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대건 신부의 성사 사목활동과 행정 사목활동

        김정숙(Kim, Jeong-Sook) 한국교회사연구소 2021 敎會史硏究 Vol.- No.59

        김대건 신부는 1845년 8월 17일 사제 서품을 받았고, 1846년 9월 16일 새남터에서 참수치명했다. 사제로서 생활한 기간이 13개월이다. 본고는 이 13개월간 김대건 신부가 행한 일에 대한 검토이다. 여기서는 김대건 신부의 사목활동의 범위를 확정하고 그 활동의 세세한 면면을 찾았다. 자료로는 기존의 문헌 사료는 물론, 지역답사를 겸하며 관련 지역의 전승까지 활용했다. 시작에 앞서 김대건 신부의 사목활동의 개념과 방향을 전환할 필요를 제시했다. 그리고 그의 체력과 외모, 성사 사목 태도, 사는 모습 등을 살폈다. 이어 시복 재판에 나온 증언을 토대로 김대건 신부의 성사 사목활동을 정리했다. 김 신부는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성사 사목활동을 했는데, 그 빈도는 반반이었다. 성사에 참여한 사람들은 상호 간 인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교회 내 신앙적 위치도 깊은 이들이었다. 이와 더불어 재판 증언은 김 신부의 성사 활동을 포괄적으로 밝히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남경문 등 증언자로 나오지 않았으면서 김 신부로부터 성사를 본 사람들, 또 신부의 옥중에서의 성사 사목 등을 짚고, 당시 교회 상황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김대건 신부의 특수 사목으로 신자들 조직 방법과 그 운영 방식을 밝히고, 김 신부의 인적 자원을 확인했다. 연평도 항해에 나갔던 사람들, 신부댁에서 봉사하던 여성 등 김 신부와 함께 일한 이들도 역시 상호 인적 관계가 긴밀하고, 신앙생활도 활발한 이들이었다. 김 신부는 이들 인력을 배치하여 교회를 점조직으로 운영해 갔다. 한편, 김대건 신부는 전교자금을 운영했는데, 포목과 은괴 등을 통한 물품으로 국내외 차익을 통해 자금을 늘리고자 했다. 신자들에게 돈을 대주어 배를 사서 장사하도록 하면서 바닷길을 개척·운영했다. 또한 김 신부는 부제 때부터 해오던 신학생 교육도 재개하여 이어갔다. 그는 이러한 교회 업무를 처리하면서, 조선교회 부주교의 역할까지도 감당했다. 김대건 신부는 기해박해 이후 폐허화된 교회를 재건했고, 두 선교사가 조선에 정착 활동할 기반을 다져 놓았다. 메스트르 신부와 최양업 신부는 각기 다른 길로 입국했지만, 그가 개척한 해양로는 이후 조선교회와 세계교회의 연결로가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김 신부는 조선 조정에 새 문화에 대한 충격을 가져다주었다. 무엇보다도 그는 조선인이 신부가 되는 길을 보여주었고, 한국인에게 꿈을 열어 주었다. Father Kim Dae-geon was ordained priest on August 17, 1845, and was beheaded at Saenamteo on September 16, 1846. At the time of his martyrdom he has completed 13 months since his priestly ordination. This article is a review of what Father Kim Dae-geon did during these 13 months. For my research, I used not only existing historical documents, but also information of local traditions of found during my field surveys on the geographic areas where father did his Pastoral work. As a starting point it seemed important to me to present the need of changing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Father Kim’s pastoral activity. It also seemed important to me to highlight the strength of his physical appearance, his own personal way of conceiving and living the sacraments. Then, based on the testimony from his process of beatification, I summarized Father Kim Dae-geon’s sacramental ministry. By this data, Father Kim carried out his sacramental pastoral activities betwee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regional frequency was half and a hal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for the reception of the sacraments had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they also had a deep religious position in the life of the local Church. In addition, I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witnesses during the process of beatification; those testimonies remain short and do not comprehensively reveal the fullness of Father Kim’s sacramental ministry. To support this, I analyzed the situation in the church at the time by pointing to people who did not appear as witnesses, such as Nam Kyung-moon, and the work of pastoral ministry carried out in the prisons where the sacramental life was preached and prepared. Next, I try to explain the originality of the pastoral work of father Kim Dae-geon specially the way he organized and interacted with the believers and prepared them as a resource for his work of evangelization. Those who worked with Father Kim, such as those who went on a voyage to Yeonpyeong Island for finding the entrance for the missionaries and the women who served at the presbytery, also had close personal relationships and were active in their religious life. Father Kim organized these belivers as a branch organization to run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Father Kim Dae-geon ran the funds of the mission, and he wanted to increase the funds through import profits with goods such as cloth and silver ingots. He opened and operated the sea route by lending money to believers to buy ships and trade. In addition, Father Kim continued to educate seminaries, which he had been doing since the time of his deacon. While handling these church affairs, he was even considered as the vice-bishop of the Joseon Church. Father Kim Dae-geon rebuilt the church that was ruined after the Gihae persecutio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two missionaries to settle down in Joseon. The sea route that Father Kim Dae-geon pioneered became a connection way between the Korean church and the world church, except Father Maistre and Father Yang-eop Choi entered Korea by different routes. Not only that, but Father Kim brought the shock of the new culture to the Joseon court. Above all, he showed the way for Koreans to become priests and opened up dreams for Koreans.

