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본국의 지식 수용 양상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 2차 유학 이후의 김기림 비평을 대상으로

        강정구 ( Jeong Gu Kang ),김종회 ( Jong Hoi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5 No.-

        This paper researches the post-colonialnistic aspect of Kim, gi-rim`s criticism and essay that the colonized accept colonizer`s savoir from 1936 to 1941. His criticism shows acceptance of colonizer`s savoir and cultural difference. This paper refers Homi Bhabha and John McLeod`s post-colonialnism. This paper analyzes that Kim, gi-rim is misty existence because he is or not in colonial ruler in the his criticism and essay. Korean traditional apple and bower is "in-between", because these is not for modern culture. Also his criticism is "in-between". On the contrary, his criticism serves as a momentum in that colonizer`s savoir is not absolut and powerful. And, I search the aspect of acceptance of colonizer`s savoir and cultural difference in Kim, gi-rim`s criticism from 1939 to 1941. Kim, gi-rim indicates historial and social difference whice endangers narcissistic demand. This analyzes Homi Bhabha"s concept such as micmicry. His ciritism is mimicry that shows acceptance and cultural difference on I. A. Richards"s poetics(savoir) Moreover his ciritism is rewriting that gives the meaning on Miki Giyosi"s discourse of east-asia(savoir), but informs cultural difference which is deny representation of the colonized by colonizer. Miki Giyosis`s discourse of east-asia is fantastic and powerful. Kim, gi-rim shows cultural difference that he accepts Miki Giyosis"s discourse of nation and culture, but cultural self-examination is important. 이 논문은 2차 유학 이후부터 1941년까지 발표된 김 기림의 비평과 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피식민자가 식민지 본국인 일본의 지식을 수용하는 양상을 살펴봤다. 일찍이 서구의 근대를 수용, 재창조한 일본의 지식이란 그것을 수용한 위치에 있는 한인에게는 진의 담론적인 위상을 지닌 것이었지만, 김 기림의 비평은 그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주로 민족주의적인 시각이 부지불식간에 전제된 감이 있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호미 바바와 존 맥클라우드의 탈식민주의론을 참조하여 지식의 수용과 문화적 차이화의 양상을 세밀히 분석했다. 첫째, 2차 유학 중의 비평과 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김 기림이 식민지 본국에서 있으면서도 없는 "사이에 낀 위치"에 있는 희미한 실존임을 검토했다. 2차 유학 중에 발표한 수필 「林檎의 輓歌」의 "능금"과 수필 「인제는 늙은 望洋 停-어린 꿈이 航海하던 저 水平線」의 "정자"는, 근대 문화가 식민지에 전파되는 것이 절대적, 권력적, 위계적이었고, 그로 인해서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사이에 낀 위치"에 있는 사물이었다. 김 기림의 비평 역시 본격적으로 수용한 식민지 본국의 지식에서 피식민자에 대한 논의가 부재했다는 점에서 "사이에 낀 위치"에 있었다. 이 때 평론 「科學과 批評과 詩-現代詩의 失望과 希望」과 「現代와 詩의 르넷상스」에서 확인되듯이, 그의 비평은 오히려 식민지 본국의 지식이 절대적, 권력적, 위계적이지 않음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2차 유학 직후부터 1941년까지의 비평을 대상으로 하여서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양상을 검토했다. 김 기림은 리처즈의 시학(지식)을 수용하되 그 지식의 권위가 지닌 “나르시즘적 요구를 위태롭게 하는” 역사적, 사회적 차이를 드러냈는데, 이러한 수용과 문화적 차이화는 흉내내기의 양상으로 잘 분석됐다. 김 기림의 평론 「科學으로서의 詩學」은 리처즈가 게쉬탈트 심리학을 활용하여 시학을 구성하는 과정을 잘 이해하고 그 논의(지식)를 수용하면서 피식민지의 “文明의 一定한 段階의 歷史的 特徵”이 "反映"돼야 한다는 역사적, 사회적 차이를 드러내는 흉내내기의 일종이었다. 또한 김 기림은 평론 「詩와 科學과 會話-새로운 詩學의 基礎가 될 言語觀」에서도 리처즈가 당대의 언어학에 영향 받아 구성한 시학을 잘 따르고 있음에도, 식민/피식민의 관계를 고려한 “一定한 歷史的 社會”를 중시해애 한다는 흉내내기의 전략을 보여줬다. 셋째, 김 기림의 비평은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론에 일정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면서도 식민자의 재현을 거부, 반발하는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다시 쓰기였다.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론은 당대의 일본 지식인들에게 매혹적이고 권위적인 것이었다. 김 기림은 평론 「朝鮮文學에의 反省-現代 朝鮮文學의 한 課題-」에서 서구 근대가 파산된 당대의 시점에서 배타적 민족주의를 넘어선 민족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미키 기요시의 민족 논의를 수용하면서도, 한 민족의 우월적인 "지도"보다는 “서로서로의 文化의 接 脈과 包容과 尊敬”이라는 호혜적 원칙이 중요하다는 방식의 다시 쓰기를 보여줬다. 그리고 김 기림은 평론 「「東洋」에 관한 斷章」에서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 문화 논의를 반복하면서도 동아시아 문화의 “가장 빛나는 얼굴”을 “고대와 중세에서 찾”아야 한다는 성찰적인 다시 쓰기를 시도했다. 김 기림이 발표한 2차 유학 이후의 비평과 수필은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발생시키는 탈식민주의적인 양상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적인 의미가 있다. 김 기림의 문학은 식민지의 지식인 타자가 지식 담론 속에서 존재하는 문화적인 양상을 잘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그의 문학은 일본이 1940년대 중반을 향해 군국주의, 파시즘으로 치달을 때에는 현실적으로 유의미한 담론의 지점을 찾기 어려운 것이었으나,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부분적으로 위반, 거부, 해체해 나아가는 피식민자의 담론적인 위치를 설정하고자 노력한 결과물이었다는 점에서 1940년 전후의 비평사적인 의미가 있다. 해방 이후의 김 기림 비평 연구는 후속과제가 된다.

