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합창지휘 전공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이 공연불안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김주경,진영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중국 합창지휘 전공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 평가염려 완벽주의, 공연불안을 확인하고, 공적 자의식과 공연불안 간의관계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중국의 합창 및 지휘 전공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공적 자의식, 공연불안, 평가염려 완벽주의를 측정하였고, 수집된자료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중국 합창지휘 전공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공연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공적 자의식과 공연불안간의 관계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중국 합창지휘 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적 자의식의 영향을 확인하고, 이 경로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학생 지휘자의 공연 불안을 낮추고 공연 만족감과 질을 높이기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confirmed public self-consciousness,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nd performance anxiety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horal conducting,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performance anxiety. Methods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horal and conducting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ir public self-consciousness, performance anxiety, evaluation concerns, and perfectionism were measu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Public self-consciousness, evaluation concern, an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anxiety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horal conduct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performance anxiety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s a factor affecting the performance anxiety of Chinese choral conducting college students, and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on concerns and perfectionism in this path, the purpose of lowering the performance anxiety of student conductors and increasing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quality is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 measures.

      • KCI등재

        SSD 기반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중복률과 입출력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 중복제거 및 재활용 기법

        김주경,이승규,김덕환,Kim, Ju-Kyeong,Lee, Seung-Kyu,Kim, Deok-Hwan 대한전자공학회 201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8

        SSD(Solid State Disk)는 다수의 NAND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되었으며 내부에 고성능 컨트롤러와 캐시 버퍼를 포함한 스토리지 장치이다. NAND 플래시 메모리는 제자리 덮어쓰기가 안되기 때문에 파일시스템에서 유효페이지가 갱신 및 삭제시 무효페이지로 전환되어 완전히 삭제하기 위해서는 가비지 컬렉션 과정을 거쳐야한다. 하지만 가비지 컬렉션은 지연시간이 긴 Erase 연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SSD의 I/O 성능을 감소시키고 마모도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데이터에 대하여 유효데이터와 무효데이터에서 중복검사를 실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유효데이터에 대한 중복제거 과정을 거치고 그 다음에 무효데이터 재활용 과정을 거침으로써 중복률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하여 SSD의 쓰기 횟수와 가비지 컬렉션 횟수를 감소시켜 마모도와 I/O 성능이 개선되었다. 실험결과 제안한 기법은 유효데이터 중복제거와 무효데이터 재활용을 둘다 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서 가비지 컬렉션 횟수가 최대 20% 감소하고 I/O 지연시간이 9% 감소하였다. SSD is a storage device of having high-performance controller and cache buffer and consists of many NAND flash memories. Because NAND flash memory does not support in-place update, valid pages are invalidated when update and erase operations are issued in file system and then invalid pages are completely deleted via garbage collection. However, garbage collection performs many erase operations of long latency and then it reduces I/O performance and increases wear leveling in SS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of de-duplicating valid data and recycling invalid data. The method de-duplicates valid data and then recycles invalid data so that it improves de-duplication ratio. Due to reducing number of writes and garbage collection, the method could increase I/O performance and decrease wear leveling in SSD.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it can reduce maximum 20% number of garbage collections and 9% I/O latency than those of general cas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적응적 루프필터의 지터 평균값을 이용한 ATSC DTV 심볼 타이밍 동기 방식

        김주경,이주형,송현근,김재명,김승원,Kim, Joo-Kyoung,Lee, Joo-hyoung,Song, Hyun-keun,Kim, Jae-Moung,Kim, Seung-Won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10

        본 논문에서는 ATSC 지상파 DTV 시스템에서 심볼 타이밍 동기 성능 개선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심볼 타이밍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가드너 방법은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성능이 좋지만 지터에 의해 성능 열화가 발생한다. 지터량는 루프 필터 대역폭이 작을수록 작아지지만, 수렴속도는 느려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렴속도는 빠르면서 수렴 후 지터량를 감소시키기 위해 일정시간마다 루프필터의 출력 값을 평균하고 이 평균값을 이용하여 옵셋량을 추정한 후 점차적으로 대역폭을 줄여 지터의 크기를 줄이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방식에 비해 수렴속도와 지터의 기에서 좋은 성능을 보인다. This Paper Proposes the algorithm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r symbol timing synchronization in hoc terrestrial DTV system. The Gardner algerian is used for symbol timing synchronization has good performance in multipath fading environment but degradation of performance is caused by jitter. Though the amount of jitter becomes more little as narrow bandwidth of loop Inter, convergence speed becomes slower. This paper propose the algorithm that averages out values of loop filter every certain time and gradually reduces the bandwidth of loop filter after estimating offset using this average for the high speed of convergence and reducing the met of jitter.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tter performance with high speed of convergence and the amount of jitter than conventional method.

