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공조건에 따른 사철쑥 침출차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연구

        조명래(Myoung Lae Cho),이종석(Jong Seok Lee),민경(Min-Kyung Kim),신혜영(Hye-Young Shin),이사라(Sarah Lee),병직(Byung-Jik Kim),여주홍(Joohong Yeo),김종예(Jong-Ye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6

        본 연구에서는 사철쑥을 침출차로 활용하고자 에탄올을 이용하여 사철쑥의 쓴맛을 제거하였으며, 열처리를 이용하여 사철쑥의 풍미를 향상시켰다. 관능평가 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사철쑥으로 침출차를 제조한 경우 쑥 특유의 쓴맛이 강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50% 에탄올 처리에 의해서 사철쑥 특유의 쓴맛을 제거할 수 있으며, 160°C의 열처리를 통하여 사철쑥의 풍미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에탄올 처리와 열처리를 병행했을 때 사철쑥 특유의 쓴맛을 가장 많이 감소시킬 수 있었고, 총 페놀릭 성분함량은 약간 감소하였지만 침출차의 전반적인 항산화력은 유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사철쑥 침출차 제조 시 에탄올 처리와 열처리를 병행한다면 사철쑥 특유의 쓴맛을 제거하고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침출차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Artemisia capillaris was subjected to an ethanol treatment (50 and 95%) and/or heat treatment (100, 120, 140, 160, 180, and 200°C)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leached A. capillaris beverage. Both ethanol and heat treatments did not induce obvious changes in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gardless of the treatment conditions. The ethanol treatment (50 and 95%) reduced the flavor and bitter taste of the A. capillaris beverage but increased the overall preference score. As a heat treatment, when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to 160°C, both the flavor and bitterness scores of A. capillaris beverage were decreased but the roasted favor and overall preference scores were increased. A combination of both ethanol treatment (50%) and heat treatment (160°C) also reduced the bitter taste of the beverage but the overall preference score was also decreased slightly regardless of the treatment time.

      • KCI등재

        3T3-L1 세포분화 중 지방축적 및 활성산소종 생성에 대한 국내 산림자원 5종 추출물의 효과

        최선일(Sun-Il Choi),이종석(Jong Seok Lee),이사라(Sarah Lee),이혜진(Hye Jin Lee),여주홍(Joohong Yeo),조봉연(Bong-Yeon Cho),이진하(Jin-Ha Lee),재민(Jae-Min Kim),정태동(Tae-Dong Jung),최승현(Seung-Hyun Choi),김종예(Jong-Yea Kim),강석남(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는 국내 산림자생 식물 추출물 5종(밤나무, 진달래, 산수유, 복분자딸기, 갈참나무)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활성산소종(ROS)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국내 산림 식물 5종 모두 지방축적량 및 ROS 생성량을 농도 유의적으로 감소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복분자딸기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에서 지방 축적 및 ROS 저감에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N-acetyl-Lcysteine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분자딸기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PARγ, C/EBPα 및 aP2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국내 산림 식물 5종 추출물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항비만 및 항산화 활성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ts of five species of Korean native forest plants on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Our results show that Korean native forest plants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during adipogenesis in 3T3-L1 cells. Especially, Rubus coreanus Miq. was most effective in the inhibition of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Moreover, Rubus coreanus Miq.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which is dependent on down-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and adipocyte-specific fatty acid binding protein, a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ubus coreanus Miq. might be a valuable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with anti-adipogenic activity.

      • KCI등재

        동적광산란법을 이용한 아밀로즈 함량에 따른 전분 분자 구조 변화 분석

        문주현(Ju-Hyeon Moon),마진경(Jin-Gyeong Ma),김종예(Jong-Ye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5

        본 연구에서는 동적광산란법을 이용하여 아밀로즈 함량과 용매 조건에 따른 전분 분자 구조 변화를 규명하였다. 분자량이 다른 여러 가지 덱스트란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동적광산란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전분에 적용해본 결과 아밀로즈 함량에 따른 전분 분자의 Dh 변화를 규명할 수 있었고 아밀로즈 함량이 높아질수록 전분 분자의 Dh 값이 증가하였다. 또한, 용매 조건에 따른 전분 분자의 Dh 변화를 동적광산란법으로 규명할 수 있었으며, NaCl의 경우 농도가 높아질수록 아밀로펙틴의 Dh가 증가했지만, 아밀로즈의 Dh는 urea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1-Butanol의 경우 전분 분자의 Dh를 증가시켰지만 주목할 만한 경향은 관찰하지 못하였다. 또한, 전분의 아밀로즈 함량과 전분 분자의 Dh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를 활용할 경우 전분의 아밀로즈 함량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o evaluate the effects of amylose content and dissolution media on the molecular structure of maize starch, changes in the hydrodynamic diameter of starch molecules were assessed via dynamic light scattering depending on amylose content and dissolution media. As the amylose content of starch increased, the hydrodynamic diameter of starch molecules proportionally decreased from 204 to 92 nm. To alter ionic strength, hydrogen bonding, or polarity of dissolution media, various contents of NaCl (1, 2, or 3 M), urea (1, 2, or 3 M), or 1-butanol (0.1, 0.5, or 1.0%) were added to media, respectively, resulting in increased hydrodynamic diameter of starch. However, the degree of expansion was dependent on amylose content and the concentration and/or type of additive. The hydrodynamic diameter of starch molecules exhibit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mylose content obtained by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regardless of dissolution conditions.

