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PC 분말이 첨가된 설기떡의 품질 특성

        김찬희,Kim, Chan-Hee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3

        The effects of substituting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powder for rice flour in the preparation of seolgiddeok were determined by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s. Milk whey is drained from milk curd as a by-product of the cheese manufactureing process. Whey protein is known as a good nutritional source and is a functional material for many processed foods. WPC contains more than 80% whey protein.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and the decrease in moisture was less in the control than in the WPC powder substituted groups. The color lightness (L)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WPC powder increased, wherease redness (a) and yellowness (b) both increased. Texture analyses revealed that the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of seolgiddeok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WPC powder in the formula. Seolgiddeok gelatinization was investigated by amylographing. Initial pasting temperature, peak viscosity, hot pasting viscosity and breakdown were low in seolgiddeok prepared with WPC powder substituted for rice flour. Setback had the lowest value in the control. Sensory evaluations revealed that, seolgiddeok prepared with 3% WPC powder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WPC seolgiddeok with 3% WPC powder has the best quality.

      • KCI등재

        무청 분말이 첨가된 설기떡의 품질 특성

        김찬희,Kim, Chan-H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eolgiddeok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adish leaf powder, and stored for 3 day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and the decrease was less in the groups with radish leaf powder than in the control. The color L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radish leaf powder increased, while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both increased. Measurements with a texture analyzer, showed that the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of Seolgiddeok tended to decreas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radish leaf powder in the formula. The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Seolgiddeok were investigated by amylograph. Breakdown and setback in Seolgiddeok were low following the addition of radish leaf powder. In the sensory evaluation, Seolgiddeok with radish leaf powder was superior in flavor, chewiness, and softness than the control. Seolgiddeok with 3% radish leaf powder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addition of radish leaf powder to Seolgiddeok improve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delays retrogradation.

      • SCOPUSKCI등재

        Whey protein isolate가 첨가된 저지방 버터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김찬희(Chan-He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2

        본 연구에서는 버터 스폰지 케이크 제조시 버터 대신 WPI를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제조한 후 반죽의 특징 및 제품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WPI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케이크 반죽의 비중은 일정하게 감소하였지만 점도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완성된 케이크의 굽기손실율은 감소하면서 비용적은 증가함을 보였다. 외형은 W-20과 W-40이 가장 바람직한 버터 스폰지 케이크의 형태를 가지는 동시에 질감도 control과 유사한 정도로 부드러웠다. WPI 80% 이상 대체의 경우 케이크의 부피는 커졌지만 WPI의 열에 의한 응고로 인해 부드럽다기보다는 오히려 무겁고 단단한 케이크가 되었다. WPI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케이크의 수분함량이 감소하면서 응집성, 탄성, 복원성이 감소된 반면 경도, 씹힘성, 점착성, 부착성, 부숴짐성은 증가함을 보였고 케이크 중 W-20은 control과 비교시 모든 값에서 유의적으로 유사함을 보였다. 케이크의 crust 색은 WPI가 많을수록 명도와 황색도가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고 crumb의 경우 명도 결과만 상반된 변화를 보였다. 관능 결과에서도 W-20이 control과 비교해 볼때 가장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WPI 대체 버터 스폰지 케이크의 최종 품질은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낸 W-20이 우수하였고 40%이상 대체시에는 전체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버터 스폰지 케이크 내에서 버터 대체물로 이용하는 WPI의 가장 적절한 대체비율은 20%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케이크 이외에 유지를 사용하는 식품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WPI를 이용한 지방 대체 식품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effects of substituting whey protein isolate (WPI) for butter in the preparation of butter sponge cake were determined by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s. The specific gravity of cake batter, the cooking loss and moisture content of cake were all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WPI, whereas specific loaf volum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WPI content, redness of crust and crumb, as well as lightness of crumb were increased, whereas lightness of crust, as well as yellowness of crust and crumb were all decreased.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dhesiveness and fracturabilit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WPI, however,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resilience were de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20% WPI-substituted cake displayed scores similar to those of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stitution of 20% WPI could be the best ratio for the preparation of butter sponge cake.

