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안지형 모니터링을 위한 해상모바일라이다 지형 측정 시스템 구축

        김창환,김현욱,강길모,김기영,김원혁,박찬홍,도종대,이명훈,최순영,박현영,Kim, ChangHwan,Kim, HyunWook,Kang, GilMo,Kim, GiYoung,Kim, WonHyuck,Park, ChanHong,Do, JongDae,Lee, MyoungHoon,Choi, SoonYoung,Park, HyeonY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4

        해안지역은 레저공간, 요양, 항만 및 발전소 건설 등으로 인간의 활용이 용이한 공간으로써 그 이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해안은 해양과 육지가 서로 만나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지역이다. 이렇듯 활발한 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해안지형에 대한 정기적인 해안침식 모니터링이 필요하지만, 지상라이다(LiDAR :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측량방법은 많은 시간 소요와 제약사항들이 있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효율적인 해안지형 측량을 위한 해상모바일라이다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은 선박에 지상라이다(RIEGL LMS-420i), 모션센서(MAGUS Inertial+)와 RTKGNSS(LEICA GS15 GS25)를 함께 고정 설치하여 해안선을 따라 선박을 운항하며 일정한 방향(해안 방향)으로 스캔하면서 탐사한다. 지상라이다로는 침식이 진행된 해안을 측량시, 해안침식에서 중요한 전빈지역에 음영대가 많이 발생하여 관측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 해상모바일라이다 시스템을 활용하면 음영대를 효과적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선박이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며 연속측량 할 수 있어, 비교적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을 효율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강릉항 주변 안목 송정해변에 대하여 실험 측량을 실시하고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효율적인 시스템 이용하여 침식피해가 심각한 해안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정밀 측량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변화 양상을 파악한다면 연안침식대응기술 개발 및 연안침식통합관리체계 도출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astal areas, used as human utilization areas like leisure space, medical care, ports and power plants, etc., are regions that are continuously changing and interconnected with oceans and land. Regular monitoring of coastal changes is essential at key locations with such volatility. But the survey method of terrestial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system has much time consuming and many restrictions. For effective monitoring coastal changes, KIOST(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has constructed a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The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installed in a research vessel, comprised a land based LiDAR(RIEGL LMS-420i), an IMU(MAGUS Inertial+), a RTKGNSS(LEICA GS15 GS25), and a fixed platform. The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is much more effective than a land based LiDAR system in the measuring of fore shore areas without shadow zone. Because the vessel with the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is continuously moved along the shorelin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urvey a large area in a relatively short time. We conducted test measurements in the Anmok-Songjung beach around the Gangneung port. Effective monitoring of the changes using the constructed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for seriously eroded coastal area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oastal erosion management and response.

      • KCI등재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의 구성 및 이용

        김창환,허경행,이완걸,정성태,Kim, Changhwan,Hur, Gyeunghaeng,Lee, Wangeol,Jung, Seongtae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8 No.3

        Laboratory facilities for biology are designed as biosafety level 1, biosafety level 2, biosafety level 3, and biosafety level 4. Biosafety level designations are based on a composite of the design features, construction, containment facilities, equipment, practice and operation procedures required for working with agents from the various risk groups. Generally, biosafety level 3 means the facilit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experiments using pathogens which can cause serious diseases by aerosol transmission. The biosafety level assigned for the specific work to be done is driven by professional judgement based on a risk assessment, rather than by automatic assignment according to the particular risk group designation of the pathogenic agents to be used. In this paper, we introduced the biosafety level 3 facility operated in ADD(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It contains the overview of facility, microbiological experiment, animal experiment, decontamination and waste disposal. Biosafety level 3 laboratory in ADD has served the vital role in the research of biological agents and antidote development.

      • KCI등재

        생체분리 면역세포를 이용한 면역기전 연구

        김창환,박상진,Kim, Changhwan,Park, Sangji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6 No.3

        Primary-cultured immune cells are widely used in research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inflammation including chemotaxis,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cytokine release and antigen presenting. Mice are one of the species of experimental animals commonly used for such studies. Immune cells can be isolated and cultured from various organs such as bone marrow, peritoneal cavity, lung, spleen. For elaborated experimental studies, immune cells should be elicited with inflammatory substances or proliferated in vitro with special media. This paper details methods of obtaining immune cells from various organs of mice and investigating immune mechanism using isolated immune cells. It contains standard protocols of isolating and culturing immune cells from bone marrow, peritoneal cavity and lymphoid organs. It also covers the methods of investigating immune mechanism such as ELISA, western blotting, confocal microscopy and ELISPOT assay. With the work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standardized isolation and analysis methods of primary-cultured immune cells.