      • KCI등재

        김동리 소설과 인본주의의 두 유형

        김종회(Kim Jong-Hoi)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6

        김동리의 작품들은 기본적으로 인간성 옹호에 바탕을 둔 순수 문학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보편성을 지니면서도 한국적 인간상이 철저히 조명되고 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한국적 인간상의 조명은 토속적 샤머니즘적 세계에 천착해 온 작가 의식의 반영이라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작가 의식은 운명에의 순응 또는 종교적 구원의 갈망이라는 주제로 나타난다. 후기에 들어 김동리는 보편적인 휴머니즘의 세계에 관심을 기울였고, 이는 이전 작품들의 세계를 종합하여 확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김동리의 소설에 나타난 인본주의를 그의 장편소설 『을화』와 『사반의 십자가』를 통해 검증해 보았다. 두 작품이 공히 기독교 신앙과 맞서는 상황적 조건을 매설함으로써 긴장감 있게 이야기가 진척되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그 상황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각론에 있어서는 그 이야기의 구조와 환경, 추구하는 방향성이 모두 다르다. 샤머니즘의 거울에 비친 『을화』의 인본주의, 기독교적 신성의 거울에 비친 『사반의 십자가』의 인본주의가 서로 구별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을화』에서는 샤머니즘이란 신적인 또는 준 신적인 신앙의 형식을 통해 그에 대비되는 인본주의의 형상을 소설로 구현했다. 샤머니즘과 기독교 신앙의 갈등 및 충돌을 서술함으로써 그 비극적인 결말에 이르는 동안 인본주의 및 인간중심주의의 성격을 발현해 보인다. 『사반의 십자가』에서는 신성과 인본주의라는 영원히 만날 수 없는 대극의 두 요소를 극단적인 상충의 자리에까지 이끌고 감으로써 신성에 대비된 인본주의의 외형을 드러내 보인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입장이 작가가 개진한 ‘신인간주의’로 연계된다. Kim Dong-ri"s works basically build a world of pure literature based on support of humanity. Given this universality, it is noteworthy that the Korean character is thoroughly showing. Showing of Korean character is a reflection of author"s consciousness that dig into traditional shamanism. It appears as the theme of adaptation to fate or religious belief. Latterly Kim focused on the universal humanism which was the expansion of previous works. This article examined the humanistic writings of Kim Dong-ri through his novels " Eulhwa " and " The Cross of Saban. " There is a similarity of story progress with tension between the two works, in which both work with situational conditions confronted with Christianity. However the situational narrative in details, the story of structure and the environment, and the seeking directions are all different. It is natural to be distinguished that the humanism of "Eulwha" based on Shamanism, and the humanism of "Cross of Saban" based on spiritual Christianity. In " Eulwha, " it embodies the form of humanistic imagery into novel through form of divine or semidivine faith. By describing collision and conflict of Shamanism and Christianity, it reveals humanism and personality of anthropocentrism during the tragic ending. In "The Cross of Saban" it reveals the outward appearance of the humanism which against to sacred by leading two elements which are sacred and humanism to extreme confrontation, In theory, this stance is linked to the "New Humanism" which set forth author"s view.

