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장형 음성합성 기술 동향 및 사례

        김종진,김정세,김상훈,박준,Kim, Jong-Jin,Kim, Jeong-Se,Kim, Sang-Hun,Park, Ju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3 No.1

        음성합성 기술은 1990년대 중반 음편접합 방법론이 출현하면서 괄목한 만한 기술적 발전을 이루어, 2000년 전후에는 전화망을 이용한 ARS, VMS, UMS 서비스를 중심으로 폭넓게 사용되면서 일반 사용자들에게 매우 친숙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텔레포니 기반의 음성 기술 시장은 기업고객 위주로 그 성장이 더딘 반면, 지능형 로봇, 텔레매틱스, 홈네트워크, 차세대 PC와 같은 전략적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분야나 MP3 플레이어, 휴대폰, PMP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임베디드 분야가 음성 기술의 새로운 시장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임베디드 분야에서 요구하는 음성 기술은 기존 서버급 시스템에서 운영되었던 기술과는 상당히 다른 기술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음성 기술 중 특히 음성합성 기술에 관한 임베디드 분야의 요구사항을 고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근의 기술적 발전 동향 및 응용 사례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PORT-MIS 및 선박제원 DB를 이용한 부산항 입출항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김종진,신강원,Kim, Jongjin,Shin, Kangwon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산재되어 있는 부산항 입출항 선박의 개별 활동도(정박 접안 특성) 및 선박제원 정보를 기존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RT-MIS) DB에 연계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연계 구축된 3가지 DB를 이용하여 18개월(2009.01~2010.06) 동안 부산항에 입출항한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기본 활동도 변수만을 포함하고 있는 저해상도의 L-PORT-MIS DB에 각 선박의 정박시간 자료를 추가하여 중해상도의 M-PORT-MIS DB를 연계 구축하였으며, 각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엔진출력 등과 같은 선박제원 정보를 연계시켜 고해상도의 H-PORT-MIS DB를 구축하였다. 각 활동도 DB를 이용한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결과, 선박 활동도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저해상도 및 중해상도의 선박 활동도 자료를 이용할 경우에는 과거에 집계화된 정박 및 접안 특성에 의존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이 과다 산정되는 반면, 고해상도의 선박 활동도 자료를 이용할 경우에는 각 선박의 개별 접안 정박 특성과 엔진출력이 고려되는바 H-PORT-MIS DB를 이용한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보다 신뢰성 높은 추정치로 판단된다. 이처럼 부산항을 입출항하는 개별 선박의 특성을 반영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했을 경우 그 추정치는 기존 추정치와 매우 달라질 수 있어 실효성 있는 온실가스 저감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DB의 연계 구축이 시급하다. This study presents the linkage method combining the existing Por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ORT-MIS) DB with the scattered vessel activity data sets including the hotelling and maneuvering characteristic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ssels arriving and departing from the port of Busan from January 2009 to June 2010. By linking the data sets, this study made three types of vessel activity databases: L-PORT-MIS DB with low-level vessel activities, M-PORT-MIS DB with medium-level vessel activities such as hotelling time, H-PORT-MIS DB with high-level vessel activities such as hotelling time, engine power, etc. Th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otal GHG emissions decreases when the detailed vessel activities are employed. This decrease in the total GHG emissions by the level of vessel activities implies that the GHG emissions from the low and medium level vessel activities are overestimated due to the aggregated hotelling/maneuvering times and speeds resulting from the past vessel specifications. Therefore, the GHG emissions using the H-PORT-MIS DB are more reliable GHG emission estimates in that the vessel specifications and the observed hotelling time of each vessel are employed in the estimation process. Hence, the high-level vessel activity dataset should be constructed to implement more suitable countermeasures for reducing the GHG emissions in the port of Busan.

