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망점 선정을 통한 대상지의 경관가치 평가 및 개선방안

        김진효,이현택,나정화,조현주,사공정희,Kim, Jin-Hyo,Lee, Hyun-Taek,Ra, Jung-Hwa,Cho, Hyun-Ju,SaGong, Jung-Hee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주택단지 개발지로 계획되어 있는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및 동구 지묘동 일원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조망점 선정을 통해 조망대상 및 대상장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보고, 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계획적 차원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망대상 선정을 위한 문헌분석 결과, 도출된 조망대상은 총 24개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도출된 주요 조망대상은 4가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출된 조망점 선정기준은 총 15개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다시 공통적인 특성에 따라 조망성, 접근성, 공공성으로 재분류하였다. 예비조망점은 공공성 및 접근성을 평가하여 선정하였으며, 평가 결과, 총 42곳의 예비조망점이 선정되었다. 최종조망점은 선정된 예비조망점을 대상으로 조망성을 평가하여 선정하였으며, 평가 결과 29개의 최종조망점이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헌분석 결과, 도출된 평가지표는 총 26개로 나타났다. 조망점별 가치평가 결과, 29곳의 대상장 중 I등급은 2곳, II등급은 3곳, 가장 낮은 V등급에 해당하는 대상장은 3곳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선방안을 위한 문제점 분석 결과, 개발계획도면을 고려하지 않은 대상장-1의 경우, 토지모자이크의 다양성 등 4가지 개선지표가 선정되었다. 또한 개발계획도면을 고려한 대상장-2의 경우, 배후 산림으로의 조망이 잘 이루어지며, 시각회랑의 확보가 가능한 건축물 배치 형태는 직각배치, 층수는 약 10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view target and the view area through the selection of landscape control point by selecting Jimyeong-dong Dong-gu and Yeongyeong-dong Buk-gu Daegu, which are planned as the large scale housing complex development area, as the target places. It is very meaningful that from the simulation based on this measurement, the improvement methods are attempted to be suggested at the project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viewing target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analysis for the selection of the viewing targets was 24, and finally derived main viewing targets were 4 places. Second, the total number of selection criteria of the derived landscape control point was 15, and these were re-categorized as prospect, accessibility and publicness according to the common property. The preliminary LCPs were selected by measuring the publicness and accessibility, and because of the said measurement, a total of 43 preliminary LCPs were selected. The final LCPs were selected by estimating the prospect of the selected preliminary LCPs, and as a result of estimation, a total of 29 final LCPs were selected. Finally, the total number of evaluation indicators derived from literature analysis was 26. Because of the valuation by the landscape control point, it was found that the 2 view areas were the I grade, 3 areas were II grade and 3 areas were the V grade, the lowest grade among 29 view areas. From the analysis on problems for the improvement methods, 4 improvement-indicators including the diversity of land mosaic were selected for the view area-1 without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ject drawing. In addition, for the view area-2 with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ject drawing, the landscape as the scenery forests was well formed, and the arrangement of architectures for the security of view corridor was right angle arrangement, and their floor number was 10.

      • KCI등재

        IPA 분석을 통한 노인친화형 파크골프장 조성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효 대한관광경영학회 2023 觀光硏究 Vol.38 No.1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sers visiting Jincheon river Park Golf Course located in Dalseong-gun, Daegu.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ch item derived from the survey analysis, the focus was placed on identifying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the park golf course in the future. First of all, as a result of demographic analysis of users using Jincheoncheon Park Golf Course in Dalseong-gun, Daegu Metropolitan City, it was found that those in their 60s had the highest age. Next, as a result of analysis of usage patterns,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using the park golf course for exercise was high, and the ratio of responding that the average usage time was more than 3 hours and the means of use was a private car was found to be high. As a result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analysis on 13 questions, the items showing high satisfaction we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manager and the reserv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analysis, the items with high importance were toilet location and convenience of use, parking space, and rest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items showing low importance were the reservation system and activity facilities for exchange.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tems located in the 2nd quadrant that require improvement with the highest priority are rest facilities, parking spaces, emergency bells, location and convenience of use of toilets. As su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park golf courses based on the evaluation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by 13 items targeting actual park golf users.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위치한 진천천 파크골프장을 방문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도출된 항목별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향후 파크골프장의 관리 및 조성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파악해 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우선 대구광역시 달성군 진천천 파크골프장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분석 결과 연령의 경우 60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용행태 분석 결과, 운동 목적으로 파크골프장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이용시간은 3시간 이상, 이용수단은 자가용을 활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3개의 문항에 대한 만족도, 중요도 분석 결과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항목은 관리자의 전문성, 예약시스템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분석 결과 중요도가 높은 항목은 화장실 위치 및 이용편리성, 주차공간, 휴게시설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낮은 중요도를 보이는 항목은 예약시스템, 교류를 위한 활동시설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IPA 분석 결과,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2사분면에 위치하고 있는 항목들은 휴게시설, 주차공간, 비상벨, 화장실의 위치 및 이용편리성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실제 파크골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13개 항목별 만족도·중요도 평가에 기초하여 파크골프장의 조성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관단위 유형분류 및 가치평가에 기초한 경관 개선방안 설정 및 적용

