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항문화 연구와 데이터 모델링

        김지선,유인태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This paper focused on organiz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conceptual data modeling for the building of a more extended range of 'Yeohang Culture' database based on the data model of Yeohang Literature proposed by ‘Kim Ji-sun(2019), A Study on the Design and Analysis of the Human Network in 19th-century Collections of Biographies of the Commoner Class(Yeohangjeongijip) -Focusing on Hosanoesa, Ihyanggyeonmunnok, and Huijoilsa’, a full-fledged digital humanities study in the field of Yeohang Literature. Data mod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designing a data model as a kind of blueprint for representing objects existing in the real world as data in the digital environment. Since the analog environment as a physical reality and the digital environment as an electronic representation have fundamentally different properties, the transforming an inseparable object of reality into a segmented one in the digital environment is not simple. When these concerns are combined with the humanistic awareness, the process of 'conceptual data modeling' as a method of conceptualizing objects inevitably entails complicated reasoning. On the other hand, the data modeling process based on micro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humanities texts and clear humanistic awareness is the basis for creating sophisticated humanities data and the basic clue for enabling varied digital humanities study from it. As part of a model for organizing and portraying the world of 'Yeohang Culture', in which a large amount lot of information is in a complicated relationship through a variety of records, as three-dimensional data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Class designed through this research includes ‘Person’, ‘Community’, ‘Group’, ‘Writing’, ‘Object’, ‘Book’, ‘Place’, ‘Site’, ‘Event’, ‘Clan’ and ‘Office’.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defined as semantic links between entities belonging to individual classes includes ‘A author B’, ‘A writer B’, ‘A calligrapher B’, ‘A painter B’, ‘A mentions B’, ‘A contains B’ and ‘A member B’. As a medium that comprehensively connects knowledge related to ‘Yeohang culture’, The Class and Relationship can be an effective channel that bridges the barriers between majors such as Sino-Korean Literature, Social History, Art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In the future, a comprehensive discussion-research that crosses the fields of Literature-History-Art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compile a 'Yeohang Culture' database that can extensively look into the status consciousness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common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literatu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m. it is hoped that the contents summarized in this study might be meaningfully used as a basic clue for such a move. 이 글은 여항문학 분야의 본격적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연구로서 졸고 ‘김지선(2019), 「19세기 여항전기집 수록 인물 관계망 구현 및 분석 연구-『호산외사』, 『이향견문록』, 『희조일사』를 중심으로」’에서 제안한 여항문학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더욱 확장된 범위의 ‘여항문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하고 그 고민을 정리하는 데 집중하였다.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은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을 디지털 세계의 데이터로 재현하기 위한 일종의 설계도로서 데이터 모델(data model)을 디자인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물리적 현실로서 아날로그 환경과 전자적 재현으로서 디지털 환경은 근본적 속성이 다르기에, 연속하는 현실의 대상을 디지털 세계에 분절된 것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간단치가 않다. 이러한 고민이 인문학적 문제의식과 결합할 경우 대상을 개념화하는 절차로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과정은 복잡한 사유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 인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꼼꼼한 읽기와 해석 그리고 분명한 문제의식에 기초한 데이터 모델링 과정은, 정교한 인문학 데이터를 구축하게 하는 바탕이자 그로부터 다양한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적 단서에 해당한다. 다종다양한 기록을 매개로 수많은 정보가 복합적 관계를 맺고 있는 ‘여항문화’의 세계를 디지털 환경에서 입체적인 데이터로 정리ㆍ표현하기 위한 모델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에서 정리한 클래스(Class)는 ‘인물(Person)’, ‘시사(Community)’, ‘단체(Group)’, ‘기록(Writing)’, ‘서화(Object)’, ‘저서(Book)’, ‘장소(Place)’, ‘공간(Site)’, ‘사건(Event)’, ‘가문(Clan)’, ‘관서(Office)’이며, 개별 클래스에 속한 개체들 사이의 의미적 연결로서 정의한 대표적 관계(Relationship)로는 ‘저자이다(author)’, ‘지은이다(writer)’, ‘쓴 사람이다(calligrapher)’, ‘그린 사람이다(painter)’, ‘언급하다(mentions)’, ‘수록하다(contains)’, ‘구성원이다(member)’ 등이 있다. 해당 클래스와 관계는 ‘여항문화’와 관련된 지식을 종합적으로 연결하는 매개로서 한문학, 사회사, 미술사, 문화사 등의 전공 간 장벽을 넘나드는 유효한 채널이 될 수 있다. 추후 여항인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문헌을 매개로 조선후기 다양한 직능을 향유한 중인들의 신분적 감각과 그들의 폭넓은 예술 활동까지 다채롭게 들여다볼 수 있는 ‘여항문화’ 데이터베이스를 편찬하기 위해서는, 문학-역사-예술 분야를 넘나드는 종합적 성격의 논의-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그와 같은 행보(movement)를 위한 기초 단서로서 본 연구에서 정리한 내용이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여가프로그램과 계급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분당 M주상복합아파트 공유공간을 중심으로

