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SSSL에 기반한 SGML 문서 표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창수(Changsoo Kim),정회경(Hoekyung Jung),윤보현(Bohyun Yun),강현규(Hyungyu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6 No.5

        This paper i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GML document presentation system to format SGML document based on DSSSL. ISO/IEC proposed DSSSL as the technological standard for formatting and transforming SGML document. This paper shows the design of this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model defined in DSSSL. This system, which is able to provide Korean, has parsing function of arbitrary DTDs, SGML documents and DSSSL style sheets, and contains a formatter that can manage various specifications, such as graphs, lists, pictures, as well as text. This will satisfy a user's intent for exchange of SGML documents that involve format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greatly contribute to make up SGML document processing environment. 본 논문은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문서를 포맷팅 처리하여 표현하기 위한 SGML 문서정보 표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ISO/IEC에서 SGML 문서 포맷팅을 위해 정의한 모델인 DSSSL(Document Style Semantics and Specification Language) 표준에 따라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SGML 문서를 온라인으로 포맷팅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한글 처리를 지원하면서 임의의 DTD(Document Type Definition), SGML 문서, DSSSL 스타일 시트에 대한 파싱 기능을 가지며, 텍스트뿐만 아니라 표, 목록, 그림 등 다양한 명세 표현이 처리 가능한 포맷터를 포함한다. 이는 이 기종간에 포맷 정보를 포함한 SGML 문서 교환에 대한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 보며, SGML 문서처리 환경 구축에 크기 기여하리라 본다.

      • KCI등재

        디지털유방영상시스템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영상평가

        김창수(Changsoo Kim),강세식(Se-Sik Kang),김정훈(Jung-Hoon Kim),이진수(Jin-S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유방촬영술은 유방암의 조기진단과 기본적인 스크리닝 검사의 진단방법으로서 디지털유방영상시스템의 보급과 유방촬영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유방영상의 화질은 타깃물질과 필터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조합은 X선 스펙트럼도 변화되지만 화질과 환자의 피폭선량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환자의 유선밀도와 두께에 따른 적합한 조합의 선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유방영상시스템에서 정량적인 영상평가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환자의 피폭선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타깃과 필터 조합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MTF, NPS, DQE의 영상평가에서 압박 유방의 두께가 얇은 경우는 Mo/Mo또는 Mo/Rh조합, 두꺼운 경우에는 Rh/Rh 또는 W/Rh 조합의 영상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임상에서 얇은 두께의 유방에 잘 사용하지 않는 W/Rh 조합이 공간해상력 평가 결과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량평가에서 압박 유방두께가 얇은 경우 Mo/Mo또는 Mo/Rh조합, 압박 유방두께 6cm 이상의 경우 Rh/Rh 또는 W/Rh 조합에서 피폭선량이 감소하였다. 두 번째 장기선량 평가에서는 검사 유방 외에 반대 유방의 선량이 검사 유방을 기준으로 약 47∼73%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유방 두께에 따른 최적의 타깃과 필터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환자 피폭선량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For the purpose of early diagnosis of the breast cancer, the attention on the screening mammography has been increasing with supply of digital mammography day by day. Image quality is decided by target materials and filter combinations. Optimized selection by a glandular density and a thickness is needed, because these combinations change x-ray spectrum and effect to image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optimized target and filter combinations through the evaluation of quantitative image quality and to suggest means which minimize patient dose through MCNPX. In results, spatial frequency resolution evaluation which is quantitative image quality evaluation method, MTF, NPS, DQE shows that we have to select Mo/Mo combinations or Mo/Rh combinations when compressed breastis thin. but in case of that when compressed breast is thick, we have to select Rh/Rh combinations or W/Rh combinations. In a comprehensive evaluation, W/Rh combinations which are not used in thin breasts in practice was superior to all image quality evaluation. This result is somewhat different with clinical examination results. Secondary end point was organ dose evaluation, radiation dose of opposite breast was approximately 47∼73% effectiveness when selecting standard breast. In conculsion,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we have to select the optimal combinations with considering dose evaluation and various thickness.