      • KCI등재

        맥락 및 운율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정서 이해 특성

        김찬희(Chan-Hee Kim),김영태(Young Tae Kim),이수정(Su-Jeo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적 운율이해능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양한 맥락(문장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하는 경우, 화자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하여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9-12세의 고기능 자폐아동 15명,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운율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는 운율 단독 제시상황에서 일치하는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정서적 운율(정서 일치, 불일치)과 맥락(문장 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이 함께 제시되었을 때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및 운율의존도과제로 구성되었다. 결과는 집단을 집단간 요인으로, 정서 유형 및 맥락 유형을 집단 내 요인으로 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무의미 문장의 정서적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였을 때, 정서적 운율이해력에 있어서 집단 간이나 정서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맥락의 정서와 일치하는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에도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이해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맥락의 정서와 불일치한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의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의존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하여, 맥락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할 때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얼굴표정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가 문장내용맥락, 그림상황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은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거나 정서가 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동시에 제시하였을 때 비슷한 정서적 운율이해력을 보였다. 그러나, 정서가 불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제시하였을때 고기능 자폐아동은 감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일반아동보다 운율에 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ext and affective prosody on emotional percept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Methods: Fifteen HFA children and 15 normal children who were matched on chronological age (range, 9 to 12 yea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wo different tasks,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task and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ask. Two way-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emotion types when prosody was given only. 2)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contexts when prosody and contexts were given at the same time. 3) For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HFA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an normal children. There was als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contexts.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facial expression than in lexical content and situation picture.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HFA children were as capable as normal children in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However, HFA children were less dependent on affective prosody to infer the speaker’s emotion than normal children when the emotion in various contexts (lexical contents, facial expressions, and situation pictures) conflicts with affective prosody.

      • SCOPUSKCI등재

        브로콜리 분말이 첨가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김찬희(Chan-Hee Kim),조경련(Kyung-Ryun Cho)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재료인 브로콜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브로콜리 분말의 일반성분에 대해 알아본 다음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면서 반죽의 특성 및 제품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브로콜리 분말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케이크 반죽의 비중과 점도, 완성된 케이크의 굽기손실율은 증가하였고 비용적은 감소함을 보였다. 케이크의 수분함량 증감은 일정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케이크 crust와 crumb의 색은 브로콜리 분말이 많을수록 명도와 적색도 및 황색도가 감소하는 동일한 변화를 보였다. 외형은 육안으로 보이는 단면의 질감면에서 B-5와 B-10이 가장 바람직한 스폰지 케이크의 형태를 가지는 동시에 air cell의 발달도 유사하였다. 분말 대체량이 많을수록 탄성은 감소한 반면 견고성, 씹힘성, 점착성, 부착성, 부서짐성은 증가됨을 보였고 케이크 중 B-5는 물성 결과의 모든 값에서 control과 유의차가 없었다. 관능결과에서도 B-5가 control과 가장 유사한 점수를 얻었고 15% 이상을 대체할 경우에는 관능 특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폰지 케이크 내브로콜리 분말의 가장 적절한 대체비율은 5%로 제시할 수 있으며 브로콜리 분말의 생리기능성을 고려할 때는 10%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후 브로콜리 분말의 대체가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브로콜리 분말을 여러 가지 가공식품에 확대 적용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substitution effects of broccoli powder for flour in the preparation of sponge cake were determined by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is. The specific gravity and viscosity of the cake batter and cooking loss of the cake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broccoli powder, whereas specific loaf volume and moisture content of the cake decreased.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crust and crumb decreased with increasing broccoli powder content. A texture analyses revealed that the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dhesiveness, and fracturability of the cake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broccoli powder in the formula. In the sensory evaluation, cake prepared with 5% broccoli powder was similar to the control in moistness, softness, chewiness, and spring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ng 5% broccoli powder is the best substitution ratio for sponge cake.