        김지선,최석호 한국여가문화학회 2006 여가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주상복합 공유공간 활성화를 위한 여가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사례연구를 위해 분당의 M주상복합을 선정하였다. 우선 문헌연구에서는 주상복합 거주계층의 사회적 성격 도출 및 여가프로그램의 현황을 알아보았고. 조사연구에서는 시설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주민의 여가욕구를 알아보았다. 주상복합 거주계층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그들을 대표하는 단어를 “희소성(Rarity)”, “쾌적함(Amenity)”, “전문직(Professional)”, “익명성(Anonymity)”으로 규정하고, 이 4단어의 이니셜을 합성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라파족(RAPA Tribe)이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우리사회에서 운영되고 있는 여가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대표적인 기관을 선정하여 여가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분류하여 균형적인 웰빙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준거로 삼았다. 라파족은 여행, 운동, 공연, 자기계발, 등산·낚시, 예술 활동 순으로 여가활동을 선호하며, 여행(골프, 유럽여행), 스포츠(요가, 사교댄스, 인라인), 건강(스트레스 해소), 공연(뮤지컬 관람), 어학(영어, 중국어 회화) 등의 여가프로그램을 공유공간에서 운영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미용, 마사지 서비스와 같은 개별적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대처, 진로정체감 및 소진의 관계

        김지선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대처, 진로정체감 및 소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07월 03일부터 2017년 08월 22일까지 G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생 199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 무례함, 대처, 진로정체감, 소진과 관련된 자기보고형식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Pearson’s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 중 87.9%가 무례함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례함은 회피중심(r=.19, p=.009), 문제해결중심(r=.18, p=.011), 사회적 지지추구(r=.20, p=.004), 소진(r=.2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정체감(r=-.24, p=.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정체감은 회피중심대처(r=-.31, p<.001), 소진(r=-.62,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문제해결중심대처(r=.18, p=.012)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요변수인 무례함, 대처, 진로정체감은 소진을 설명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그 설명력은 48.6%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incivility, coping, burnout and career identity to clinical practice. The subjects were 199 nursing students from two college in Gwang-ju.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on incivility, coping, career identity and burnou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ver. 23.0. 87.9% of subjects experiences incivility in clinical practice. Inciv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r=.27, p<.001). but Incivility was na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identity(r=-.24, p=.001). Career identity was na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r=-.62, p<.001). The predictors on burnout were incivility, coping and career identity. These variables have total explanatory power of 48.6% on burnout.

      • KCI등재

        고등학교 1 교사 1 봉사 동아리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김지선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청소년기의 자원봉사활동은 체험학습을 통해서 개인적 만족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참여의 기회와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청소년기에 있는 고등학교 학생들 가운데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생활은 인성교육을 무시한 입시위주의 교육형태가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어 봉사활동을 마음껏 할 수 없는 현실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고등학교 '1 교사 1 봉사 동아리'의 특징을 살펴보고, 교사들이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 그러한 활동이 과연 참여자들에게 자원봉사자로서의 태도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왔는지를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봉사활동 주제별로 6개의 사례를 선정하여 개인면담과 활동 소감문을 토대로 봉사동아리의 취지와 목적, 활동내용, 활동성과 및 문제점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1 교사 1 봉사 동아리’를 통하여 교사들이 경험하고 인식한 학생 봉사활동의 성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봉사활동을 통해 이기주의를 극복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의 중요성을 깨닫게 됨과 동시에 어렵고 소외된 계층을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교사·학생·학부모의 상호 협력을 통한 유대관계를 증진하고 공동체의식을 함양하였다. 셋째, 진정한 봉사인의 자세 확립과 지속적인 자원봉사의 중요성 인식, 학교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하게 되었다. 따라서 학생봉사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변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들의 학생봉사활동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강화해 줌으로써 교사들을 점진적으로 학생봉사활동 관리자로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폰 터치 인터페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별 사용자 제스처의 분석

        김지선,반효경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5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2