      • KCI등재

        이상의 「날개」와 연구의 방향성

        김종회(Kim, Jong-Hoi)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4

        이상의 문학은 소설을 비 소설화하고 난해하게 시를 쓰며 다다이즘, 심리주의적 경향, 무의식 상태의 기술, 모험과 좌절의 표현, 과다한 실험성을 내보이는 등 한마디로 부정과 파괴와 가치 전도의 대명사 같은 것이었다. 이는 당대의 문단과 문학인들에게는 하나의 격렬한 충격일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는 그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이상의 대표적인 작품 「날개」를 면밀하게 살펴보고, 그 연구의 두 가지 방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그의 시대와 작품세계, 「날개」에 대한 분석에 이어 이상 및 「날개」 연구가 어떤 논의 구조 위에 서 있으며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지금까지 이상의 작품에 관해서는 수없이 많은 평자들의 논의가 있어 왔고 또 그러한 논의는 오늘날까지 연장되어 끊이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그동안의 문학사적 평가 및 연구사도 대단한 분량과 다양성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를 개괄적으로 요약해 보면, 이상이 독특한 개성을 가진 문학인이었으며, 현대시 또는 현대소설의 세계와 영역을 확충하는 의미 있는 문학사 업적을 남기었고, 그러한 사실이 문예사 조적인 측면에서는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심화를 가져왔다는 점, 그리고 시적 리듬이나 소설적 기법에 있어서도 파괴적인 변형을 통해 새로운 지평을 일구어 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러 논자들의 글을 두루 살펴본 결과 이상 문학에 대한 평점은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으로 대별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김윤식을 비롯하여 문학사회학의 창을 통해 이상을 진단한 논자들은 그의 문학사적 역할과 기여를 인정하면서도 그 미덕을 부각시키는 것보다는 자폐적 문학 공간이 내포하는 부정적 측면과 넘어서지 못한 한계를 더 노출시켜 논의를 진행했다. 반면에 황패강을 비롯하여 신화문학론의 견지에서 이상을 연구한 학자들은, 이상이 새로운 삶을 촉발시키는 희망적 전망을 내보이고 있다는 제의적 관점의 설정과 더불어 이를 긍정적 측면에서 검토해 나갔다. 이 글에서는 이상의 문학을 논의하면서 시대 및 사회적 환경, 그리고 생애사적인 문제, 문예사조적인 문제 등이 어떻게 작품에 영향을 미치거나 반영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고 또한 그의 문학을 논의한 많은 평자들의 시각과 관점을 일반론, 시론, 소설론, 기타의 순서에 따라 검토해 보았다. 아울러 그의 문학이 오늘날까지 문제시되는 것은 세계를 보는 태도의 독특함과 강렬성 때문이란 판단 아래, 이 문제를 발전시켜 나갈 이상론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서도 일정한 토대를 세워 보았다. Lee Sang"s literature represented denial, destruction, and inversion of the literary values in which novels and poetry are out of their traditional format as well as displaying Dadaism, psychological trend, unconscious skill, risky and frustrated expression, and excessive experiments. It had been a rupture and shock to the literary circle of the time. This article, under such a critical mind, examined the leading novel of Lee, 「The Wing」, in details and two directions of studying it. For the very purpose, analysis on his generation, literary world, 「The Wing」itself along with the proper state of reading Lee and 「The Wing」was discussed. Till now, there have been numerous discussions on Lee Sang"s works and continued as of today. Reviewing the previous criticism and researching history, in massive quantity and diversity, Lee was a literary figure with a unique character who left a meaningful asset for broadening the domains of modern poetry and novels. This fact brought the deepening of modernism in Korean literature in the aspect of literary trend. Also, the destructive transformation in poetic rhythm and fictional technique has opened a new era from the evaluation of critics. The general classification i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on Lee Sang"s literature after the inspection of different disputants. Kim Yoon-Sik, representing the former perspective, used the standpoint of literary sociology which acknowledged Lee"s role and contribution to sociological literature. Yet the autistic space shown in his works and unovercamed limitation were highlighted. On the contrary, Hwang Pae-Kang and other scholars from the perspective of mythological literature respected Lee for triggering new life and hope which could be a positive factor. This article examining Lee Sang"s literature took a close look at the generational, societal, and personal condition, including literary trends, and their influence all together on his writing. Different viewpoints and perspective in the order of general, poetic, fictional, and other theories were also discussed. Admitting his peculiar and intense attitude on universe, the new Lee-Sang-ism and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y was built within.

