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유형과 관련요인 분석

        김정은,오영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activities for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whether relating factors predict class membership and their differential effectivenes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tudent satisfaction.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by Mplus 8.4 using the 4th(2020)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The subjects included 8,516 college students (4,465 male students (52.4%), 4,051 female students (47.6%)).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latent classes: ‘Engaged type (n=267, 5.9%)’, ‘basic-participation type (n=1,514, 33.3%)’, ‘Disengaged type (n=2,766, 60.8%)’ for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activities. As for the predictors of class classification,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GPA and group study time for maj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school type, type of colleges, major, and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Regarding the actu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tud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activities. Given the identified types, customized supporting programs and policies for each type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 차원의 진로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유형에 따라 잠재계층을 나누고, 분류된 각 집단유형(계층)별 특징과 예측요인 및 유형별 학생 개인 차원의 진로준비활동과 학교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KEEP)의 4차년도(2020) 데이터인 대학생 8,516명(남학생 4,465명(52.4%), 여학생 4,051명(47.6%))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 및 취업지원 활동 참여유형은 ‘참가형(N=267, 5.9%)’, ‘기본형(N=1,514, 33.3%)’, ‘저조형(N=2,766, 60.8%)’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공변인 투입 시 계층변화와 분류오류 문제를 보완한 3-STEP접근법을 적용한 결과 유형 분류 예측변인으로, 개인 특성에서는 학점과 조별 전공과제/공부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전공계열 관련 변인에서는 대학유형 중 2년제 전문대와 4년제 대학, 전공계열에서는 사회계열과 공학계열, 의·보건계열, 예체능계열의 전공이 영향을 나타냈고, 진로/직업탐색 과목 수강의 경우 거의 모든 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분류된 집단별로 학생 차원의 진로준비활동 여부와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준비활동 하위 영역 중 직업훈련, 자격증 취득, 방문부탁, 면접훈련, 외모관리 경험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만족도의 경우 학과 만족도와 학교생활 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진로 및 취업지원 활동 참여 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선 및 정책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소중한 당신의 체중계_비만도 유전될까? 비만의 대물림을 멈춰라 - 조금만 먹어도 살찌는 이유 문제는 '비만 유전자'

        김정은,Kim, Jeong-Eun 한국건강관리협회 2013 건강소식 Vol.37 No.1

        실이 찌는 원인은 다양하다. 본인의 관리 여부와 환경적인 영향, 혹은 심리적인 영향 등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체중에 영향을 미친다. 특별히 살이 찔 이유가 없다고 생각되는데도, 체중조절이 어렵다면 먼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아토피성 피부질환 동물 모델 NC/Nga 생쥐에서 내재면역 T와 B 세포의 변형

        김정은,김효정,김태윤,박세호,홍석만 대한면역학회 2005 Immune Network Vol.5 No.3

        Background: Millions of people in the world are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AD), which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triggered by Th2 immune responses. The NC/Nga mouse is the most extensively studied animal model of AD. Like human AD, NC/Nga mice demonstrate increased levels of IgE, a hallmark of Th2 immune responses. Adaptive immunity cannot be generated without help of innate immunity. Especially natural killer T (NKT) cells and marginal zone B (MZB) cells have been kn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linking innate immunity to adaptive immunity. Methods: Through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ELISA assay, we investigated whether these lymphocytes might be altered in number in NC/Nga mice. Results: Our data demonstrated that the number of NKT cells was reduced in NC/Nga mice and IFNγ production by NKT cells upon α-GalCer stimulation decreased to the levels of CD1d KO mice lacking in NKT cells. However, reduction of NKT cells in NC/Nga mice was not due to CD1d expression, which was normal in the thymus. Interesting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CD1dhighB220 cells in the spleen of NC/Nga mice. Further, we confirmed that CD1dhighB220 cells are B cells, not dendritic cells. These CD1dhighB220 B cells show IgMhighCD21highCD23low, a characteristic phenotype of MZB cells. Conclusion: We provide the evidence that there are decreased activities of NKT cells and increased number of MZB cells in the NC/Nga mice. Our findings may thus explain why NC/Nga mice are susceptible to AD.

