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3인에 대한 평가 및 증례보고

        김진석,홍종희,홍상선,임중화,한숙영,김진성,윤상협,류봉하,류기원,박석규,Kim, Jin-Seok,Hong, Jong-Hee,Hong, Sang-Sun,Lim, Joong-Hwa,Han, Sook-Young,Kim, Jin-Seong,Yoon, Sang-Hyub,Ryu, Bong-Ha,Ryu, Ki-Won,Park, Seok-Kyu 대한한방내과학회 2002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3 No.2

        Functional dyspepsia refers to upper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with or without symptoms of early satiety, nausea, or vomiting with no definable organic cause. In this study, we recognized that dyspepsia was decreased with herbal medication (Banhabakchulchunma-tang) and acupuncture therapy. And we aimed to evaluate the Gastrointestinal Symptoms Rating Scale (GSRS) in these cases. The GSRS indicated that Oriental medicine treatment could be effective in the Functional dyspepsia. And it is helpful in decreasing symptoms of patients and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 KCI등재

        코히어런트 다중 표적 방위 추적 알고리즘

        김진석,김현식,박명호,남기곤,황수복,Kim Jin-Seok,Kim Hyun-Sik,Park Myung-Ho,Nam Ki-Gon,Hwang Soo-Bok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4

        수중음향 시스템에서는 이동 표적에 대한 상태 추정 및 표적 식별 등의 목적을 위해서 표적 방위 추적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감시영역에 근접 또는 교차 표적 등이 존재하는 다수 표적 상황에서의 방위 추적은 매우 어려운 문제로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연구되어 왔다. SWORD는 배열 센서 신호의 출력 공분산 행렬로부터 방위 변위를 추정하여 표적을 추적함으로써 별도의 정보 연관 과정이 필요 없는 단순한 구조의 다중 표적 방위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RYU 등은 표적 조향 벡터 (target steering vector)와 배열 센서 공분산 행렬의 신호 고유 벡터 (signal eigenvector)가 선형결합 관계임을 이용하여 교차 표적 (cross target)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HWANG 등은 잡음 고유 벡터 (noise eigenvector)와 표적 조향 벡터가 직교 관계임을 이용하여 RYU의 알고리즘과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연산량을 개선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코히어런트 (coherent) 다중 표적인 경우에는 추적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열 센서의 공분산 행렬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신호 고유 벡터와 잡음 공분산 행렬 (noise covariance matrix)의 특성을 이용하여 코히어런트 다중 표적에 대해 추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다중 표적 방위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근접 및 교차 기동하는 표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코히어런트 (incoherent)와 코히어런트 다중 표적에 대해 추적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he angle-tracking of maneuvering targets is required to the state estimation and classification of targets in underwater acoustic systems. The Problem of angle-tracking multiple closed and crossing targets has been studied by various authors. Sword et al. Proposed a multiple target an91e-tracking algorithm using angular innovations of the targets during a sampling Period are estimated in the least square sense using the most recent estimate of the sensor output covariance matrix. This algorithm has attractive features of simple structure and avoidance of data association problem. Ryu et al. recently Proposed an effective multiple target angle-tracking algorithm which can obtain the angular innovations of the targets from a signal subspace instead of the sensor output covariance matrix. Hwang et al. improved the computational performance of a multiple target angle-tracking algorithm based on the fact that the steering vector and the noise subspace are orthogonal. These algorithms. however. are ineffective when a subset of the incident sources are coherent.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multiple target angle-tracking algorithm for coherent and incoherent sources. The proposed algorithm 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 steering vectors and the signal eigenvectors which are multiplied noise covariance matrix.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 SCOPUSKCI등재

        The effect of thiamin on fetal growth and development in CD-1 mice exposed with mercury for the gestation period