      • KCI등재
      • KCI등재

        남북한 문화이질화 현상과 문화통합의 실천적 과제

        김종회(Kim Jong-Hoi) 한국문학회 2004 韓國文學論叢 Vol.36 No.-

        This article is about practical solution and direction of Korean culture unification movement. This kind of subject will not stop just in oral case. First, we need correct understanding and analysis about culture different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vailable solution, corporative foundation, and finding commonness in tradition, language and habits will be followed. And objective study about facts and trends will be accomplished. Second, development of culture unification movement's items and positive practice are needed. A study for direction of national unification based on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issues is prime subject. Third, solution and direction for national movement will be needed. It is impossible without that kind of willing. This movement will not be done by government but be done by national level. Government and NGO must cooperate in this way of national culture unification.

      • KCI등재

        사유의 극점에서 만난 종교성의 두 면모 -김달진 시의 불교적 정신과 기독교적 정신-

        김종회 ( Kim Jong-hoi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7 No.-

        우리 문학이 안고 있는 취약성 가운데 그 정도가 오래고 깊은 항목 하나를 들기로 한다면 사상성의 부재, 혹은 사상을 담은 걸작의 부재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학에 있어서의 사상성을 발양하고 보완하는 여러 의미 구조와 장치들이 있겠으나, 그와 관련하여 종교문학, 종교적 주제 또는 소재를 다루는 문학을 상정해 보는 것은 크게 효용성이 있어 보인다. 문학의 미학적 가치에 내포적인 부피가 광대한 종교성의 조력이 공여된다면, 사상을 담은 문학이라는 아포리아는 활달한 해소의 길을 열 수도 있을 터이다. 불교와 기독교는 분명 동서문명의 정신적 정화(精華)를 대표하는 종교이며, 그 교리의 방향도 전혀 다르다. 불교가 보편타당성의 교리로 세계를 널리 감싸 안는 원심력으로 작용하는데 비해, 기독교는 절대타당성의 교리로 세계를 한 방향으로 이끄는 구심력으로 작용한다. 전자가 평범한 사람으로부터 절대적 존재에 이르는 상향종교인데 비해, 후자는 전지전능한 절대자로부터 범인에 이르는 하향종교의 방향성을 가졌다. 그러나 종교적 절대정신을 현실적인 삶 속에 시현하는 그 실천적 항목에 있어서는, 자비와 사랑이 전혀 상충 없이 하나로 소통되는 종교성의 미덕을 나타낸다. 김달진의 내부에 사뭇 조화롭게 공존하고 있는 종교성의 두 면모도, 결국 이 조화로운 악수의 방식을 닮아 있을 수밖에 없다. 이 글은 김달진 시에 나타난 두 종교적 사상성의 양상과 그것이 갖는 상관성의 의미를 구명함으로써, 우리 문학 가운데 하나의 범례로 제시될 수 있는 종교문학의 중층적 전개 방식을 도출해 보려는 시도이다. 우리 시사(詩史)에서 가장 깊이 있게 정신주의의 문학세계를 천착했던 김달진의 경우는, 그 문학적 성과의 중심을 이제까지 살펴본 바와 같은 종교적 사상성에 빚지고 있는 바 크다. 그리고 그 주된 분량은 그가 일생을 통해 신명을 던졌던 불교적 세계관으로 채워져 있다 하겠으나, 어린 시절부터의 실제적 체험과 관련된 기독교적 세계관이 이 정신적 행로에 합류함으로써 보다 그 깊이와 넓이를 더했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김달진 문학의 장점을 통하여 `사상을 담은 문학`을 폭넓게 실현할 하나의 표본 모델을 정립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long-time vulnerability of Korean literature is the absence of ideology or that of a masterpiece which contains an ideology. Religious literature or literature deals with religious matter could be a solution to this issue. The aesthetic feature of literature with the help of religious idea could open a new road for ideological literature. Buddhism and Christianity are the essence of mental ideology, Eastern and Western culture respectively. Yet the direction of the two is very different. Buddhism is centrifugal while Christianity is centripetal. The former also pursues universal embrace, and upwarding from a normal person to