      • KCI등재

        팔로 4징의 완전 교정술 후 장기 추적 관찰상 나타나는 대동맥근의 확장과 대동맥판 폐쇄부전

        김정은,허경,권해식,유병원,최재영,설준희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10

        Purpose : Aortic valve or aortic root (AoRo) replacement is occasionally required because of AoRo dilatation and aortic regurgitation (AR) in repaired tetralogy of Fallot (TOF). We evaluated AoRo size and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its hemodynamic nature in patients with repaired TOF. Methods : We investigated 130 repaired TOF patients more than 15 years of age who followed-up by echocardiography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3. Of 130 patients, we identified 17 patients with AoRo dilatation, which was defined as ratio of expected AoRo size by standard nomogram (AoRo ratio) >1.5 (dilator group), and 113 TOF controls, with AoRo ratio <1.5 (non-dilator group). Results : Mean indexed AoRo size (mm/m2) in the first echo was 24±3.2 in the dilator group and 18±3.4 in the non-dilator group (P<0.0001). AoRo rate of change (mm/year) from the first to latest echo study was 1.6±3.8 in dilator group and 0.05±1.6 in the non dilator group (P=0.0021). Patients from the dilator group showed a higher prevalence of pulmonary atresia (P=0.031) and a history of aortopulmonary shunt before repair (P=0.048), moderate to severe AR (P=0.0065), and increased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mensions (P=0.003). Conclusions : A subset of patients late after TOF repair may show progressive dilatation of AoRo. To identify and prevent long-term sequelae in this patient group, regular follow-up and speculation about AoRo after TOF repair is recommended. 목 적 : 팔로 4징 교정술 후 만기 추적 관찰 중인 청소년 및 성인환자에서 대동맥근 확장정도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장기 추적 관찰 상 발생하는 대동맥근 확장과 대동맥판 폐쇄 부전의 관련 요인 및 환자군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원에서 활로 4징의 완전 교정술을 받은 후 장기 추적 관찰중인 15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 총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대동맥근 직경의 측정치와 기대치의 비가 1.5이상인 대동맥근 확장군(n=17)과 비확장군(n=113)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특성과 교정술 시행 후 얻을 수 있는 첫 심초음파 검사 소견과 최근 추적관찰상의 대동맥근 직경 및 변화율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 활로 4징의 완전 교정술을 받은 총 130명의 환자들 중 대동맥근 확장군은 17명(13%), 대동맥근 비확장군은 113명이었다. 동반된 폐동맥판 폐쇄의 빈도와 체폐 단락술의 백분율은 대동맥근 확장군에서 더 높았으나 교정술시의 연령, 추적관찰기간, 고식술과 교정술사이의 시간간격, 우측 대동맥궁의 빈도는 두 군 간의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진단 당시와 최근의 대동맥근 직경 지수와 대동맥근 직경의 측정치/기대치 비는 모두 대동맥근 확장군에서 높았다. 또한 대동맥근 확장군에서 대동맥근 직경과 대동맥근 직경 지수의 변화율이 높았고 중등도 이상의 대동맥판 폐쇄부전이 더 많았으며 좌심실 확장기말 용적도 더 컸다. 결 론 : 팔로 4징의 교정술 후 장기 추적 관찰에 있어 일부 환자에서는 진행적인 대동맥 확장과 대동맥판 폐쇄 부전이 나타날 수 있어, 과거에 교정술을 시행받고 장기 추적 관찰 중인 성인 환자에서 더욱 중요하게 검토해야 할 요인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산후 약선식 개발을 위한 조선시대 관련의서 고찰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동의보감(東醫寶鑑)」, 「방약합편(方藥合編)」을 중심(中心)으로 -

        김정은,김병숙,안지영,김윤경,Kim, Jung-Eun,Kim, Byung-Sook,Ahn, Ji-Young,Kim, Yun-Kyung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3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1 No.2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raditional diet therapies for the period of postpartum recovery and lactation and to develop modern postpartum recovery foods.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for postpartum care focused on treating postpartum obesity, edema, agalactia was studied.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documents recorded in the medical classics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 成方)", "Donguibogam(東醫寶鑑)" and "Bangyakhappyeon(方藥合編)" published in 1433, 1613 and 1885 respectively in the Joseon Dynasty. Results : First, Radix Angelicae Sinensis was most frequently used to treat the postpartum obesity, and a lot of nourishing herbs including Radix Paeoniae Alba, Radix Astragali, Radix Ginseng, Rhizoma Chuanxiong were also used. Second, Radix Glycyrrhizae, Rhizoma Atractylodis Macrocephalase, Pericarpium Citri Reticulatae, Rhizoma Zingiberis Recens were used to treat the postpartum edema. Third, Radix Rhapontici, Medulla Tetrapanacis, Fructus Trichosanthis etc. were used to treat the postpartum agalactia. Conclusions : Consequently, we hope this study on the prescriptions and herbs for gynecology in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Donguibogam(東醫寶鑑)" and "Bangyakhappyeon(方藥合編)" will provide knowledge for diet therapy model development of postpartum care of the modern times.

      • KCI등재후보
      • 레이저를 이용한 설소대절단술

        김정은,김명원,백승훈,박종태,이종환,장백암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6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2 No.1

        Tongue tie is the congenital anomaly which is manifested by an abnormally short and thick lingual frenulum so that a condition outside of the range of normal anatomic or functional capability. In general, the surgical correction is the treatment of choice: release of tongue tie and closure. We compared the traditional frenotomy with laser frenotomy using Nd:YAG laser to treat 67 cases of tongue tie during a period of JAN. 1993 through Feb. 1996. The advantages of laser frenotomy were decreased blood loss and operation time. So we had a conclusion as the adequate use of laser frenotomy with suture was a good surgical procedure for correction of tongue t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