      • KCI등재

        옥타브기호를 활용한 산조가야금 오선보의 제안

        김주경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22 동양음악 Vol.52 No.-

        1960년대에 이르러 가야금의 명인 황병기가 서양의 오선보에 산조가야금 곡조를 기보함으로써 우리는 비로소 체계적인 산조가야금 악보를 사용하게 되었다. 음역이 낮은 가야금 소리를 표현하는 초창기의 가야금 오선보에는 여러 개의 아래 덧줄이 층층이 여러 겹으로 그려지게 되었기 때문에 황병기는 의도적으로 원래의 음보다 완전5도 높게 기보하는 방법으로 대처하였다. 본고는 산조가야금 12현 중 3개의 낮은 현을 8도 높여 표현하고 옥타브기호[8va]를 음표 아래에 덧붙이는 기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기보된 악보에 저음이 많은 가야금 소리의 일부가 한 옥타브 높여 기보되었더라도 옥타브 개념에 익숙한 음악인에게 시인성과 가독성의 측면에서 지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에 바탕을 둔 것이다.

      • KCI등재

        「物不遷論」 저술 의도의 검토

        김주경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7 No.-

        Śākamuni Buddha preached ‘a 12 āyatana doctrine’ to mankind living in a world of relativeness and discrimination that at low levels karman becomes a cause and eventually produces a consequence. Instead of dealing with fundamental questions, he tried to correct misconceptions and misunderstandings arising when the world is viewed through the prism of mankind, and advocated a doctrine of pratītya-samutpāda. Śūnya and madhyamā-pratipad is the most quintessential concept of mahāyāna that spread out from dvādaśāṅga-pratītya-samutpāda to prajā and dharma-puṇdarika. The contemporary chinese, who understood only superficially Buddism through apparently similar philosophical concepts of chinese origin without systematic learning, adequate acceptance and practise of the then foreign religion, might not have fully appreciated Ban-Ruo-Wu-Zhi-Lun(般若無知論) of Seng-zhao(僧肇). The reason why Seng-zhao wrote Wu-Bu-Qian-Lun(物不遷論) after Ban-Ruo-Wu-Zhi-Lun, I reckon, was also to warn people, who either misunderstood Buddism or distorted the view of the world. The chinese style of philosophy as amply represented by Zhou-Yi is to discuss basically natural changes and the resulting diverse consequences. This tendency first helped accept Buddism having emphasis on anitya, but I consider it soon became a barrier to reaching the fundamental essences of the religion. I maintain that Seng-zhao wrote Wu-Bu-Qian-Lun in order to interpret and, simultaneously, restrict the changes of the phenomenal whole and the definition of events discussed in Zhou-Yi and Zhuang-Zi as some kind of lessons useful to everyday life. In order to minimize probable errors in introducing prajā philosophy to the then chinese society, he might have had to understand the systematic and gradual doctrines of Buddism as well as redefine the original chinese philosophy while distinguishing between the two. 본 논문에서는 승조가 스승인 라집의 대승경론 역경사업에 참여하면서 정리되었던 생각을 「반야무지론」으로 풀어낸 후, 5∼7년 후에 「물불천론」을 저술하게 된 배경과 의도를 살펴본 것이다. 승조는 무슨 의도를 가지고『중론』의 「관거래품」 등을 떠올리게 하는 저술을 하였는지 추론하였다. 물론『중론』을 중국인들에게 그들이 더 잘 이해하도록 표현하려는 목적이 있으리라 여겨지지만, 왜『장자』 「德充符」의 ‘불여물천’이 연상되도록 ‘물’을 사용하였을『장자』,『주역』 등과 연관하여 생각하였다. 또 후대 주석가가 物=諸法으로 단순하게 파악하는 무신경함을 보여주지만, 「물불천론」 원문에서 ‘법’과 ‘물’을 의도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했음을 살펴보아 저술의 취지를 검토하였다. 승조는 『중론』을 중국인들에게 이해하도록 풀이함과 동시에, 『주역』이나 『장자』 등에서 설해진 현상계 일체 존재들의 변화와 사건들에 관한 정의를 일종의 俗諦로 자리매김하되 지양하려는 목적도 가지고 「물불천론」을 썼다고 생각한다. 중국인들이 공사상의 중국화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하려면, 체계적이고 점진적인 불교 교리의 이해뿐만 아니라 중국 고유사상의 입장을 분명히 하여 확실하게 선을 그어야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