becoming an absolute figure. The latter in contrast favors absolutism in the exact opposite way. The focus of the two might be differ, but the practical application to real life is similar. Kim Dal-Jin also contains these two within himself. This paper identifies the condition of two religious ideology and the cou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It would be a fresh trial to discuss and comment on developmental stage of religious literature. The deep-rooted spiritualism of Kim Dal-Jin in Korean poetry owes much part to religious ideology, examining his literary success. The Buddhistic view is still dominant, but deepening and broadening his perspective is due to the childhood experience based on Christianity. Examining the two religious features in Kim Dal-Jin`s literature could a stepping stone for `Ideological Literature.`

      • KCI등재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근대의식의 양상

        김종회(Kim, Jong-Hoi) 한국현대소설학회 2017 현대소설연구 Vol.- No.6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 of modern consciousness shown in Lee Kwang-Soo’s literary works. The social circumstances of the time and his reaction are all intimately related to modernism and modern consciousness; exploring his works is the same as looking into Korean modern history as well as the literary background. First, the generational impact, the writer himself and his literary world, the second is to closely investigate his modern consciousness reflected in different works. Major short stories, novel 『Heartless』 and 『Love』 were chosen. The short stories were hidden beneath the novels. They were short in numbers and less of aesthetic achievement. Yet the style of composition was new to the era and opened a paradigm of short story writing. The study chose the major eight which are worth to look into and in the spotlight of researchers. These are more than displaying the modern ideas but suggesting a fresh start of another generation. 『Heartless』which was the first in modern Korean literature as a novel is not about realism discussing periodical awareness and public agony but enlightenment and idealism. Also, it still resides in the category of New Novel for its content and format. Yet the refined sentences and the description of a conversation which are the factors of modern novel and overcoming of feudalism in the story all brought together to make it as a new Korean novel after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The modern consciousness shown in the story does not belong to the writer himself but signifies the direction of coming era. As 『Heartless』, 『Love』 also stands up for the innovative style of writing. The unknown field Lee Kwang-Soo was reprinting and the equipment such as the dialogue and way to portray it was ground-breaking and drew explosive response from the public. In sum, his contribution is developing the modernism in Korean literature and becoming a precious stepping-stone even with the third-rated common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wenty-first century.