        스마트폰이 채택하고 있는 터치 인터페이스는 기존 피처폰 및 PC에서 채택하던 키패드나 키보드를 전면 대체 하는 대중적인 인터페이스로 자리 잡았다. 특히, 터치 인터페이스는 개인별 다양한 동작 인식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 별 입력 데이터 특성이 뚜렷이 구분되는 인터페이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별 사용자 제스처를 분석한다. 특히,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널리 사용되는 게임, 웹 브라우져, 유튜브, 이미지 및 e-book 뷰어, 비디오 플레이어, 카메라, 지도 등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별로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애플리케이션별로 고유한 터치 입력 패턴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어떤 사용자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했는지를 식별하는 용도, 소유자와 다른 입력 패턴이 들 어올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하는 용도, 나아가 사용자에게 편리한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용도 등에 본 연 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uch interface is widely used in a smartphone instead of a keyboard or a keypad interface that has been adopted in a PC or a featurephone, respectively. Touch interface can recognize a variety of gestures that clearly represent the distinct features of each application’s input. This paper analyzes users’ gesture of each application captured by the touch interface of a smartphone. Specifically, we extract touch input traces from various application categories such as game, web browser, youtube, image and e-book viewer, video player, camera, and map applications, and then analyzed them. Through this analysis, we observed a certain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application’s touch input, and this can be utilized in various useful areas such as identification of an application user, prevention of running an application by an illegal user, or design of a new interface convenient to a specific user.

      • KCI등재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과학영재 대학생의 진로 성숙도, 진로 스트레스 및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지선,류지영 한국영재학회 2022 영재교육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ore effective career search program for gifted science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how it affects their career maturity,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levels. To this end, a career search program consisting of two stages, career recognition and career exploration, was developed. 3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was conducted twice in total. Students performed a career maturity, a career stress test, and a career decision level test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se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paired-sample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science gifted colleg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results will be useful in developing an improved career search program for science gifted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studies applicable to the field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과학영재 대학생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 성숙도, 진로 스트레스 및 진로 결정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과학영재 대학생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제안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진로인식과 진로탐색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진로 인식 개선을 위해 동문 교수의 특강 및 실제 현장 견학과 진로토크를 포함하였고, 진로 탐색을 위해 대학원과 사회생활을 하는 선배와의 만남을 기반으로 한 진로멘토링을 진행하였다. 총 2회에 걸쳐 실시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38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진로탐색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에 진로성숙도 검사, 진로 스트레스 검사 및 진로 결정 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검사 결과는 대응표본 t-검정과 Pearson의 상관계수 R을 통해 분석하였다. 검사결과 과학영재 대학생은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가한 후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인 결정성과 성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진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사후 평균 점수가 낮아졌다. 진로 결정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과학영재 대학생들에게 전체적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실시 후, 설문을 통해 만족도 조사와 보다 나은 프로그램으로 나아가기 위한 개선사항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 대학생들에게 보다 개선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개발과 현장에 적용 가능한 제언과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마모가 심한 환자에서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하여 수복한 증례

        김지선,이지현,진민주,Kim, Ji-Sun,Lee, Ji-Hyoun,Jhin, Min-Ju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2

        교합의 점진적인 마모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진행되는 정상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교합면의 마모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수직 교합 고경이 감소하고 교합 평면이 붕괴된 경우에는 병적인 치수 상태, 교합 부조화, 기능적 장애 및 심미적인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치아를 수복할 공간이 부족하거나 교합 관계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수직 교합 고경의 변경이 필요하다. 수직 고경을 변화시킬 경우, 수복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신중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1 - 3개월 간 임시 수복물을 이용하여 근 신경계의 적응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지 평가를 한 후 최종 수복을 하여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다수 치아들의 심한 마모가 있는 78세 남성 환자로서 수직 교합 고경의 평가 후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인 외형 확보 및 교합관계, 교합평면의 개선을 위하여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의 거상을 통하여 임시치아를 제작, 약 12주간의 적응기간 후 최종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최종 수복물 장착 후 1년여의 경과 관찰 결과 새로 형성한 교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특이할만한 합병증은 없었다. 이러한 일련의 치료과정을 통해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he progressive attrition of teeth is a normal process by aging. However, excessive tooth wear with de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nd collapse of occlusal plane may cause pathologic pulpal condition, occlusal disharmony, functional disorders and esthetic problems. The change of vertical dimension is required in case that there is no sufficient clearance for restoration or in case that the occlusal relationship is modified. For gaining the vertical dimension, a careful diagnosis is essential prior to starting the restoration treatment. After evaluating adaptation of neuromuscular system of patient during provisional phase, the final restorations can be fabricated. In this case, a 78 year old male with severely worn down dentition was treated. To improve the esthetic appearance and to achieve the ideal occlusal relationship, the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minimal increase of vertical dimension is planned and diagnostic wax-up was performed at the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After evaluation of provisional restorations for 12 weeks, final restorations were fabricated and routine clinical assessments were made. After 1 year, the restorations with newly established occlusal scheme are well maintained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s and 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