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국어과 학습 어휘의 선정 기준에 대한 연구-중학교 국어 ‘돋움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정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of vocabulary f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thus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teaching Korean to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as akin to the transition to from L1 to L2. In particular, this study identifies "Learning vocabulary" for the teaching of Korean as L1 to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Learning vocabulary" contains the contexts of Korean language classes, and this study categorizes the it as "subject-learning vocabulary", "academic vocabulary" and "basic vocabulary". Considering that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need a certain kind of scaffolding vocabulary, this study establishes "scaffolding vocabulary for subject-learning" within "subject learning vocabulary".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vocabulary i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investigates the standard selection of learning vocabulary according to: (1) the students' level, (2) removal of identical terms in South and North Korean grammar, (3) the textbook as a support in regular classes. 본 연구는 학습 어휘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청소년을 대상으로 국어 문법 학습 어휘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그 사례를 보임으로써 교과서의 기술 양상 및 어휘 교육 내용을 개선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학습 어휘 교육이 한국어 교육과 국어 교육의 성격을 모두 지니고 있기에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에 필요한 어휘 교육뿐 아니라 학습 목적 어휘 교육도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선행 연구의 검토를 바탕으로 '학습 어휘'는 학교 수업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모든 어휘로 정의하고, 이를 '교과 내용 어휘'와 '사고 도구어', '일상 어휘'로 분류하였다. 또한 '교과 내용 어휘' 범주 내에 교과 내용의 핵심이 되는 어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또 다른 층위의 어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교과 내용 어휘'는 '교과 핵심 어휘'와 '교과 적응 어휘'로 세분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중학교 국어 '돋움 교과서'의 문법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학습 어휘를 선정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어휘 목록을 추출하였다. 학습 어휘 선정의 기준은 1) 북한이탈청소년 학습자의 국어 문식성, 2) 남북한 문법 학술 어휘 중 차이를 보이는 용어, 3) 보충 교재로서 ‘돋움 교과서’의 위상으로 설정하여 학습 어휘의 목록을 추출하였다.
김정은 한국응용언어학회 2024 응용 언어학 Vol.40 No.1
Recognizing the emerging research trend that centers on the dynamic interaction among learners’ emotions and L2 learning, this study explores the intricat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positive (enjoyment) and negative (anxiety and boredom) emotions and their impact on L2 oral proficiency. The research involved 40 colleg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tudent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levels of enjoyment, anxiety, and boredom in L2 learning. The participants' oral proficiency was evaluated using Speechace, an AI-based platform employ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for automatic assessment of spoken language.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2 learning enjoyment (FLE) and boredom (FLB), with boredom emerging as an important predictor for L2 oral proficienc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validated through path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complex interplay of emotions in L2 learning and their influence on oral proficiency, contribut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of language acquisition.
군 초급간부의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김정은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군사회복지학 Vol.9 No.1
본 연구는 초급간부의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방부의 승인을 거친 직업군인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연구의 설문을 토대로 2015년 6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총 221명에 대해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직무만족이 임파워먼트에 대해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초급간부의 직무만족이 높아질수록 임파워먼트가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임파워먼트가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초급간부의 임파워먼트가 높아질수록 조직시민행동은 증진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초급간부의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인인 임파워먼트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급간부의 직무만족, 임파워먼트 및 조직시민행동 증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low-ranking military leaders and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between them.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devised a questionnaire based on researches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ofessional soldiers after permission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distributed it to low-ranking military leaders from June 20 to August 30, 2015, and analyzed total 221 questionnaires with SPSS 21.0 and AMOS 21.0. The analysis methods employed in the study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empowerment among low-ranking military leaders,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was, the more empowerment they had. Secondly, empowerment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them, which is interpreted in the way that the higher their empowerment was, the mor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y engaged in. Finally, the study tested the research model and found that their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at empowerment, a mediating variabl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offered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low-ranking military leaders.
