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해거재 홍현주의 현전작품 고찰

        김진웅(Kim Jin Woong)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0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9 No.-

        해거재 홍현주(海居齋 洪顯周, 1793-1868)는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의 부마(駙馬)로, 당대 문사들과 폭넓게 교유한 문인이었다. 홍현주는 자신 스스로도 ‘벽(癖)’이 있다고 표현할 만큼 서화(書畵)에 관심이 많은 수장가(收藏家)였고 스스로 그림을 그린 문인화가였다. 이 논문은 홍현주의 생애와 서화수장활동을 고찰하고, 현전하는 11점의 작품을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후기 세도가문에서 태어난 홍현주는 12세의 어린 나이에 부마에 간택되어 숙선옹주와 혼인하였다. 당시 왕족의 일원이 된 부마는 척신으로 간주되어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고 정치 참여 역시 금기되었다. 때문에 홍현주는 관례에 따라 도총관(都摠管)과 장흥고(長興庫), 사도시(司導寺), 제용감(濟用監), 평시서(平市署), 빙고(氷庫), 전생서(典牲署)등의 정치 참여와는 무관한 직책만을 역임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좌절한 홍현주는 부마의 신분적 제약을 극복하고자 서화수장을 비롯한 다양한 문예활동에 심취하였다. 그 중 서화수집은 홍현주 스스로도 병에 가까울 만큼 집착적인 것이었다. 1809년 순조가 하사한 김홍도의 《해산첩》을 비롯한 다양한 서화수장은 조선 후기 경화세족을 중심으로 진행된 사인의 서화수장 활동 및 부마의 생애와 서화수집 측면에서 의의를 갖겠으나, 홍현주에 서화수장 내역에 대해서는 현재 작품 실물은 전해지지 않고 문헌상으로 대략적인 서화목록만이 작성 가능한 정도이다. 이상과 같은 홍현주의 서화에 대한 애착은 스스로 그림을 그리게 되는 배경이 되었고, 더불어 국외의 인사들과 교유하는 수단으로서 활용되었다. 홍현주의 현전 작품은 총 산수, 사군자, 어도를 주제로 삼은 그림들이며 총 11점으로 모두 화첩 형식으로 제작되었다가 후세에 파첩 및 산락되었다. 이 중 산수도는 8점으로 홍현주 작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형적인 남종문인산수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구사한 화법에 있어서는 크게 감필법과 세필로 구분된다. 사군자의 경우 모두 지인에게 선물한 것으로 홍현주의 문인화가적 기질이 드러난다. 또한 〈어도〉는 물고기라는 유별난 대상을 그린 작품으로, 이는 아직 발견되지 못한 홍현주의 추가 작품의 수준과 다양성에 대한 기대감을 주는 작품이다. 홍현주의 작품들은 지금까지 미공개 상태였다가 새롭게 발견된 작품들이 아니라, 상당수가 다른 사람의 작품으로 세간에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성과들로 인해 정정된 작품들이다. 이는 현전 작품 모두가 화첩 형식으로 제작된 후 파첩·산락된 것으로 각 화면마다 찍혀 있는 홍현주의 인장을 제외하고는 홍현주를 지시하는 단서가 없었기 때문이고, 여기에 6 점의 작품에 정약용이 발문 및 제화시가 기록되어 있어 서화수장가이기도 했던 홍현주의 작자미상 소장품 혹은 정약용의 작품으로 오인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그간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홍현주의 작품을 종합하여 살펴보았다. 홍현주라는 인물은 서화수장을 비롯해 시문학, 다도, 금석학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가 전반적으로 진척되지 않은 이유도 있겠으나, 그간 미술사학계에서는 서화수장가라는 인식 속에 가려져 문인화가로서의 활동이 그다지 조명 받지 못했다. 현전하는 작품들은 비록 여기에 불과해 보이지만 작품 수준의 고하를 떠나 새로운 화가가 발굴된다는 것은 큰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부마라는 소수 신분의 정서와 문예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되길 기대한다. Hong Hyun-ju(1793-1868) was the son-in-law of Jeongjo(1752~1800), the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had extensive relationships with various influential figures of the time. Hong Hyun-ju was a discerning collector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to the extent he once confessed his obsession with the genres. His interest in the arts can also be reflected in his hobby in literary paint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life of Hong Hyeon-ju and his activities as a collector, and to analyze 11 works that have yet been clearly defined. Hong Hyun-ju, born of a prestigious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rried at the age of 12 to Princess SukSeon(1793-1836). As the son-in-law of the King, termed Buma, he was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or political reasons, and his suffrage was banned. For this reason, Hong Hyun-ju was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that were not related to politics, such as Dochongguan(Provincial General), Jangheunggo, Sadosa, Jeyonggam, Pyeongshiseo, Bingo, and Jeonseangseo. Hong Hyun-ju was frustrated by this situation, but soon participated in various literary activities including collecting in order to overcome the barrier of his status. Among them, the collector’s activity was very important to Hong Hyeon-ju. In 1809, Hong Hyun-ju possessed a variety of paintings, including scrapbooks of Kim Hong-do(1745-?)’s painting presented by Sunjo(1790~1834). This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shedding light on the life of the son-in-law of the King, and the act of collecting itself, as it was a hobby that could only be enjoyed by prestigious families living in Seoul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etails of Hong Hyun-ju’s collection cannot be confirmed, and only a incomplete list can be identified through literary sources. Hong Hyun-ju’s passion for collecting eventually lead him to start drawing. It was used as a means to communicate with foreign literary parties. There are a total of 11 works produced by Hong Hyun-with subjects spanning from Landscape, sagunja(the Four Gracious Plants), and fish. All of these work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a painting book, but were then disassembled and scattered. Hong Hyun-ju’s landscape paintings account for a large part of his paintings totalling eight pieces, and are typical Namjonghwa style. In terms of painting technique, it can be divided into omission and detail. The landscape works show his literary personality. All of these works were presented to acquaintances. Interestingly, 〈Fish〉 is only one work and has a unique theme. This body of work sheds light on his skills as a painter and the diversity of his subjects in works that have yet been discovered. His paintings were not newly discovered works, but were works that were mistakenly attributed to other artists. However, through advanced research they have been correctly identified. Previously, Hong Hyun-ju’s works had no indications pointing to himself except for the seal, because all of the work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picture books and then dismantled. In addition, six works, which contained poems and sentences by Jeong Yak-yong(1762-1836), were commonly mistaken to be paintings either by Jeong Yak-yong or simply a work in Hong Hyun-ju’s collection. This thesis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works of Hong Hyun-ju based on previous research. Although Hong Hyun-ju participated in various literary activities such as tea ceremonies, poetry, calligraphy, painting, and epigraphy, much research was not conducted. In addition, in the art history academia, his activity as a literary artist was not given much attention because of his perception as a collector. Although these works seem to have been produced as a hobby, the discovery of a new painter who was act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of great significance, and will be used as a foundation to estimate the sentiment and literary level of someone of high status, such a