        김진효,나정화,권오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신동지구 지구단위계획부지를 대상으로 경관단위 유형분류 개념에 기초하여 유형분류 도면 및 가치평가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경관개선을 위한 정량적인 기초자료 구축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단위 유형분류 결과 경관단위 유형군(대분류)은 총 9개, 경관단위 유형(중분류)은 총 24개, 세 부경관단위 유형(소분류)은 총 56개로 분류되었다. 1차 평가 결과, 가치가 가장 높은 I등급에 해 당하는 경관단위 유형들은 총 12개로 나타났다. 1차 평가에서 중간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경관단 위 유형들을 대상으로 한 2차 평가 결과, 미시각적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1a, 1b) 는 39개, 미시각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2a, 2b, 2c)는 56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경관계획 관련 현행 법·제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경관계획 내용과의 비교분석 결과 현 행 법·제도의 대부분은 인공물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바, 지구 단위개발계획의 공간적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는 미시각적으로 가치 높은 띠형 수림, 노거수 등 과 같은 다양한 크기, 형태를 지닌 자연경관요소들을 개발계획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지구단위계획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quantitativ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landscape plans by creating type classification drawings and valuation drawings based on the concept of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for district unit planning sites in Shindong district in Daejeon, Korea. Put.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a total of 9 landscapetope types (large classification), a total of 24 landscapetope types (medium classification), and a total of 56 detailed landscapetope types (small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primary evaluation, a total of 12 landscapetope types corresponding to the I-grade with the highest value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secondary evaluation, targeting the types of landscapetopes rated as intermediate grade or higher in the first evaluation, 39 landscapetopes (1a, 1b) with special meaning in the microscopic aspect, and landscapetopes with meaning in the microvisual aspect. (2a, 2b, 2c) were analyzed to be 56.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related to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tents of landscape plan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focus on improving artifacts in the microscopic aspect, within the spatial scope of the district unit development plan. It was found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ffectively preserving elemen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such as the microscopically high value of the belt-shaped forests and old trees, from the development plan wa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basic data that can guide the district unit plan established for non-urban areas in a sustainable direction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 KCI등재

        모의실험을 이용한 일곱장포커 약(約)의 계산

        김진효 한국통계학회 1999 응용통계연구 Vol.12 No.1

        이 글에서는 일곱장포커에서 생기는 약(約)의 분포에 관하여 기존의 확률계산이 필요없는 모의실험을 하였다. 속칭 오디라 불리우는 일곱장포커의 high-only 경우로, 3장을 가지고 시작함을 가정한다. 3, 4, 5, 6장째의 각 상황하에서 여러 선수가 가지는 상대적 우위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완성하고, 실제로 수치결과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장기미집행 근린공원의 가치평가를 통한 공원일몰제 대응방향 수립

        김진효,나정화,조현주,이순주,권오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3 No.1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of parks and administrative divisions was conducted for 36 long - term neighborhood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the legal basi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set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utilization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sunset of the par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lection of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analysis was done by analyzing the research on the uncovered park, which was previously studied, and the park and administrative classification were evaluated based on the evaluation index. Next,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egal basis, we propose three directions for the utilization direction. The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value of the park was evaluated by using the spatial data constructed. The accessibility, the management condition and the ecological network contribution index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accessibility and management condition index, Haksan Park, Hwarang Park, and Song Hyun Park are easy to access and manage wel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ecological network contribution index showed high scores Songhyeon and Jangdong, Ihyeon parks in Dalseogu, Seogu, Dalseonggun, whereas the Donjibong, Shinam, they were far away from the network-line and showed low scores. Next, the evaluation results of administrative division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rea ratio of the park service outsourcing area are as follows. Seogu and Namgu will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e analysis result of the park area decrease index shows that the longest unoccupied park has the greatest impact. In the case of Donggu, Seogu, Namgu and Bukgu, Finally, it is analyzed that population density index shows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in Seogu and Namgu. In the case of Dalseogu, the effect of sunset is very high, and there are Haksan, Duryu, and Songhyun Park, where the park evaluation results are high, so that systematic management is carried out through purchase at the city level of these parks. However, a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t is desirable to find a direction in the long term through the ‘contraction of park ut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data for policy making and land use planning for reasonable utilization of long - term parks in Daegu city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upcoming park area abolition system.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36곳의 장기미집행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별, 행정구별 가치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결과 및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공원일몰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활용방향을 설정해보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의 선정은 선행연구된 미집행공원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하였으며,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공원별, 행정구별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활용방향의 설정은 평가결과 및 법적근거를 바탕으로 세 가지 측면으로 제안해 보았으며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집행 근린공원별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평가에는 접근성, 관리상태, 생태네트워크 기여도 지표를 활용하였다. 접근성 및 관리상태 지표에 대한 평가결과 학산공원, 화랑공원, 송현공원 등이 접근성이 용이함과 동시에 관리역시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생태네트워크 기여도 지표를 활용한 분석결과 달서구 및 서구, 달성군에 위치하고 있는 장기, 송현, 장동, 이현 공원 등이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동구의 돈지봉, 신암, 망우 공원 등은 낮은 구축된 녹지네트워크선과 멀리 떨어져 있어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행정구별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원서비스 소외지역 면적률에 대한 분석 결과 서구와 남구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원면적 감소지표 분석결과 가장 많은 장기미집행 공원을 보유하고 있는 달성군이 가장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동구, 서구, 남구, 북구의 경우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인구밀도 지표를 통한 분석 결과 서구와 남구가 가장 높은 인구밀도를 보이고 있어 일몰제 시행에 따른 공원면적 감소 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미집행 공원에 대한 활용방향 설정 결과 달서구의 경우 일몰제로 인한 영향이 매우 높음과 동시에 공원별 평가결과가 높게 나타난 학산, 두류, 송현공원이 위치하고 있어 이들 공원의 시 차원에서 매입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많은 제약이 존재하는바 ‘녹지활용계약’을 통해 장기적 차원에서 대응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가올 공원일몰제 시행에 앞서 대구시 장기미집행 공원들의 합리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결정 및 토지이용계획 시 중요한 기초자료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