교과서 학습 텍스트의 양태 표현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정은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4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grammar and modality expressions in order to provide systematic modality expressions educ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 by critically examining the patterns of use of modality expressions on rhetorical writing, expository text and text types of proposal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Methods:Based on the list of typographical patterns of modality expressions in the three types of text grammar in Korean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analysis of prior studies. Results: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atterns of the patterns used were related to the text grammar and the modality expressions. And there was a form expression used strategically in a particular text grammar. Conclusion:An in-depth review of modality expressions used in textbook and the need for modality expressions education was confirmed, taking into account the relevance of the text grammar and modality expressions. 목적:이 글은 초, 중, 고등학교 교과서의 텍스트 갈래 중 주장하는 글, 설명하는 글, 제안하는 글의 양태 표현 사용 양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체계적인 양태 표현 교육을 하기 위하여 텍스트 갈래와 양태 표현의 관련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유형화한 양태 표현 목록을 바탕으로 초, 중,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세 유형의 학습 텍스트에 사용된 양태 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분석 결과 텍스트 갈래 특징과 양태 표현에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텍스트 갈래 특징과 전략적으로 사용되는 양태 표현의 관련성을 통해 양태 표현이 원활한 의사소통의 단서로서 활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이 글을 통해 교과서 학습 텍스트에 사용된 양태 표현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와 텍스트 갈래 특징과 양태 표현의 관련성을 고려한 양태 표현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미국 연방대법원과 소수 권익의 보호 : 반동성애법에 대한 입장 변화를 중심으로
김정은,문용일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2 Ewha Law Review Vol.2 No.1
Many scholars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 causal link between public preferences and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Nonetheless, surprisingly few considerations have given to the influence of public preferences on the Court’s rulings in context of legal change. I argue that substantial changes in public opinion supporting minority rights do affect the Court’s decision to overrule its precedents and step up to protect minority interests. The U.S. Supreme Court has a dilemma in that the institution of justices, who are not democratically elected by people, needs to protect democracy from ‘the tyranny of the majorities.’ More ironic is that the legitimacy of the institution is upon people’s trust upon the Court. Thus, it is not easy for the Court to be completely free from what people value and what the society supports. In addition, the Court has no direct, compulsory mechanism to urge further actions to the legislature which can ‘negatively’ response with inactions to the Court’s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Therefore, the Court needs sufficient socio-political supports to make critical decisions for protecting minority interests. Analysis on the Court’s overruling decisions on states’ anti-sodomy laws in Lawrence and Garner v. Texas (2003) reveals that 1) decisions by ideologically moderate Justices have shifted from support for anti-sodomy laws to unconstitutional are crucial for the ruling; 2) policy position change by Justice O’Connor - who participated in both Bowers v. Hardwick (1986) and Lawrence and Garner v. Texas (2003) - is critical for the overruling decision. These findings imply the substantial influence of public opinion and socio-political supports on the Supreme Court’s decision-making. 사법부는 어떠한 상황에서 다수의 폭정으로부터 민주주의를 보호하고 소수 권익을 보호하는가? 사법부의 반다수주의적인 특성과 역할에 대해서는 특히 미국 연방대법원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연방대법원의 반다수주의적 역할은 연방대법원의 판결이 단순히 여론 다수의 의견에 부합하느냐는 문제가 아니라 연방대법원이 사회적 소수 집단을 보호하는 정책의 입안과 촉진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였느냐의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방대법원은 법원의 이념적 선호와 더불어 소수권익에 대한 사회정치적 지지가 형성되었을 때, 소수 권익 보호의 실현을 의한 결정을 내린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1986년 Bowers v. Hardwick 판결에서 주정부들의 동성애 금지법을 합헌이라고 판시했던 기존의 입장을 2003년 Lawrence and Garner v. Texas 판결에서 번복했던 미국 연방 대법원 사례는 두 가지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 중도적 재판관들의 의견이 동성애 금지법에 대한 지지에서 위헌 판결로 선회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두 판결에 모두 참여했던 O’Connor 판사가 자신의 의견을 번복하면서 동성애 금지법이 위헌이라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은 동성애 금지법에 대한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의 변화에 있어서 재판소 자체의 이념적 구성의 변화보다는 동성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여론의 변화, 그리고 정치제도적 변화가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이양원,김정은 群山大學校 1996 論文集 Vol.23 No.-
Content-based image management database system is an image data retrieval system using characteristic values of image those are generated by system automatically. In this paper, we propose image data retrieval method using physical features of frontal image data as characteristic values. Color image of frontal face is applied in experimental domain. An image is composed of objects. Therefore, Used physical information is statement that express mans opinions generally as face is round or face is long.. Also, we proposed image retrieval method browsing by input image or text data.
