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성능 평가를 위한 IFC-BIM기반 요구정보 자동추출 방안 연구

        김창민(Kim, Chang-Min),김연아(Kim, Yeon-Ah),홍종필(Hong, Jong-Pil),최창호(Choi, Chang-Ho),이현우(Lee, Hyun-Woo)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7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1 No.2

        The demand for green homes has been increasing consistently. However, the evaluation of green homes has been performed manually, which is time-consuming and low in reliabi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ethod in order to extract and input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criteria evaluation of green homes from BIM automatically. In order to develop a method, first, this study defined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green homes. Second,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s to extract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formance details by type, air leakage and solar irradiance from BIM. Finally, this study reviewed the feasibility of the IFC based BIM for the evaluation on the green homes and, based on review result,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plans for the proposed method. Sinc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input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green home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through the proposed method, it is expected not only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evaluation but also to improve the responsive power of evaluation task by reducing the repetitive tasks that occur during design changes.

      • KCI등재

        오약(烏藥)이 주약(主藥)으로 배오(配伍)된 방제(方齊)의 활용(活用)에 대한 고찰(考察)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김창민,이장천,Kim, Chang-Min,Lee, Jang-Cheon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05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13 No.2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make sure the range of Lindera Radix' treatment, the nature of disease, the chief virtue of medicine, the pathology and the usage quantity of it in Donguibog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indera Radix is used in 15 fields which contain the Cerebrovascular Accident chapter. 2. The Lindera Radix is used in 31 pathologies of the cerebral infarction, intracranial hemorrhage, etc. 3. The Lindera Radix is used in a range of the pathology of the C.V.A, eliminating phlegm, stagnated blood, etc. 4. The Lindera Radix is used in a range of $2.4g{\sim}40g$ in herbal-prescription. The main using dosage is 4g. 5. The Lindera Radix is used with various crude herbs in accordance with the pathogeny. The Lindera Radix has been used to reduce the C.V.A, eliminate phlegm and any blocking substances with dampness, to promote sober by sending qi and reduce pain, etc. According to the results, I suggest to use the Lindera Radix in a various pathogenic fields. The Lindera Radix is able to remove not only pathogenic cerebral infarction or intracranial hemorrhage, but also pathogenic phlegm and sputm, etc.

      • KCI등재

        GeoVideo 제작 도구 및 뷰어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김창민,조대수,Kim, Chang-Min,Cho, Dae-S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5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다양한 영상제작도구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콘텐츠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위치정보가 포함된 GeoContents의 경우 위치기반의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진 등의 이미지 콘텐츠는 사용자 위치정보와 주변 POI 정보를 활용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있다. 동영상 콘텐츠의 경우 프레임별로 위치정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표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별 위치정보가 포함된 동영상 콘텐츠를 GeoVideo라 정의하고, GeoVideo 콘텐츠를 제작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GeoVideo 제작 도구 및 뷰어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GeoVideo는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동영상 콘텐츠 검색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continued popularity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s, the development of the various kinds of digital contents making tools has not increased only the productivity of the digital contents, but also the demand of them rapidly. Geo-contents which means the digital contents related to location(geographic) information has enabled the user custom services. Especially, there are already some commercial location-based services that provide the user to POI (Points of Interest) with the geo-image contents such as photos tagged by the location. In the geo-video contents, there could be several related locations in the whole video, but only one representative location is used to tag a location to the video. In this paper, we have define the geo-video as a video content which has as many locations as the number of frames composing the video. We have also proposed the geo-video making tools and a viewer to create and utilize the geo-video contents. The geo-video contents proposed in this paper, are widely used in location based video contents searching services.

      • KCI등재

        퍼지관계곱 기반 퍼지정보검색시스템 구현

        김창민,김용기,Kim, Chang-Min,Kim, Yong-Gi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8 No.2