      • KCI등재

        풍경과 감정 : 역사를 상상하는 두 개의 다른 시선

        김정숙(Kim Jeong-sook) 한국비평문학회 2008 批評文學 Vol.- No.30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icate the historical imagination of male/female writers and the narrative truth, focusing on Leesim(『리심』) written by Kim Takwan as a male novelist and Leejin(『리진』) written by Shin Kyong-sook as a female novelist. The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y all describe the sarre character in each of their novels. In chapter 2, the author outlines the narrative processing, the commonn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xts. In chapter 3, the author studies two-view points which imagine the historical character. In chapter 4, the author looks into the historical cognition of male/female writers. In this respect, the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Leesim and Leejin are the record of her travel life commonly. They represent the woman who had been to France at first in the early 20th century. She was the dancer of the Royal Court and experienced the ambivalence between western civilization and imperialism in France. However ‘scenery’(educated discovery) remains in Leesim and ‘emotion’(tragic sympathy) remains in Leejin. Second, the forward of part of each text is mostly parallel process, but the latter part of the story rends apart. That is, Leesim moves on the man-narrative while Leejin advances the mother-narrative. Such reason has sapped woman-narrative. Third, the purpose of the two novels is all the searching for existence. But Kim’s writing pursues the reconstruction of ‘fact’ itself while Shin’s writing concentrates on the historical ‘truth’ in terms of the minority. In conclusion, The objective distance of Leesim and the psychological identification of Leejin are the two way of imagination about the history. Leesim and Leejin which include premodern/modern, imperialism/colonialism and the native language/the translate language, show the valuable point of the faction combining fact with fiction.

      • KCI등재

        산사 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김정숙,정세훈,Kim, Jeong-Sook,Jeong, Se-Hoon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7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7 No.1

        The effect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powder(CP) on dough characteristics and bread quality were evaluated. Breads were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0, 3, 6 and 9% CP to the basic formulation. The pH of dough added with CP ranged from 5.26 to 5.34, while control dough had a pH of 5.80. The loaf volume index of bread prepared with $3{\sim}9%$ CP decreased by $5.4{\sim}16.9%$ Hardnes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CP, but th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3 and 6% CP and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9% CP. Color L value of the bread crust and crumb decreased with CP and color a and b values of the bread crumb increased with CP. The sensory quality of bread with 6 or 9% Crataegus pinnatifida bunge powder, as estimated by shape, flavor and overall quality, was worse than that of control bread, while bread with 3% Crataegus pinnatifida bungs powder had the best quality.

      • KCI등재
      • KCI등재

        피숑(L. Pichon)의 조선 천주교회사 연구

        김정숙(Kim, Jeong-Sook)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敎會史硏究 Vol.0 No.43