생기적 유물론으로 본 사이버 공간에서의 ‘무용’, ‘체화성’, ‘신체화’에 대한 철학적 논고
김정은 영남춤학회 2021 영남춤학회지 Vol.9 No.1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meanings of 'embodiment' and 'somatization' in cyber space, based on vital materialism and post-human theory. The issue of such a subject lies in newly scheming the meaning of experiences by extending the 'movement education' in dance to machines/media, not limiting it to the body, an organism. Then, main questions were discussed: First, a structural change in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body in cyber space was discussed. Second, how the materialized body can keep the 'somatized' meaning in non-materialized cyber space. Third, both the educational meaning of 'embodied body' and the ethical aspect of virtual experiences were examined. Such a discussion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scheming a new background of the network between bodies and machines in cyber space, and has an academic implication, in that it attempted to suggest the extensive meanings of 'embodiment' and 'somatization', to be created in cyber space. 본 연구는 생기적 유물론과 포스트휴먼 이론에 근거하여 사이버 공간 내에서 ‘체화성’과 ‘신체화’에 대한 의미를 고찰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논제의 쟁점은 무용에서의 ‘움직임 교육’을 유기체인 신체에 한정하지 않고 기계/매체로 확장해 경험의 의미를 새롭게 구상해보는데 있다. 다음의 주요문제들이 논의로 진행되었다. 첫째, 사이버공간에서 신체의 지리적 위치에 대한 구조적 변화가 논의되었다. 둘째, 물질화된 신체가 비물질화된 사이버공간 속에서 어떻게 ‘신체화’된 의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가를 다루었다. 셋째, 무용에서 ‘체현된 신체’가 가지는 교육적 의미와 가상적 경험이 가지는 윤리적 측면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는 사이버공간에서 신체-기계간의 네트워크 방식에 대한 새로운 이면을 구상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며 사이버공간에서 창조될 ‘체화성’, ‘신체화’에 대해 확장된 의미를 제시해 보았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중심으로
김정은,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1
정보기술의 발전과 소비자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상품의 구입 목적이 아닌 경우도 제품을 체험하고, 비교하며 구매로 이어지는 쇼핑의 다양성이 생겨났다. 따라서 최근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실내디자인은 일반적 상업공간의 연출에서 나아가 브랜드의 정체성을 공간에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감성적 요소들의 적용이 요구된다. 브랜드의 문화를 표현하며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데 필수적인 플래그쉽 스토어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요소로서 일반적인 매장과 차별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즉,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소비 공간을 넘어서 체험공간, 문화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회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를 배려하는 문화적 가치를 지니는 열린 공간-공공 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체험·문화 마케팅을 적용한 플래그쉽 스토어는 단순히 제품 판매만이 목적이 아닌 문화 소비의 감각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a higher income level for consumers led to increased diversity in shopping, whereby purchasing a product was no longer its sole purpose. Consumers began to make purchases for experiential and comparative purposes as well. The interior design of fashion flagship stores lately requires diverse emotional elements to implement brand identity in the space in addition to the common presentation of commercial space. Essential to expressing a brand culture and establishing a brand identity, flagship stores serve as one of the strategic elements of brand communication and have characteristics differentiated from general stores. That is, they today provide various programs, contain a space of experience and culture that goes beyond mere consumption, and have changed to open public spaces laced with cultural values considering customers in the social aspects. When experiential and cultural marketing is applied, flagship stores can offer sensory experiences of cultural consumption in addition to simple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