      • KCI등재

        여드름 치료 적용을 위한 LED 마스크의 개발 및 광출력 특성 분석

        김찬희(Chan-Hee Kim),천민우(Min-Woo Cheon),박용필(Yong-Pil Park)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LED light is absorbed by the dermal layer, and can improve skin troubles with various treatment effects for each wavelength. In this paper, we developed LED masks that can irradiate 420 nm and 635 nm which are known to inhibit acne-causing bacteria. We designed treatment patterns and analyzed light output characteristics. As a result, using LED mask, LED light therapy pattern can be applied to acne treatment, and LED light output up to 7.22 mW can be used for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이모티콘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 : 고 맥락과 저 맥락 이모티콘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찬희(Chan Hee Kim),류시천(Si Cheon You)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1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0 No.4

        소셜미디어상의 이모티콘처럼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초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문화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환유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맥락 안에서 환유가 어떤 방식으로 시각화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환유 발현의 대표적인 기저 현상인 <현저성(Salience)>과 이를 통해 재현되는 다양한 <이모티콘>의 표현 원리를 문화 맥락과 짝지어 규명하는 것이다. 사회과학 분야의 대표 담론인 맥락이론을 기반으로 고 맥락의 <아프리카TV> 이모티콘과 저 맥락의 <트위치> 이모티콘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유가 어떤 과정을 거쳐 시각적 결과물로 재현되는지에 관한 환유의 시각적 적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둘째, 이모티콘 표현방식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맥락이론에 기초하여 고 맥락의 시각적 환유와 저 맥락의 시각적 환유의 특성이 어떻게 상이한지를 제시하였다. 향후, 현지화 전략 구사가 필요한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디자인 결과물의 현지 수용성, 현지 적합도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socio-cultural context, such as emoticons on social media,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visual expression of metonymy as a mean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method in the age of visu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etonymy is visualized within a cultural context. Specifically, <Salience>, a typical underlying phenomenon of metonymy expression, and the expression principles of various <emoticons> reproduced through it are identified by pairing them with the cultural context. Based on context theory, which is a representative discourse in the social science field, emoticons from <Africa TV> in high context and emoticons in <Twitch> in low context were selected and compared as case study subjects. The major findings are: First, a visual application model of metonymy was proposed regard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metonymy is reproduced as a visual result. Second, the types of metonymy and their salience attribute applied to the emoticon expression method was identified in detail. Third, based on the contextual theory, how the characteristics of high-context visual metonymy differ from that of low-context visual metonymy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local acceptability and local suitability of design results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quires the use of localization strategies.

      • 실용무용 공연 관람객의 경험가치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람몰입, 관람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김찬희(Kim Chan-Hee)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실용무용 공연 관람객의 재관람의도를 높이기 위해 관객의 만족, 몰입, 재관람의도 형성에 기여하는 경험가치를 확인하고, 타 예술공연과 실용무용 공연 특성의 차이를 확인해 추후 실용무용 공연 기획 및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15세 이상 실용무용 공연 관람경험자 28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해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냈다. 첫째, 실용무용 공연 관람객의 경험가치는 재관람의도, 관람몰입,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용무용 관람객의 경험가치와 재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몰입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실용무용 관람객의 경험가치와 재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만족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타 공연예술 관람객의 경험가치와 비교하였을 때, 실용무용 공연은 유희성을 중점으로 심미성을 가지며, 배움의 욕구 증진과 사회적 교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연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관객참여형 콘텐츠 확장과 실용무용 공연 지원사업 확보를 위한 대학, 학과 차원의 PD 육성 제도 마련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erience value that contributes to the satisfaction, immersion, and re-watching intention of the audience to increase the re-watching intention of the audie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production of practical dance performances in the future.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89 people aged 15 or older nationwid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experience value of visitors to practical dance performa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watching intention, viewing immersion, and viewing satisfaction. Second, viewing immers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value of practical dance visitors and their intention to re-watch. Third, viewing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value of practical dance visitors and the intention to re-watch. Compared to the experience value of other performing arts visitors, practical dance performances can be seen as a performance that focuses on playfulness and improves the desire to learn and obtains the effect of social exchange. Therefore, it was suggested to prepare a system for fostering PDs at the university and department level to expand audience-participating content and secure practical dance performance support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