      • KCI등재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방사선 및 원전에 대한 인식 분석

        김창수(Changsoo Kim),김동현(Dong-Hyun Kim),김정훈(Jung-H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배경 변인에 따라 방사선에 대한 지식, 지식수준의 지각, 방사선의 편익과 원자력 위험에 대한 인식, 그리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 관련 정보수집과 인식 등은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한 연구 대상은 414명의 거주민이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들은 방사선의 필요성은 원칙적으로 인정하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방사선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과거 원전 사고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올바른 인식 전환을 위해서는 미디어를 통한 방사선과 원자력에 대한 교육과 홍보 그리고 방사선지식의 폭을 넓히고 나아가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시민들의 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Based on surveys of Busan residen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general perception: radiation knowledge, recognition of the standard of knowledge, radiation benefits, recognition of the risks of nuclear power,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recognition of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and the path of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nuclear power and radiation. This analysis was based on 414 people who reside in Busan metropolitan c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 Busan metropolitan city resident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radiation in principle, however, most have negative awareness relating to safety. It is assumed that this negative awareness is a result from past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rather than being based on their own knowledge of radia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efforts to change people’s awareness necessitate education of the public. This can be done via media, widening the range of people’s knowledge, and furthermore, promoting changes within people’s awareness and perspectives.

      • KCI등재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혁신의 성과와 함정

        김창수(Changsoo Kim)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문재인 정부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기존의 산업구조와는 차원이 다른 환경변화에 직면하자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로 대표되는 혁신적인 규제개혁을 표방하면서 경로창조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문재인정부의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규제개혁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방식의 성과와 한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2017년 이후 9,000여건 이상의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혁신의 성과가 나타났다. 입법방식의 유연화를 통해 신산업의 진입장벽이 완화되었고, 2019년 이후 행정규제기본법을 포함한 규제혁신 7법, 즉 규제샌드박스 입법완성과 규제혁신 3종 세트의 도입으로 규제 신속 확인, 임시허가, 실증특례 등이 획기적인 성과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장의 전문가들과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경청하면, 규제혁신과정에서 의제설정이 제한되는 무의사결정의 함정, 부가조건이 붙어 다른 규제가 증가하는 규제의 누적적 증가현상의 함정, 규제대상기업이 전문지식이 부족하고 준비가 되어있지 않아 발생하는 기회주의 속성과 도덕적 해이의 함정, 당사자 간의 이해관계 충돌로 인한 규제갈등의 함정 등 예기치 못했던 다양한 규제혁신의 한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규제혁신의 함정을 예견하고 사회경제적 편익과 비용을 고려하는 규제혁신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무의사결정이 진행되기 전에 소통하고 협력하는 장치마련이 필요하다. 부가조건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불확실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규제대상자의 기회주의적 속성을 막는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고, 규제갈등 해소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혁신성장 과정에서 새로운 산업의 시장 진입으로 인한 다양한 갈등을 해결해나가는 정부의 조정 역할도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regulatory reform in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ee types of governmental regulation is composed of economic regulation, social regulation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 by OECD, and regulatory reform is mainly concerned about entry regulation of economic regulation. Regulatory reform of economic regulation is made up of legislation style reform and regulatory sandbox in viewpoint of comprehensive regulation system. The performance of regulatory reform is made up of seven core regulatory legislation by regulatory governance, a set of three kinds of regulatory innovation like rapid recognition of regulation, temporary permission, and exceptional experimental permission, twenty-four regional free zones of regulation. In the contrary there are various kinds of pitfalls of regulatory reform like those of non-decision-making, pyramiding regulation, moral hazard based on opportunism and free-rider problem, and regulatory conflict. So I suggest that government should consider hearing from voices of industrial field to avoid non-decision-making, monitoring regulatory process and additional conditions of main regulation continuously to avoid pyramiding regulation, building up collaborative governance for the acceptance of stake-holders to avoid opportunism and moral hazard, setting problem solving first priority. Above all conflict mediation and resolut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enterprises should be needed.