        김진석,최석화,Kim, Jin-suk,Choi, Seok-wha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1994 大韓獸醫學會誌 Vol.34 No.1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은 이미 밝혀졌으나 이에 대한 치료가능 약제들의 효과에 대하여는 아직 밝혀진바 없다. 임신한 CD-1마우스에 20ppm의 수은(methylmercuic chloride)을 음수를 통해 임신 6일째 부터 15일 사이에 투여하고 이와 동시에 투여계획에 따라 기존 치료제 BAL과 티아민(thiamin)을 피하로 투여한 후 임신 18일째에 제왕절개술을 실시하였다. 티아민(200mg/체중 kg)과 BAL(5.0mg/체중 kg) 그리고 티아민과 BAL의 병용치료군의 태아는 체중과 두부-둔부 길이 그리고 태반의 무게가 수은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무겁거나 길어 대조군에서 보인 수치에 가까왔다. 죽은 태아/재흡수율과 기형인 태아 발생율은 티아민과 BAL 치료군에서 감소되었으며 투여용량이 높을수록 발생율이 낮았다. 또한 높은 농도의 티아민과 BAL은 어미 마우스의 사료 및 음수섭취량을 증가시켰으며 간의 상대적 무게도 증가 시켰다. 이 연구 결과는 티아민을 단독 또는 키레이트제재와 병용투여할 경우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egnant CD-1 mice were exposed to methylmercury in the drinking water at concentration of 20ppm with subcutaneous treatment of thiaminHCl(vitamin $B_1$) (100mg, 200mg or 300mg/ kg b.w.) or BAL(5.0 mg/kg b.w.) under the alone or combined base at the therapeutic agents from day 6 to 15 of gestation. Fetal growth parameters, including body weight and crown-rump length in the mice exposed to mercury, were reduced as placental weight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no treatment). The incidence of dead fetuses/resorption and malformed fetuses(especially cleft palate) was also increased even in the group treated with thrapeutic agents as well as in the mercury only treated group. However, all kinds of alteration indicated above, possibly induced by mercury, reduced/or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 subtle indication of maternal toxicity was noted in most experimental animals as evidenced by decreased water consumption and increased relative liver weight.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methylmercuric chloride is embrytoxic and teratogenic in CD-1 mice when administered during organogenesis and that thiamin administration may have therapeutic applica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against of deleterious effects induced by mercury during gestation period.

      • KCI등재

        불포화지반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사면 모델 기반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

        김진석,박혁진,Kim, Jin Seok,Park, Hyuck Ji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1

        Rainfall-induced landslides are caused by reduction of effective stress and shear strength due to rainfall infiltr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susceptibility of landslides, the statistical analysis approach has been used widely but this approach has the limitation which cannot take into account of landslide triggering mechanism. Therefore, the physically based model which can consider the process of landslide occurrence was proposed and commonly used. However, the most previous physically based model analyses evaluate and consider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for saturated soil only in the susceptibility analysis. But the strength parameters for unsaturated soil such as matric suction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strength parameters for saturated soil since the shear strength in unsaturated soil also plays important role in the stability of slope.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ed the modified physically based slope model which can evaluate strength characteristics for both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soils. In ad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thickness of saturated part in slope with rainfall intensity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lope on the basis of physically based model. In order to evaluate the feasibility,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practical example in Jinbu area, Gangwon-do, which was experienced large amount of landslides in July 2006. The ROC graph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validation of the model,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approach. 강우로 인해 유발되는 산사태는 강우침투로 인한 사면내 간극수압의 증가와 흙의 유효응력 및 전단강도의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 현재 광역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의 발생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주로 활용되고 있는 통계적 분석기법은 이러한 산사태 발생메커니즘을 고려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산사태의 발생메커니즘을 고려할 수 있는 물리적 사면모델이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는데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면 모델을 활용하는 기존의 연구는 강우의 침투로 발생하는 포화층 상부의 불포화층의 특성을 거의 고려하지 않고 포화층의 강도 특성만을 고려하여 분석을 수행하여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화층의 강도특성과 함께 불포화층의 강도 특성을 고려한 수정 전단강도 식을 활용하여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강우강도와 지반의 수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하수위 산정이 가능한 포화깊이비 계산식을 사면 모델과 결합하여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를 계산하고 이를 취약성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집중호우가 발생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지역의 2006년 7월 14 ~ 16일의 강우강도를 이용하여 3일간의 안전율을 계산하여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ROC 분석을 통해 실제 산사태 발생 위치와 비교하여 예측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 SCOPUSKCI등재

        소결조제가 (1-x)CaT$iO_{3}$-xLa($Zn_{1}$2/$Ti_{1}$2/)$O_{3}$계의 소결 및 마이크로파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진석,윤철호,최주현,이경태,신종윤,박현수,문종하,Kim, Jin-Seok,Yun, Cheol-Ho,Choe, Ju-Hyeon,Lee, Gyeong-Tae,Sin, Jong-Yun,Park, Hyeon-Su,Mun, Jong-Ha 한국재료학회 1997 한국재료학회지 Vol.7 No.10