      • KCI등재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한국어 운율 특성에 관한 연구

        김종진,이숙향,Kim Jong-Jin,Lee Sook-Hyang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hrough the analysis of a large database. One female and one male speakers each read 650 sentences and they were segmentally and prosodically labeled.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on these utterances regarding the tonal pattern and the size of prosodic units,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higher level prosodic units and the number of lower level prosodic units. and the slope and F0 of the falling and rising contours of an accentual phra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uration and the number of words and syllables of a prosodic uni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not only between speakers but also between its positions within a higher level prosodic nit. The munber of a prosodic uni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duration and the number of syllables of its higher level units. The slope of the falling contour within an accentual phras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its syllables. The slop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rst tone type of an accentual phrase, which could be explained with the F0 rising and the different amount of rising between tones when an accentual phrase starts with an H tone. The slope of the falling contour across an accentual phrase boundary showed a constant and larger value compared to one within an accentual phrase. The rising contours in the beginning and end of an accentual Phrase were similar in their slopes but they differ in the amount of F0 change : the former showed a larger amount of change. The slope of the rising contour which forms an accentual Phrase on its own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its syllables. 본 연구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한 한국어의 운을 특성 규명을 시도하였다. 남녀 화자 1명씩 각각 낭독한 650개의 뉴스기사 문장 (총 1,300 개)은 분절음 레이블링과 운율 레이블링을 한 후, 각 운율단위의 성조유형과 크기, 상위운율단위의 크기와 하위 운율단위 수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강세구의 하강곡선과 상승곡선의 기울기와 F0 값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운율단위의 지속시간, 어절수, 음절수와 하위 운율단위의 수는 화자뿐만 아니라 운율단위 위치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 운율단위의 수는 상위 운율단위의 음절수와 지속시간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강세구 내의 하강곡선의 기울기는 강세구 음절수와 반비례 관계를 보였으며 강세구 첫 성조의 유형에 따라 기울기 값에 차이가 있었다. 이 차이는 고성조로 시작한 강세구 성조의 F0 상승과 성조 간 상승 폭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었다. 강세구 경계의 하강곡선은 일정하면서 강세구 내의 하강곡선에 비해 다소 급격한 기울기를 보였다. 강세구 내의 두 상승곡선은 유사한 기지값을 보였으나 강세구 시작 상승곡선의 F0 변화량이 끝 상승곡선의 F0 변화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하나의 상승곡선이 강세구를 이루는 L Ha의 경우에는 강세구의 음절수에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당뇨병유두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장기간 변화 2예

        김종진,임종찬,신재필,김인택,박동호.Jong Jin Kim. MD. Jong Chan Im. MD. Jae Pil Shin. MD. PhD. In Taek Kim. MD. PhD.Dong Ho Park. MD. PhD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9

        Purpose: To report long-term changes in the average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in 2 patients who had intravitreal bevacizumab (IVB) injection for diabetic papillopathy. Case summary: A 36-year-old patient with diabetes complained of decreased visual acuity (20/200) in the right eye. The fundus examination showed optic disc swelling in both eyes. The average RNFL thickness based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increased to 278 μm and Goldmann perimetry showed nasal visual field defect in the right eye. The IVB was injected into the right eye. Three weeks after the IVB injection, RNFL thickness decreased to 135 μm and visual acuity improved to 20/25 in the right eye. However, RNFL thickness increased from 126 to 207 μm and visual acuity decreased to 20/32 in the left eye. Thus, IVB was injected into the left eye. In week 3, RNFL thickness decreased to 147 μm and visual acuity improved to 20/20 in the left eye. At 12 months after IVB injection, RNFL thickness was 87 μm in the right eye and 109 μm in the left eye. A 57-year-old patient with diabetes complained of decreased visual acuity (20/200) and showed optic disc swelling in the right eye. The average RNFL thickness increased to 252 μm and Goldmann perimetry showed an enlarged blind spot in the right eye. IVB was injected into the right eye. After 3 weeks, RNFL thickness decreased to 136 μm and visual acuity improved to 20/70 in the right eye. Six months after IVB injection, RNFL thickness was 83 μm in the right eye. Conclusions: Visual acuity progressively improved within 3 weeks and RNFL thickness measured by spectral domain OCT showed progressive thickness reduction in 2 cases of diabetic papillopathy patients who had IVB injections.