      • KCI등재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김종회(Kim Jong-hoi),강정구(Kang Jeong-gu)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도적 같이 온 해방은 민족이라는 기표를 사유하고 그 의미를 실질적으로 채워야 하는 낯선 과제를 1940년대 중반에 제기했는데, 이러한 과제에 대한 문학적인 응답은 해방과 삼일운동과 같은 민족의 주요 사건을 기념하는 세 권의 시집-《해방기념시집》, 《삼일기념시집》, 《횃불》-에서 잘 찾아졌다. 이 때 기념 혹은 기억이란 현재의 필요에 따라서 과거의 사건을 전유하는 민족주의 담론의 일종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었다. 첫째, 시집《해방기념시집》에서 주목되는 것은 한민족 · 일본 · 연합군의 표상이었는데, 이 표상은 시집 참여자의 민족주의 논리에 따라 과거에 대한 기억/망각이 어떻게 나타나느냐 하는 점을 보여줬다. 먼저, 한민족과 일본의 관계는 식민지 사회에서 비교적 협력하면서 저항하는 양가적 · 다면적인 관계였는데, 시집에서는 시 〈속박과 해방〉에서 보이듯 강력한 저항적 민족주의 담론의 영향 아래 놓였다. 이러한 영향은 한민족과 일본 사이의 양가적 · 다면적인 과거관계를 망각하고 저항의 기억을 강조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예는 한민족과 연합군 사이의 관계에서도 확인되었다. 시 〈연합군입성환영의 노래〉에서처럼 연합군은 식민지 사회에서 사실상 적이었으나, 해방 이후 이러한 기억이 망각되고 “우리들의 동지”로 인식되었다. 해방은 과거의 관계를 기억/망각하게 만드는 사건으로써, 한민족이라는 민족 기표의 위상이 바뀌었음을 암시했다. 둘째, 시집《삼일기념시집》에서는 삼일운동이라는 과거 사건이 좌우 이념에 상관없이 민족주의 역사 담론을 통과하면서 어떻게 기억되고 현재의 필요에 따라 전유되는지를 드러냈다. 삼일운동은 무엇보다 쇠락한 현재(1940년대 중반)를 극복하는 데에 필요한 중요한 교훈을 줄 수 있는 찬란한 과거로 기억되었다. 삼일운동이란 시 〈재배하오리-삼일운동에돌아간애국지사영앞에〉에서는 혼란 · 좌절의 현실에서 요구되는 구국희생정신을 선취했던, 그리고 시 〈3월1일이온다〉에서는 임화의 이상적인 미래인 인민 민주주의의 정신적인 요체를 지녔던 실천으로 가공되어 서술되었다. 이 지점에서 삼일운동은 3단계 민족주의 역사 담론으로 전유되어 쇠락한 현재와 이상적인 미래를 위해 그 결여를 메우는 찬란한 과거로 서술되었다. 셋째, 시집《횃불》에서는 발간 주도자가 어떻게 계급혁명에 대한 집단의 기억을 되살리면서 민족주의 담론에 참여하는가 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 시집의 발간 주도자가 주목한 기억은 해방 이전의 계급혁명에 관한 것이었는데, 이러한 기억은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의 정체성을 보증하는 집합기억이 되었다. 1920-30년대 프로문학의 목소리가 거의 그대로 보존된 시 〈날러라 붉은 기〉는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이 프로문학과 연속성을 유지하고 자기 집단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방식을 잘 보여줬다.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은 이처럼 계급혁명을 일종의 인식틀로 삼았기 때문에, 1940년대 중반의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도 그에 따른 것이 될 수밖에 없었다. 소련군의 입성을 찬양하고 그들을 지지하는 시 〈축연〉은 그러한 한 예가 되었다. 1940년대 중반은 민족 기표가 2좌1우의 이념적인 대립으로 이미 고착화된 것이 아니라, 막 형성 중이던 시기였다. 다시 말해서 민족이라는 상상공동체는 당대에 상당히 다면적 · 다양한 욕망들이 이합집산하는 과정을 통해서 복잡하게 조형되었던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a making of nation signifier in the middle of 1940's. 8.15 Liberation come suddenlly in 1940's, so a problem what is nation is presented in an intellectual society. in this essay, that answer is researched in The Liberation Memorial Works, 3.1 Memorial Works, and The Liberation Memorial Works -A Torchlight. The Main poems in The Liberation Memorial Works, show how occured the memory/oblivion on the Han race, Japanese, and the allied forces. This essay researched the relation change from 8.15 Liberation before of after. And the Han race and the allied forces such as the U.S. or the Soviet Union. 3.1 Memorial Works is recording of how remember 3.1 Movement in that need of the present or the ideal future. 3.1 Movement is recorded who discuss what. For exemple, Lim, hwa insisted that 3.1 Movement is the practice of mind of his people's democracy. This He have sole possession in the 3.1 Movement. Also The Liberation Memorial Works -A Torchlight is how shows collective memory on the class struggle that was in the 8.15 Liberation before by Chosun Proletarian Literature Alliance. They thought a need of the class struggle, and practiced that.