      • KCI등재

        상처입은 세계, 시적 용서: 이창동 영화 『밀양』과『시』에서의 “용서”에 관하여

        김창환 ( Changhwan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1

        이 논문은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2007)과 『시』(2010)를 통해 한국뉴웨이브 영화의 새로운 지평평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창동감독의 영화는 한국 현대사회 속에서 문화적-정치적 저항기억을 형성하는데 기여해 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최신작 『밀양』과 『시』는기존의 한국 뉴웨이브 영화가 본격적으로 모색한 적 없었던 주제인 용서를 다룬다. 이 논문은 『밀양』과 『시』를 용서라는 주제를 연속적으로 다루는2부작으로 파악한다: 『밀양』이 희생자의 관점에서 용서라는 문제에 천착한 다면 『시』는 가해자의 관점에서 동일한 주제에 접근한다. 이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장에서는, 『밀양』을 중심으로, 희생자와 가해자를 중재해 줄 수 있는 어떠한 초월적 매개도 없는 세속적-역사적 세계에서 어떤 양태의 용서가 가능한지 살펴본다. 내재적 윤리의 가치와 가능성이 주요하게 다루어진다. 두번째 장에서는, 『시』를 중심으로, 연약한 주체인 주인공 미자를 통해 구현되는 용서의 구체적인 양태를 검토한다. “타자-되기”, 특히 “희생자-되기”,와 용서를 구하고 자기를 치유하는 미적행위로서의 “시쓰기” 가 논의된다. 그리고 왜 미적 영역에서 참된 용서가 가능하며 영화 『시』속에서 구현된 “시적 용서”의 구체적인 함의는 무엇인지 검토한다. 세번 째 장은 『시』에서 알레고리적으로 표상된 주권적 권위와 사법적 정의의 의미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밀양』과 『시』가 한국사회의 어떤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wo recent films by Lee Chang-dong, Secret Sunshine (2007) and Poetry (2010), both of which constitute a distinct horizon for the Korean New Wave Cinema. Lee’s films gravitate to cultural, political counter-memories and minorities in modern Korea, beginning with his early films: To the Starry Island (1993), A Single Spark(1996), Green Fish(1997), and Peppermint Candy (1999). Reflections on forgiveness, Secret Sunshine and Poetry show both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with his previous works. I consider the second film as a continuation of the first. While Secret Sunshine focuses on the victimized, Poetry invites the view to the side of the assailant. Notably, however, the two films speak to the same world where there is no transcendental mediator between the victimized and the victimizer, and forgiveness in the wake of histories of violence, loss, and pain should be found between secular beings. It is the world in which the public sphere appears hardly capable of bringing justice to individual conflicts thus forgiveness becomes the task of individuals. In this world, a scarred life continues without metaphysical hope for the ultimate reconciliation, that is, only with imperfect, fragile, historical compassion. However, only along with the impaired life does the search for sunshine, too, continue, which is foregrounded in the poem Mi-ja writes/reads for a girl who committed suicide by her grandson’s wrongdoing, that is, a practice of becoming the other, especially becoming the victim, through poetry. Through analysis of the two films, this essay examines how “poetic forgiveness” is possible in a wounded world.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광역권별 지역이동의 계층적 특징

        김창환(ChangHwan Kim)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1

        한국에서 민주화 이후 지역별 인구 증가의 경향이 변화하였으나 그 방향과 특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1990년 이후 지역별 인구변화의 새로운 경향과 지역이동의 계층론적 함의에 대해 살펴본다. 1990년 이전에는 서울 경기를 포괄한 수도권 전체로의 인구 집중과 경남 지역의 인구 증가가 특징이었다. 이후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은 지속되었지만 그 경향은 변화하여, 서울의 인구 정체와 경기 지역의 지속적 인구 증가가 특징이 되었다. 특히 경기 지역의 인구 증가는 주로 서울에서 경기 지역으로의 인구 유출에 기인한다. 2000년 인구총조사 2퍼센트 표본을 이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한 결과, 서울에서 경기 지역으로 전출할 상대적 확률은 신혼 후 독립한 하위직 화이트칼라가 높은데 반해, 경기나 기타 지역에서 서울로 전입할 상대적 확률은 전문/고위직 고학력층이 높다. 이 결과는 이 전 시대와 비교하여 1990년대는 정치체제의 변화 뿐 아니라, 지역 간 인구 이동의 계층 분화를 동반하였으며, 그 특징은 중하위계층의 서울에서 경기 지역으로의 유출, 상류계층의 경기 및 기타 지역에서 서울로의 집중 심화임을 보여준다. The patterns in the population growth across region in South Korea have changed substantially since 1990. Nevertheless, studies on this issue are sparse. This study examines the new patterns in the regional population growth and the geographic mobility by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obability of mobility and socioeconomic status. Before the 1990s, the intra-national regional mobility is characterized by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the Seoul Capital Area which encompasses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rapid population growth in Youngnam region. Although the concentration in the Seoul Capital Area continues after the 1990s, the divergence within the Seoul Capital Area emerges. While the population in Gyeonggi Province continues to grow, that in Seoul suddently stops growing.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in Gyeonggi Province since the 1990s is mostly attributable to the immigration from Seoul.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using the 2000 Korea Census 2% Sample File show that the relative odds to move-out from Seoul to Gyeonggi Province is higher for low-ranked white collar workers who made newly independent households after marriage than those with high socioeconomic(SES) status, while the relative odds to move-in to Seoul from other provinces including Gyeonggi Province is higher for the population with high SES than that with low SE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엔터테인먼트 환경을 위한 손 움직임 기반의 PC 입력 장치 개발

        김창환(Changhwan Kim),김혜림(Hyerim Kim),정인재(Injae Jung),김수지(Suji Kim),권미연(Miyeon Kwon)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In the digital era, the entertainment market is continuously evolving; however,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input devices have led to a decrease in user immersion. This paper proposes a novel input device that controls PCs based on user hand movements to address this issue. Utilizing Arduino for device implementation and C++-based WinForms for UI composition, the prototype is produced to verify the devices functionality, and the hardware is output through 3D modeling. This approach aims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raditional input devices and provide an optimal entertainment experience. Additionally, the device is anticipated to hav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resentation controllers and input devic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