and Amabile's WPI(Work Preference Inventoy) Test were administered.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creativit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achievement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while no relation with extrinsic motivation. 2)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how much each variables of motivation adds to the prediction of the creativity. Achievement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unique effect on totaly creativity. 3) By gender, in boy student group, risk-taking behavior, time perspective, level of aspiration(in achievement motivation subarea), enjoyment, challenge(in intrinsic motivation), outward (especially in extrinsic motivation subarea) are significantly predict crativity. In girl student group, upward mobility, risk-taking behavior(in achievement motiv.), enjoyment, challenge(in intrinsic motiv.) are significantly predict crativity. 4) By School level, in the middle school level, risk-taking behavior upward mobility, task tention, time perspective(in achievement motiv.), enjoyment, challenge(in intrinsic motiv.), are significantly predict crativity and in the high school level, risk-taking behavior, upward mobility, time perspective(in achievement motiv.), enjoyment, challenge (in intrinsic motiv.), are significantly predict cra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of creativity. The findings provide preliminary bases for understanding the motivation role in crea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eacher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are dis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