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on-line) 양육참여에 대한 영유아 어머니의 경험 탐색

        김주후,곽승주,전유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hild rearing behaviors using online had been expanded at this tim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detailed contexts and meanings shown by the child rearing participation of mothers who had childr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mothers who had infants and analyzed the results by appl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tailed contexts that moth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child rearing included the support for their children’s daily lives, the education and guidance of their children and their life, dealing with special situations their children were in,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and their children’s rich and effective leisure life.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on-line child rearing participation, mothers felt that the boundaries between offline and online child rearing participation had become blurred, and thought it meaningful that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of child rearing should be reproduced as social resources to be shared through the cyber open approach. Moreover,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relieve the stress of child rearing based on the collective kind consciousness in cyber space, came to agonize over the role of able parents in the process of on-line child rearing participation, and through this they experienced building up the right belief of parenting.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발달로 온라인을 활용한 양육행동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영유아기 어머니들의 온라인 양육참여가 나타나는 구체적 맥락과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10명의 영유아 어머니들과 심층면담을 실시ㆍ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이 온라인 양육에 참여하는 구체적 맥락은 자녀의 일상생활 지원, 자녀 교육 및 생활지도, 자녀가 지닌 특수 상황 대처, 유아교육기관과의 소통 및 교류, 자녀와의 효율적인 여가생활을 위한 맥락들이었다. 둘째, 온라인 양육참여의 의미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들은오프라인 양육참여와 온라인 양육참여와의 경계가 모호해 지고 있다고 보았으며, 온라인상의상호 개방적 접근을 통해 서로의 양육지식 및 경험을 공유된 사회자원으로 재생산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또한 온라인 공간의 집단적 동류의식을 기반으로 양육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었으며, 온라인 양육참여 과정에서 유능한 부모역할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부모역할에 대한 올바른 자기신념을 세우는 경험을 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온라인 양육참여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분석

        김주후,남궁지영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4 No.1S

        본 연구의 목적은 다층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분석하는 데 있었다. 학생 개인 및 학교수준의 변량을 고려함으로써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은 개인 및 학교의 특성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다층모형 분석을 위해 학생수준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기회 제공, 개별학생 특성에 대한 배려, 교과 외 활동 참여도, 그리고 사교육 참여정도가 활용되었다. 학교 수준에서는 생활보호대상자 수, 7차 교육과정 운영상의 어려움, 그리고 학부모 지원의 적극성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전체 변량의 95% 이상이 학생 수준에서 설명됨이 밝혀졌으나 학생 수준의 변인 중에서 사교육 참여정도는 유의미한 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다층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중다회귀분석도 실시하여 사교육 참여 정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SDL)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By considering variances of SDL at individual and school level, the student's SDL was explained in terms of school quality as well as individual efforts. For the HLM analysis,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teacher's support for SDL, caring students' individual needs, and participation in extra curriculum activities were explored at individual level. At school level, school SES, quality of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parental support for school were utilized.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more than 95% of variance of SDL was explained by variables at individual level. Among the variables at individual level, private tutoring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explaining the SDL. Based upon the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by background variables were also conducted. By interpreting the results of analyses, the impact of school quality and individual efforts on the SDL was discussed.

      • KCI등재후보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Development

        김주후,이영석,이경선,Sandra Machida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4

        이 연구는 아동보육의 질과 아동의 발달 사이의 관계를 다룬 23개 연구물들에 대한 메타분석이다. 아동보육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는 전반적, 구조적, 그리고 보육자 상호작용 변인들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아동보육의 질과 아동의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 영역 사이에는 정적인 관계가 보고 되었으나 0.2 이하의 낮은 상관관계였다. 보육자 상호작용 변인들은 전반적 지표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나타내는 구조적 지표들에 비해 높은 상관관계가 보고 되었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안점들도 논의되었다.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a meta-analysis of 23 studies, whi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development. Indices of childcare quality were global, structural, and caregiver interaction variables. Results indicate that relationships reported in the 23 studies between indices of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cognitive, language, and socio-emotional areas of development were positive yet weak with effect sizes less than .2. Caregiver interaction variables were better than global indices and structural variables in explaining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particularly cognitive development.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진로진학상담 연구 동향 -‘상담’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김주후,정소미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research trends in career & guidance counseling focused on ‘counseling’ an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47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the PRISMA phase for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11 to July 2019. The results of systematic analyses using the selected docu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in the area of career & guidance counseling were published in 2014. In terms of research type, topic, and method, dominant cases were journal articles,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duty/competency, and quantitative studies respectively.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frequently reported examples were career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and ‘less than 20 people’ respectively. Second, the results of analyses of 27 studies including ‘counseling’ out of the selected 47 studies are as follows. The specific contents in career & guidance counseling from the 27 studies were job competence, perception of counseling, demands on counseling education, contents in counseling competency, counseling experiences, and others. Among these topic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issue was the perception of career & guidance counselin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career & guidance and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add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로진학상담 연구동향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그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PRISMA 단계를 거쳐 47편의 연구문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들을 체계적 문헌 고찰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진학상담과 관련된 연구는 2014년에 가장 많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발표 형태, 연구 주제, 연구방법의 관점에서 보면, 가장 많이 다루어진 사례는 각각 학술지, 직무․역량 개념 정립, 양적연구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 및 참여자 수는 각각 진로진학상담교사와 ‘20명 미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과 관련된 연구물 47편 중, ‘상담’ 관련 내용이 포함된 연구물 27편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 관련 세부내용은 상담과 관련된 직무역량, 상담에 대한 인식, 상담교육 요구, 역량 관련 상담 내용, 상담 관련 경험, 그리고 기타 모두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내용 중에서 상담에 대한 인식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진학상담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디자인 프로젝트의 적용과 평가: 재료역학 수업의 사례연구