      • SCOPUSKCI등재

        전분 나노입자 첨가가 휘핑크림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신혜영(Hye-Young Shin),최희돈(Hee-Don Choi),홍정선(Jung Sun Hong),신경원(Kyeong Won Shin),김종예(Jong-Yea Kim)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를 통해 전분 나노입자의 첨가가 유제품 휘핑크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휘핑크림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분 나노입자 첨가는 유화 액적의 계면을 안정화 시킴으로써 휘핑크림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전분 나노입자 첨가에 의한 휘핑크림의 점도 역시 증가하였고 이로 인하여 휘핑크림의 저장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액적의 입도 크기 역시 증가하였다. 하지만 3% 이상 전분 나노입자를 첨가하였을 때 오버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1% 전분 나노입자를 휘핑크림에 첨가하였을 때 휘핑크림의 오버런에 주목할 만한 변화 없이 휘핑크림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the addition of starch nanoparticles prior to whipping could affe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full-fat dairy cream. Starch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dry heating under mildly acidic conditions and added to dairy cream as amount of 1, 3, and 5% (w/w). The whipped cream’s storage stability, viscosity, overrun, and droplet size were investigat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starch nanoparticle contents. The storage stability and apparent viscosity increased in parallel with the increasing starch nanoparticle content compared to the control. The mean size and homogeneity of the droplets in the whipped cream increased with higher starch nanoparticle addition levels. Even though the whipped cream overrun was reduced by the addition of starch nanoparticles, the 1% addition level exhibited a similar overrun value as the control.

      • Phenothiazines의 광독성에 대한 in vitro 실험법에 따른 Ascorbic acid의 영향

        김종예,현진,봉희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2002 藥學論文集 Vol.17 No.-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a well-known as antioxidant agent, on the phototoxicity caused by phenothiazines were studied using three in vitro methods - MTT assay, the Candida test, and the RBC photohemolysis. The tested phenothiazines include Chlorpromazine, Promethazine, Perphenazine, Chlorprothixene, Trifluoperazine, and Thioridazine and UVA 1.5 J/㎠ were irradiated. In results, ascorbic acid was effective to reduce the phototoxicities and to decrease the production of toxic photoproducts in every method used.

      • Phenothiazines의 광독성에 대한 in vitro 실험법의 비교 연구

        김종예,현진,봉희 한국환경독성학회 2000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15 No.1

        A few in vitro methods were developed to compare the result on the phototoxicity of phenothiazines. By the MTT assay, the Candida test, and the RBC photohemolysis, the phototoxicities of UVA and UVB irradiation were measured. This paper presents the comparisons of methods which are effective to measure the phototoxicities of the chemicals causing phototoxicity and photoallergy. The tested chemicals of phenothiazines include Chlorpromazine, Promethazine, Perphenazine, Chlorprothixene, Trifluoperazine, and Thioridazine. Each chemical represented variable results according to the test methods. MTT assay shows the most sensitive method.

      • UVB조사에 의한 Phenothiazine의 광독성에 미치는 Ascorbic Acid의 영향

        임연일,김종예,봉희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98 藥學論文集 Vol.14 No.-

        광독성 및 광알러지를 일으키는 물질인 phenothiazine계 약물중 chlorpromazine(CPZ), perphenazine(PPZ), trifluoperazine(TFZ), promethazine(PMZ)을 택하여 적혈구에서의 광용혈현상을 Kahn 등의 방법에 의해 UVB(UV irradiation RMX-3W, 1.5 J/㎠)을 조사하여 약물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CPZ, PPZ은 UVB 조사에 의해 약물농도에 따라 현저히 적혈구 용혈현상이 증가 되었으며 이는 ascorbic acid에 의해 유의성있게 감소되었고, 각 약물의 광독성 물질 생성 여부와 이에 의한 용혈독성을 조사해보니 CPZ, PMZ에서 관찰되었고 ascorbic acid에 의해 그 현상이 감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ototoxicity of four phenothiazine derivatives such as chlorpromazine, perphenazine, trifluorperazine and promethazin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on their phototoxicity by UVB irradiation. Effects of the test compounds on RBCs were monitored with a spectrophotometer by the method of Kahn et al. The extent of photohemolysis by tested phenothiazine derivatives were increased with their concentration and toxic photoproducts were formed by chlorpromazine and promethazine with preirradiated UVB. Photohemolysis postirradiated chlorpromazine and perphenazine and preirradiated promethazine were decreased with the use of ascorbic acid significa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