      • KCI등재

        박태원의 <구인회> 활동과 이상(李箱)과의 관계

        김종회(Kim, Jong Hoi) 구보학회 2006 구보학보 Vol.1 No.-

        이 글에서는 박태원의 <구인회> 시절 문학 활동에 대해 그 시발과 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같은 <구인회>의 구성원이자 개인적으로 특별히 친밀한 사이였던 이상(李箱)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해 보려한다. 이 대목이 박태원 문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그 당시 <구인회> 활동이 박태원의 창작 심리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이상을 소재로 한 소설이 여러 편 있기까지 한 데 비추어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상과의 관계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란 작품이 패러디되어 문학사적으로 전개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주제 및 소재상의 쟁점으로 남아 있게 된다. 박태원과 이상은 현대 예술에 대한 강렬한 욕구와 실험정신, 전위성 등에 있어서 선구적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동시에 둘 다 서울 태생으로 스스로 천재라고 생각하면서, 현실에 다소 지각하였다거나 그렇지 않으면 현실이 그보다 몇 시간 뒤떨어졌다고 믿으면서 새로운 문학세대로 자처하였다. 이들은 문학이 감당할 수 있는 한 가능한 모든 실험적인 기법을 적극적으로 시도함으로써 문학영역의 심화와 확대에 크게 기여하려 했다. This essay will examine the start and the process of the literary service of Park Tae-woon while working for the “Associationof the Nine People (Guin-hoi).” It will also focus on his relationship to Lee Sang who was another member of this literary club and personally close to Park Tae- woon. This pa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ark Tae-woon’s literary study. The reason for this lies in his service for the club, which had a tremen- dous influence on Park Tae-woon’s literary world. In fact, there are quite a few novels written about Lee Sang. His relationship to Lee Sang has especially been the main theme and source of his work while “The Day of A Writer, Mr. Gubo” was written over several times as a parody. Park Tae-woon and Lee Sang share similarities as a precursor for having a strong desire for contemporary art, experimental attitude, and advanced idea. Both were born in Seoul, believed themself to be a genius, and thought that the reality of life had been backward, which allowed them to be a new literary generation. They tried almost every possible experimental technique that literature could afford and tried to achieve deepening and enlargement in literary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