      • The Factors of Successful Metaverse

        Kim Changsoo(김창수),Lee Sang-Gun(이상근),Kang Mincheol(강민철) 한국경영과학회 2010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Metaverses are immersive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s where people, as avatar, interact each other. These worlds have potential capabilities for enhancements of knowledge sharing, education, enjoyment, and so on. However, a process that how people deeply engage in this new space has been studied insufficiently, and even there are no insightful research models for that. Especially, various communities in metavers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success of metaverse, have also been studied yet. Therefore, current study suggests a conceptual model that measures community identification levels, which increases their collective efficacy and interpersonal trust. We hope that this model will cast insight on theoretical metaverse research and practical metaverse development.

      • KCI등재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및 효과 분석

        김창수(Changsoo Kim),최석윤(Seokyoon Choi),김정훈(Jung-H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는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교육정보를 이용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지원센터가 학생에 대한 교육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어떤 부분의 개선이 필요한지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분석 결과, 각 학교급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개선에 대한 요구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학습지원센터는 일원화된 서비스 체계보다는 학교급에 적합한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교육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도 초등학생과 중학생에게는 재미와 흥미를 강화할 수 있는 개선이 요구되며, 고등학생에게는 정보의 질적 측면을 강화하는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student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regarding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where students are using educa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the improvement to enhance the educational support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s well as requirement for improve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chool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enter to enhance the services appropriate for each school level rather than unified services. In other words, the improvement is required to enhance the fun and interesting aspect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ort is required to enhance the quality aspect of inform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hen educational information is provided.

      • KCI등재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김창수(Kim Changso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경제, 환경, 사 회, 그리고 제도적 측면의 지속가능발전지표를 구성하여 지속가능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해보았다.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의 경우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적정 유수율의 확보가 이루어져서 전국 평균 이상의 지속가능성을 나타내고는 있지만, 적정 가동률은 미흡하여 여전히 낭비적인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지속가능성은 100% 급수보급률 덕분에 이수안전도와 치수안전도가 상당하게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전국 평균 수준이지만,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유독물질 오염사고 등 심각한 수질 관리 문제를 안고 있었다. 사회적 측면에서 볼 때 수도요금은 공평하지만, 기장해수 담수화 수돗물 논란 때문에 사회정의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를 노정하고 있었다. 특히 제도적인 측면에서 부산광역시 지방상수도사업과 관련된 다수 부서의 정책조율이 어렵고, 제도와 정책이 뚜렷한 이유 없이 일관성을 상실하면서 수용성이 낮았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평점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측면에서 적정 가동률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기반투자를 위한 재정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상수도요금의 현실화가 시급 함을 제안했다. 둘째, 환경적 측면에서 이수안전도와 치수안전도가 상당하게 높은 수준이지만, 안정적인 수질 확보를 위해서 광역상수원인 댐 용수 확보를 늘이고 하천 표류수의 이용은 줄여나가는 정책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셋째, 사회적 측면에서 기장 해수담수화사업 갈등으로 인한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소가 상당 부분 존재하기 때문에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을 제안했다. 넷째, 상수도 사업 주 체들의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예측가능성이 높은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는 정책조율이 요구됨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waterworks service of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the viewpoi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cluding the four aspects of economic efficiency, environmental conservation, social justice, and institutional consistency. So economic sides, environmental sides, social sides and institutional sides of the waterworks project were considered and evalu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 found that social sides and institutional sides of the waterworks project were evaluated badly considering economic sides and environmental sides. Firstly, waterworks services were economically inefficient because of excessive facilities and low rate of water charge. Secondly, the quantity of tab water taken in from the river was enough for the citizens, but the quality of the surface river water was so bad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Thirdly, I found that social integration was not easy to all citizens because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Gijang seawater desalination project. Fourthly, I also found that institutional inconsistency around related actors made them hesitate to accept water policy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Busan Metropolitan City should consider more about social justice, policy consistency, and acceptance of the related actors rather than economic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waterworks service. I also suggest that the policy for getting safe and clean water from the water dam should be proceeding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