      • KCI우수등재

        독일의 방송자유 수용에 관한 연구

        김진웅(Jin-Woong Kim) 한국언론학회 2004 한국언론학보 Vol.48 No.4

        This study analyzed judicial cases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about freedom of broadcasting in Germany. The important results of it are the following ; First of all,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nterprets that the freedom of broadcasting in the constitution means basically individual(subjective) liberty. But because of the special status of medium broadcasting is this liberty reserved, and institutional(objective) liberty is until the late 1970s accepted. Later, by changing of the environment of broadcasting is at the same time individual liberty accepted. On the other hand, material, organizational and legal instruments are necessary, in order to carry out institutional liberty. And in compariso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nterprets at least to make security of the program diversity by the individual liberty. And regarding to the situation of broadcasting, there i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freedom of broadcasting and broadcasting system, which playas a Field of its realization.

      • KCI등재후보

        지상파 방송의 공적 책무 : KBS, MBC, SBS를 중심으로

        김진웅(Jin Woong Kim)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08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3 No.-

        본 연구에서는 공적 책무(성)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공적 책무와 지상파방송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차원의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방송의 공적 책무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공익성 공적 서비스 등은 공적 책무성과 어떻게 연관되는가, 우리나라 지상파방송이 수행해야 할 공적 책임은 어떤 것인가 등이 주요 논의의 대상이다. 특히 우리나라 3대 지상파방송, 즉 KBS, MBC, SBS를 중심으로 공적 책무가 각각 어떻게 부여되고 실현되어야 하는지 설명하려고 한다. 따라서 흔히 제기되는 지상파방송질서의 문제점을 지적하거나 비판하기 보다는 현재의 제도를 전제로 한 차원에서 방송의 책임에 관한 논의를 중심에 놓는다. 법제적 차원에서 책무규정이 좀 더 정교화 되어야 하고, 방송사 차원에서는 능동적으로 적합한 책무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 accountability of terrestrial broadcasters, especially KBS, MBC and SBS, in Korea, Public accountability understand a new role for public broadcasters in context of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is responsibility in return for the privilege of public channels. Theoretically there is clos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ccountability and public interest, which based on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in tradition. Public accountability is a response to public ownership, public funds and public channel, and therefore includes not only public program service, public control system and active service for the audience. In practice, it can not be given to all free channels the same accountability, but different. For example, KBS has very strict public accountability, because it is based on public characteristics for ownership, financing and free channel. On the other hand belongs to the public accountability SBSs basically public service for audience included public program service. But it is very impotent for all public channels to surviv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