        (1-x)CaTi $O_{3}$-xLa(Z $n_{1}$2/ $Ti_{1}$2/) $O_{3}$의 마이크로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x가 증가함에 따라 비유전율과 공진주파수의 온도계수는 감소하였으며, Qㆍ $f_{0}$는 증가하였다. 그 결과 x=0.5인 (C $a_{0.5}$L $a_{0.5}$)( $Ti_{0.75}$Z $n_{0.25}$) $O_{3}$의 조성에서 $\varepsilon$$_{r}$=51, Qㆍ $f_{0}$=38,000 (at 7 GHz), $\tau$$_{f}$=+5ppm/$^{\circ}C$의 유전특성이 나타났다. (C $a_{0.5}$L $a_{0.5}$)( $Ti_{0.75}$Z $n_{0.25}$) $O_{3}$조성의 소결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B $i_{2}$ $O_{3}$를 주조성으로한 소결체를 첨가하여 소결 및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1wt% 0.76B $i_{2}$ $O_{3}$-0.24NiO가 첨가된 경우 소결온도는 15$0^{\circ}C$ 낮아졌으며, 비유전율 ($\varepsilon$$_{r}$), 공진주파수의 온도계수($\tau$$_{f}$), Qㆍ $f_{0}$가 각각 50+5ppm/$^{\circ}C$, 35,000인 마이크로파 유전특성이 얻어졌다. 또한 3wt%의 0.76B $i_{2}$ $O_{3}$-0.24NiO가 첨가된 경우 소결온도는 20$0^{\circ}C$ 저하되었고, 비유전율 ($\varepsilon$$_{r}$)과 공진주파수의 온도계수 ($\tau$$_{f}$)는 변하기 않았으나, Qㆍ $f_{0}$값이 38,000에서 25,000으로 저하되었다. 25,000으로 저하되었다.되었다.되었다.되었다.

      • SCOPUSKCI등재

        $SnO_2$ 박막을 이용한 ${Ta_2}{O_5}$박막 커패시터의유전특성

        김진석,정강민,이문희,Kim, Jin-Seok,Jeong, Gang-Min,Lee, Mun-Hui 한국재료학회 1994 한국재료학회지 Vol.4 No.7

        본 연구에서는 Ta 박막 밑에 $SnO_{2}$박막층을 입혀서 $Ta/SnO_2$이중박막이 산화될 때 산소의 공급원을 2원화 함으로써 $Ta_2O_5$의 stoichiomitry를 향상시켜 $Ta_2O_5$박막 커패시터의 주설전류를 줄이고자 하였다. Tantalum을 실리콘 웨이퍼 위에 기판온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전자빔증착이나 스퍼터링 방밥으로 입히고 $500^{\circ}C$~$900^{\circ}C$에서 산화시켜 Al/$Ta_2O_5$p-Si/Al또는Al/$Ta_2O_5$/p-Si/Al과 같은 MIS형 커패시터를 만들어 유전상수 및 누설전류를 측정하였으며 XRD, AES, ESCA등을 이용하여 박막의 결정성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SnO_{2}$박막층을 입힌 커패시터는$SnO_{2}$층을 입히지 않은 커패시터보다 10배 이상 큰 200정도의 유전상수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산화온도가 높으면 박막의 결정화로 인하여 유전상수는 증가하지아는 누설전류도 약간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높은 증착온도는 일반적으로 누설전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nO_{2}$층을 입힌 경우에 기판온도를 $200^{\circ}C$로 하고 $800^{\circ}C$에서 산화시켜 만든 커패스터의 경우에 $4 \times 10^{5}$V/cm의 전장강도에서 $10^{-7}A/\textrm{cm}^2$의 낮은 누설전류 값을 나타내었다. $Ta_2O_5$박막은 $700^{\circ}C$ 이상에서 박막이 결정되고, Ta /$SnO_{2}$ 이중박막을 산화시키면 처음에는 Ta박막과 $SnO_{2}$박막 계면에서 $SnO_{2}$로부터 Ta박막에 산소가 공급되지마는 점차 Sn이 Ta박막쪽으로 확산되어 결국에는 Ta-Sn-O계의 새로운 ternary oxide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Our investigation aimed to reduce the leakage current of $Ta_2O_5$ thin film capacitor by layering SnOz thin film layer under Ta thin film, thereby supplying extra oxygen ions from the $SnO_{2}$ underlayer to enhance the stoichiometry of $Ta_2O_5$ during the oxidation of Ta thin film. Tantalum was evaporated by e-beam or sputtered on p-Si wafers with various deposition temperatures and was oxidized by dry--oxygen at the temperatures between $500^{\circ}C$ and $900^{\circ}C$. Aluminum top and bottom electrodes were formed to make Al/$Ta_2O_5$/p-Si/Al or $Al/Ta_2O_5/SnO_2$p-Si/AI MIS type capacitors. LCR meter and pico-ammeter were used to measure the dielectric constants and leakage currents of the prepared thm film capacitors. XRD, AES and ESCA were employed to confirm the crystallization of the thin f~lm and the compositions of the films. Dielectric constant of $Ta_2O_5$ thin film capacitor with $SnO_{2}$ underlayer was found to be about 200, which is about 10 times higher than that of $Ta_2O_5$ thin film capacitor without $SnO_{2}$ underlayer. In addition, higher oxidation temperatures increased the dielectric constants and reduced the leakage current. Higher deposition temperature generally gave lower leakage current. $Ta_2O_5/SnO_2$ capacitor deposited at $200^{\circ}C$ and oxidized at $800^{\circ}C$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akage current, $10^{-7}A/\textrm{cm}^2$ at $4 \times 10^{5}$V/cm, compared to the one without $SnO_{2}$ underlayer. XRD showed that $Ta_2O_5$ thin film was crystallized above $700^{\circ}C$. AES and ESCA showed that initially the $SnO_{2}$, underlayer supplied oxygen ions to oxidize the Ta layer, however, Sn also diffused into the Ta thin film layer to form a new $Ta_xSn_YO_Z$ , ternary oxide layer after all.