        김주후,Kim Ju-Hu 한국공학교육학회 2003 공학교육연구 Vol.6 No.1

        이 논문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에서 실시된 수업개선에 관한 것으로 그 내용은 디자인 프로젝트를 재료역학 수업에 응용한 결과이다. 전통적인 강의를 활용한 수업과는 달리 학생들은 기계역학 디자인의 기초와 재료, 표준, 경제적인 요소, 제작상의 특성, 환경문제, 법 및 안전과 관련된 제반 문제들 등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학습하도록 격려되었다. 협동학습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강사들은 학생들이 팀 단위의 의사결정, 평가기준의 설정과 통합, 현실적인 대안의 발견, 현실적인 제한점들에 대한 고려 등의 보다 고차원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왔다. 새로운 수업개선이 학생들의 학습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가을학기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재료역학 입문수업에 대해 높은 가치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가치점수는 낮게 나타났고 오히려 전통적인 강의에 높은 가치를 부여했다. 더불어 이전 선수과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던 학생들이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해 낮은 가치를 보고했다. 공학교육자들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제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course restructuring employing design projects in an introductory mechanics of materials course a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like traditional lecture course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learn the rudiments of mechanical design and how materials standards, economics, manufacturing, environmental, legal (liability) and societal (safety) concerns relate to design. Through conducting collaborative design projects, the instructors helped students to acquire more advanced skills such as team-based decision making, integration and establishment of criteria, use of modern design theory,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and application of realistic constraints.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new course changes on students' 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in 1998 Fall semest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analyses, students reported high values on this introductory mechanics of materials course. However, they did not give high values on the design projects. Rather, they preferred lecture sessions. Additionally,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who earned higher grades from a prerequisite course(statics) showed lower values on the design projects. Implications for engineering educator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기의 측정결과와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예언의 정확성과 일반화 가능성 Predictive Accuracy And Generalizibility Issues

        김주후 미래유아교육학회 200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7 No.1

        유아기의 측정결과를 이용한 아동의 성취도 예측은 유아들을 위한 교육적 개입의 근거로 이해되어 왔다. 유아들에게 잠재되어 있을 수 있는 학업상의 문제를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유아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 모델을 개발할 수 있고, 유아들을 그들의 발달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에 배치하는데도 효율적이라고 이해되었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유아기 측정결과와 이후의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수 많은 예언타당도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서로 다른 종류의 테스트와 측정 조건들이 활용되어 그 결과는 일관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개별연구의 한계를 뛰어 넘고자 연구결과를 통합하는 메타분석들도 이루어졌으나 연구자 나름의 요약수준을 못벗어 나거나 방법론상의 문제로 해석상의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유아기의 측정결과와 이후의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보다 깊이 탐구하기 위해서는 유아기 측정에 있어서 '예언타당도'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인 탐구, 유아 측정도구의 신뢰도에 대한 새로운 접근, 그리고 개별연구들을 묶어 보다 실질적이고도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할 새로운 메타분석의 시도가 요구된다.

      • KCI등재

        조기 교육 실시에 따른 취학 전 유아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 분석

        김주후,김경란,유윤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rent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readiness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by participating in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s and period & expenses for early education was also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653 parents whose young children were attending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located at several cities in Kyoungki-do. The results of analyses showed that first, parent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readiness were associated with their choice and implementation of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particular, in the area of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learning sheets & foreign language, piano, art, and taekwon-do were perceived as importa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ementation of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parents’ demographic variable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t foreign language in cognitive development area. Third, the relationship among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readiness, length and expenses for early education was not strong. From thes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parents’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partially associated with parent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read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조기교육 선택에 따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신념의 차이를 분석하여 유아조기교육의 실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있다. 또한 부모의 취학 전 유아 학교준비도에 대한 신념과 조기교육 실시 시간 및 비용과의 관계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의 부모 6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조기교육 실시여부에 따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조기교육 영역 중 학업관련영역은 학습지와 외국어, 예체능영역은 피아노, 미술, 태권도에 대해서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기교육 실시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조기교육 실시 여부와 부모 배경변인과의 관계는 학업관련영역 특히 외국어 영역에서 큰 차이가 발견되었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부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학교준비도 신념과 조기교육 실시정도와의 관계는 준비도 신념, 조기교육 실시기간, 조기교육 비용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우리나라 부모의 조기교육 선택 및 실시는 전체적으로 유아 준비도 신념과 부분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Involvement in Career Activities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in Korea: The Moderating Role of Private Tutoring Experience

        김주후,정소미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2

        After the enactment of a new Enforcement Decree of the Career Education Act in 2015, it has been a question curious whethe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activities would improve their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the question of whether private tutoring will change the impact of a career education on learning motivation was also rais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ctivity particip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by considering the moderating role of private tutoring experience. To this end, secondary data analyses were used, with the data from a large-scale longitudinal survey conducted in Korea. Participants were 4,969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the analyses, this study applied GLM(General Linear Model) including two independent variables and one modera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te tutoring exper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career activity focusing on counseling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hus study' findings imply that innovation in career education has improved th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but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rem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