        퍼지관계 개념에 기반한 BK-FIRM(Bandler-Kohout 퍼지정보검색기법)은 형태론에 입각한 기존의 정보검색기법과는 달리 문서와 용어의 상대적 의미에 근거한 퍼지정보검색기법이다. BK-FIRM은 시소러스 자동 구축 기능, 검색 결과의 퍼지화된 우선 순위 제공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BK-퍼지정보검색기법은 높은 시간복잡도(time complexity)의 검색 연산을 내재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 적용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축소용어집합을 이용하여 BK-FIRM의 시간복잡도를 낮춘 A-FIRM(개선된 Bandler-Kohout 퍼지정보검색모델)을 소개하고 이를 정보검색시스템으로 설계 및 구현한 A-FIRS(개선된 Bandler-Kohout 퍼지정보검색시스템)를 구현한다. A-FIRS는 크게 문서베이스와 시소러스를 구축하는 전처리부(preprocess unit)와 사용자의 검색요구를 처리하여 문서를 검색하는 실시간처리부(real-time process unit)로 나누어지며, 각 처리부는 기능적 특성에 따라 4개의 처리단계로 구성된다. A-FIRS는 WWW 기반 환경과 연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WWW 환경의 사용자로부터 주어진 검색요구를 처리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제주도 마을의 호적중초에 나타난 궨당관계의 변화

        김창민 ( Chang Min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1 韓國文化人類學 Vol.44 No.3

        이 연구는 시계열적으로 궨당관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60년대부터 1890년대까지 제주도의 한 마을에서 나타난 혼인관계의 변화를 통하여 궨당관계가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그 문화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궨당은 혈통과 혼인으로 맺어진 사회적 관계망을 말하는 것으로서 개인마다 궨당의 범위는 서로 다르다. 마을 내 정치권력의 지형과 영향력의 범위는 궨당관계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다. 궨당관계의 망을 분석하면 누가 사회관계의 중심에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달밭 마을은 1800년대 중반 이후 인구 이동이 매우 활발하였다. 호적중초를 통해서 보면 기존의 가구가 이주해 나가고 새로운 가구가 이주해 오는 빈도가 매우 빈번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을 구성원들은 궨당관계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는 인구의 이동이 궨당관계를 기초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구의 이동과 세대의 교체로 궨당관계망은 변화되었다. 궨당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관계망은 인구 이동과 세대의 교체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 궨당관계의 변화에 의하여 사회관계의 중심이 변화되었다. 1864년의 달밭 마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중심에는 풍천 임씨들이 있었다. 그리고 고부 이씨들은 풍천 임씨와의 궨당관계를 매개로 마을로 이주하였고 마을 내에서 영향력을 확장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풍천 임씨들과 겹사돈을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1894년에는 마을 사회관계망의 중심이 고부 이씨로 변화되었다. 고부 이씨들은 혼인을 통하여 궨당관계를 확장하였을 뿐 아니라 부찌사돈을 활용하여 사돈관계의 범위도 확장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고부 이씨들이 달밭마을의 중심세력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궨당관계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a social relationship and its changes in the 19th century in a village located on Jeju Island. I studied how changes in the kwendang relationship and the cultural meaning of kwendang took place by analysis of changing patterns of marriage ties in the village from the 1860s until the 1890s. Kwendang is the core social relationship in the society of Jeju Island. kwendang is the social relationship made by blood ties and marriages. kwendang is a very important cultural element of Jeju islanders when they exchange labor and make political alliances; these social relations are the basis of kwendang. In this context, to understand kwenda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Jeju. I understand kwendang relationships and their changes by analyzing Hojoekjungcho which is a written record which was kept to record information about populations, marriage and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wo fold. First, though population mobility in the 19th century Jeju village was very high, villagers were related by kwendang. Even though kwendang relationships were changed by population mobility and change of generation, they reorganized kwendang relations and had strong socialties. Second, the dominant family of the village was changed by kwendang relationships. In 1864, the Lim family occupied the dominant position in the village and the Lee family immigrated to the village with the kwendang relation to Lim. After that, the Lees made many kwendang relationships to the villagers and gained a dominant position in the village. According to this study, kwendang can be understood as a key cultural element for attaining political power and social ties in historical Jeju villages.