      • KCI등재

        신생혈관녹내장에서 아메드밸브삽입술의 장기 결과와 베바시주맙의 전방내 주사 효과

        김종진,신재필,Jong Jin Kim,Jae Pil Shin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5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surgical results of Ahmed glaucoma valve implantation (AGVI) and the effects of intracameral bevacizumab injection in neovascular glaucoma (NVG) after diabetic vitrectomy.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7 patients with NVG after diabetic vitrectomy who underwent AGVI with or without intracameral bevacizumab injection. In each group,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intraocular pressure, the number of glaucoma medications, an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ere compared. We analyzed the rates of surgical succ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risk factors. Results: The cumulative probability of success was 87.7% at 1 year, 78.8% at 2 years, 70.5% at 3 years, and 61.6% at 5 years. Intraocular pressure and the number of glaucoma medication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BCVA was significantly better at all postoperative follow-up time points in both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ean intraocular pressure, the number of glaucoma medications, BCVA, or the rates of surgical success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cidence of hypertensive phas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intracameral bevacizumab group, but neither the surgical success rate nor intraocular pressures were differ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Ahmed glaucoma valve was a good therapeutic modality for long-term treatment of NVG occuring after diabetic vitrectomy. Intracameral bevacizumab injection had no effects on the surgical results of Ahmed glaucoma valve surgery. J Korean

      • KCI등재

        Comparison of removal torque of dual-acid etched and single-acid etched implants in rabbit tibias

        김종진,조성암,Kim, Jong-Jin,Cho, Sung-Am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itics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4

        목적:불산과 염산/ 황산을 두 번 사용하는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식은 선반가공한 표면에 비하여 강한 결합력을 보이지만 두 번 산처리하는 방식은 티타늄의 피로도를 야기시켜 미소균열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염산으로 한번 산처리하는 방식이 비슷한 결합력을 가진다면 단순하고 효율적인 산처리 방식이 될 수 있다. 재료 및 방법: 9개의 지름 3.75, 길이 4 mm의 두 번 처리 방식의 임플란트와 같은 크기의 한 번 처리 방식의 임플란트를 토끼의 경골에 심어서, 10일 후에 회전제거력, 거칠기, 젖음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두 번 처리 방식과 한 번 처리 방식의 회전제거력은 차이가 없었고 (P = .995). 두 번 처리군의 거칠기는 $0.93{\mu}m$, 한 번 처리는 $0.84{\mu}m$이었다 (P = .170). 평균젖음각은 두 번 처리는 $99^{\circ}$, 한 번 처리는 $98^{\circ}$ 이었다 (P = .829). 각 변수 모두 두 그룹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산으로 한번 처리하거나 두 번 처리 하거나 두 그룹의 회전제거력, 거칠기, 평균젖음각의 차이는 없었기 때문에 종래의 dual acid treatment보다 한번 처리하여도 유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Purpose: Chemically strong-acids (HF and $HCl/H_2SO_4$) dual etching implant surfaces have higher strengths of osseointegration than machined implant surfaces. However, the dual acid treatment deteriorat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itanium by weakening the fatigue resistance of the implant and causing microcracks. The removal torque comparison between the dual-acid etched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HS) and single-acid etched implants (hydrochloric acid, H) could reveal the efficiency of implant surface acid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Nine $3.75{\times}4mm$ dual-acid etched SLA implants and nine single-acid etched SLA implants were inserted into New Zealand rabbit tibias. After 10 days, removal torque, roughness, and wetting angle were measured. Results: Mean removal torque values were as follows: Mean removal torque were 9.94 Ncm for HS group and 9.96 Ncm for H group (P=.995). Mean surface roughness value were $0.93{\mu}m$ for HS group and $0.84{\mu}m$ for H group (P=.170). Root mean square roughness (RSq) values were $1.21{\mu}m$ for HS group and $1.08{\mu}m$ for H group (P=.294), and mean wetting angle values were $99^{\circ}$ for HS group and $98^{\circ}$ for H group (P=.829). Statistical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moval torques, roughness, or wetting angles of the two groups. Conclusion: In this experiment,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moval torque, roughness, or wetting angle between dual-acid etched and single-acid etched im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