      • 일본의 전자파에 대한 인체보호지침

        김진석,최익권,Kim, Jin-Seok,Choe, Ik-Gwo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1 전자통신동향분석 Vol.6 No.4

        근래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전파이용분야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전파이용시설로부터 방사되는 전파가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불안과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연구보고에 의하면 생체가 강한 전자파에 노출되는 경우 눈의 백내장 형성, 성기능 장해, 열적 손상, 경련, 행동 둔화 등의 생체작용이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무선통신시설을 비롯한 각종 전파이용시설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로 일상생활 범위에 있어서 염려하는 바와 같은 생체작용이 일어나는 일은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파이용시설로부터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전파이용에 대한 공연한 오해와 불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파의 에너지 양과 생체작용과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확실히 하는 일이 중요하며 이에 근거하여 전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미국, 일본, 독일, 영국, 캐나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전자파의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러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다음은 1990년 일본 (전기통신기술심의회) 에서 발표한 "전파이용에 있어서의 인체보호지침"을 발췌.요약한 것이다.

      • SCOPUSKCI등재

        반응성 공중합체들을 이용한 습도센서의 감습 특성

        김진석,배장순,공명선,Kim, Jin-Seok,Bae, Jang-Sun,Gong, Myeong-Seon 한국재료학회 2001 한국재료학회지 Vol.11 No.2

        4 차 암모늄염을 형성할 수 있는 공중합체들 poly[(vinylbenzyl chloride)-co-(n-butyl acrylate)-co-(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poly[(4-vinylpyridine)-co-(n-butyl acrylate)-co-(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고분자막 습도센서의 감습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합성하였다. 습도센서는 30%RH, 60%RH 그리고 90%RH에서 평균 저항 값은 각각 8.6 M $\Omega$, 310 k$\Omega$ 그리고 12 k$\Omega$을 보여 주었다. 또한 히스테리시스는 $\pm$3%RH 안에서 나타났으며, 온도의존성 계수는 -0.37~-0.407RH/$^{\circ}C$이었다. 감습막의 조성에서 공중합체 중 n-BA와 HEMA의 도입은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나 기판과의 접착성은 크게 향상되었다. 33%RH에서 85%RH로 또는 역으로 변화할 때의 응답속도는 54초이며 수중에 2시간 침적 후 저항의 변화는 +0.2%RH 이내에서 존재하였다. The mutually reactive copolymers poly[(vinylbenzyl chloride)-co-(n-butyl acrylate)-co-(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poly[(4-vinylpyridine)-co-(n-butyl acrylate)-co-(2-hydroxyethyl methacrylate)] were synthesized for the humidity sensitive material by forming simultaneous quaternization. The humidity sensor showed an average resistance of 8.6 M$\Omega$, 310 k$\Omega$ and 12 k$\Omega$ at 30%RH, 60%RH and 90%RH, respectively. The hysteresis and temperature coefficient were $\pm$3%RH and -0.37~-0.40%RH/$^{\circ}C$. The introduction of n-BA and HEMA increased the resistance of the humidity sensor however it enhanced the adherence to the alumina substrate. The response time was 54 seconds changing from 33%RH to 85%RH and the difference of resistance was +0.2%RH after soaking in water for 2 h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