      • KCI등재

        재일 제주인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문화적 기초

        김창민 ( Kim Chang-m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4

        이 연구는 ‘문화적 접경지대’의 관점에서 재일 제주인 공동체의 사회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주사람들은 일제 강점기 이후 대규모로 일본으로 건너가 재일제주인 사회를 형성하였으며 마을마다 친목회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친목회는 일본에서 상호부조와 친목활동을 할뿐 아니라 고향마을의 개발사업에도 재정적인 후원을 하였다. 이는 재일 제주인 사회가 공동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친목회 구성원들 사이에 사회적, 경제적 조건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친목회가 공동체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재일 제주인 공동체는 ‘상상된 공동체’이다. 재일 제주인 사회가 공동체로 상상될 수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하나는 이 공동체가 출신 마을을 근거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거주 기간의 차이, 경제적 차이, 사회적 지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재일 제주인에게 출신 마을은 일본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적 준거의 하나이다. 밀항자들에게 고향은 최종적으로 돌아가야 할 곳이며 오래된 재일교포에게 고향은 일본에서의 성공을 인정 받아야 하는 곳이다. 이런 면에서 고향은 친목회 구성원들에게 ‘작고 따뜻한 세계’의 이미지를 주고 있으며 이는 일본에서의 친목회가 공동체라고 인식하게 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다른 하나의 이유는 공동체 내부의 인간관계가 유교적 질서에 근거해 있기 때문이다. 공동체 내부에서는 사적 이익보다 공적 이익을 우선시 하며, 조상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일을 중요시하였다. 또한 연장자가 존중받았다. 이런 유교적 질서가 중요하게 인식되었기 때문에 공동체 구성원들은 경제적 조건, 일본에서의 법적 지위 등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런 차이는 의미가 없는 것처럼 간주되었다. 요컨대, 재일 제주인 공동체는 문화적 접경지대에 있으며 고향과 유교적 질서라는 두 가지 상징적 자원을 활용하여 일본 사회에 적응하는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ocial relation of Jeju community in Japan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boundary’. Jeju people had immigrated to Japan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d formed Jeju social groups in Japan. These social groups not only have functions to do mutual aid and socialize with confidence in Japan but give financial support to home village’s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in Jeju. In this perspective,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in Japan can be considered as a community. In spite of the diversity in social or economic conditions of members, these social groups recognized as community. In this meaning,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in Japan are ‘imagined community’. There are two reasons in the fact that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in Japan imagined as a community. One is the fact that these social groups has been organized based on home village in Jeju. In spite of the social or economic difference, Jeju immigrants regard home villag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reference in Japan. Because home village gives image of ‘little cozy world’ to the Jeju immigrants, these social groups based on home village conceived as a community. The other reason is the fact that social relationship in Jeju immigrant’s group is based on Confucian order.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put priority on common wealth rater than private interest and put emphasis on ancestor worship. Further more, senior members are held in honor by junior members. In spite of the differences on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members, Confucian order makes these differences meaningless. In conclusion,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are cultural boundary and accommodate to Japan society by using symbolic resources such as home village and Confucian order.

      • KCI등재

        마을 조사와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창민(Kim Chang-Min) 한국민속학회 2008 韓國民俗學 Vol.47 No.-

        이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의 마을 조사ㆍ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마을 연구를 두 가지 축에 의해 유형화 하였다. 하나는 마을의 조사ㆍ연구의 목적을 자료 수집인가 아니면 연구인가에 의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마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할 것인가 아니면 관점으로 인식할 것인가이다. 이 분류체계에 의하면 지금까지 민속학 분야에서 행한 대부분의 마을 조사ㆍ연구는 마을을 조사의 대상으로 인식함으로써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마을 조사 연구는 마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문화 또는 민속의 항목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고, 단기 방문을 통한 인터뷰를 가장 중요한 자료 수집방법으로 사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마을 연구가 마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고 동시에 자료 수집을 가장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고 있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방식의 조사 연구로는 학문적 논의의 장을 열기 어렵다. 단순 자료 수집으로는 마을의 정체성 논의나 마을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시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을을 연구의 지점으로 인식함으로써 마을에서 수집된 자료를 보다 일반적인 주제의 논의로 확장시킬 것과 마을 연구의 내용을 체계론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구성할 것, 그리고 장기적 참여관찰과 심층적 문헌 분석을 통한 자료수집 방법의 보완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이 마을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하는 방안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Korean village studies. For this purpose, I devide Korean village studies into four types. These types are 1) village regarded as object of study-key purpose as data collecting, 2) village regarded as object of study-key purpose as research, 3) village regarded as locus of study-key purpose as data collecting, 4) village regarded as locus of study-key purpose as research. As a result, from now most Korean village studies are village regarded as object of study and key purpose as data collecting types. These type of studies are consist of many cultural items and the contents of these cultural items are very similar between villages. And these studies get methodology of short term visiting and interview. So, the data get lost contextual meaning. I would like to propose an alternative ideas to village studies. I propose that Korean village studies regard village as locus of studies and systematically analyse cultural items in there context. And I propose a methodology of long term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is case, Korean village will be more systematically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