        피숑(Leon Pichon, 宋世興, 1893~1945)은 조선 교회사를 중요한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하기 시작한 선구자이며, 그 결과물을 잡지를 통해 일반인과 소통한 저술가였다. 그는 각종 교회 100주년 기념행사에 맞추어 교회사를 완성해가는 동시에 연구하며 행동하는 선교사였다. 그리고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바를 진정으로 고민한 선교사 연구자였다. 본고는 피숑이 주목한 교회사 주제와 내용, 그의 연구 의도, 당대 사회와의 소통 관계를 중심으로 살폈다. 피숑의 연구 결과는 《가톨릭靑年》, Pro Corea-Documenta와 그의 연구노트에 남겨져 있다. 따라서 각 매체가 지닌 특징적 성격과 다룬 내용을 함께 묶어 설명했다. 피숑의 글은 연재글이었다. 장기간의 연재는 분명 교회와 신자의 공감을 얻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의 글은 당대 교회의 생각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브뤼기에르 주교의 공헌, 모방 신부의 활동과 교회상황, 정약용의 신앙생활과 교회 공헌 등에 대하여 연구했다. 또한 피숑은 Pro Corea-Documenta를 출간하여 조선 교회가 김대건 신부에 주목하고 그의 순교 정신을 현양하는 데 불을 붙여 놓았다. 피숑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조선 교회사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과 답사를 그치지 않았고, 최경환, 정약종과 이승훈의 묘 등을 찾아냈다. 이러한 피숑의 자료 수집 노력들은 오늘날 그의 ‘연구노트’에 담겨있다. 피숑의 연구노트는 4권인데 본고에서는 2, 3권만 분석했다. 이 부분은 주로 조선 교회사 전사(前史)에 대한 메모였다. 피숑은 교회의 역사를 종합적인 견지에서 서술했다. 즉 그는 교회사 서술에 있어서 정치적 영향 일변도의 설명을 거부하고 문화사적 입장까지도 고려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는 세계사적 시각에서 조선 교회를 설명하고자 했다. 이와 아울러 그는 한국 교회의 역사 안에 숨어 있던 희망과 위로를 찾아내려 노력했다. 피숑이 인용했던 사료와 수집한 자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eon Pichon(1893~1945) was a pioneer who started to categorize the histor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to main subjects for research and a writer who communicated with readers by sharing his works through magazines. He perfected the centenary of various Catholic Events while studying and practicing his faith. He was a missionary researcher truly seeking the direction of church movement. This writing explored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the he treated. Pichon’s research results are preserved in magazine Catholic Youth, the book Pro Corea-Documenta and ‘Research Notes’. Therefore, I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points found in each media all together. The process of Pichon’s study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series of publications. The long-time series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bond formed with the church and believers, so his writings reflect the ideas of the church at that time. Pichon highlighted the contribution of Bishop Bruguiere, activities of Fr. Maubant and religious life of Jeong Yak-yong. And he initiated a movement in Joseon society to reappraise Kim Dae-geon and acknowledge his spirit of martyrdom on a full scale by publishing Pro Corea-Documenta He also ceaselessly collected materials and visited historical sites and he discovered grave sites of Choi Gyung-whan, Jeong Yak-yong and Lee Seung-hoon. etc. All such efforts can be viewed in his ‘Research Notes’ today. The research notes are in four volumes. But I only deal with volumes 2 and 3 which almost consists of memos on the Pre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Pichon narrated the church history from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He rejected the predominant political explanation of the church history and took the account of cultural views as well. He also explained the Catholic Church of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history. He was dedicated to finding hope and consolation hidden in the Catholic Church history of Korea. His direction of research is maintained till this day. Historical resources cited by Pichon and his collection of materials should be closely examined on a continuous basis.

      • KCI등재

        일반논문 : 갈등과 화해를 통한 성숙의 서사 -김연수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정숙 ( Jeong Sook Kim ),최수이 ( Su Y Cho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0

        본 연구는 김연수의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꾿빠이, 이상』,『밤은 노래한다』를 중심으로 갈등과 화해의 변주를 통해 성숙에 이르는 과정을 살피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구체적으로 주체의 변화, 실천성, 그리고 갈등과 화해의 과정이 인간의 성숙을 가져온다는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주체의 변화가 사회적 주체에서 개인적 주체로, 그리고 이 둘을아우르는 소수자로 정반합의 모양을 그리고 있는 점, 둘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실천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갈등과 화해의 과정이 항상변화하는 각 주체의 성숙을 가져온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주체의 변화나 ‘몸’의등장으로 실천성이 강조되고, 초기작품에서 두드러졌던 가면과 진위논란에 대한 문제인식이 뒤로 갈수록 개인의 의지와 믿음의 영역이 강화된다는 점에서 성숙해 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작가가 성숙했다는 것에 대한 증거이기도 하다. 김연수가 현재 활동하고 있는 작가라는 것과 변화가능성의 측면에서 다소 우려되는 부분이 있지만, 이미 출간된 작품의 수가 많고 필력이 길며, 일정 수준 이상의 미학적성취를 이루었기에 학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이것은 갈등과 화해의 서사를 다뤄온 작가 김연수를 학술적인 장으로 소환하는 첫 시도이기도 하다. This research is aiming on the process of growing by novelist Kim, Yeonsoo, through variations of conflict and reconciliation shown in his major works, such as Walking pointing the mask(『가면을 가리키며 걷기』), Good bye, Lee, Sang(『꾿빠이, 이상』), Night song(『밤은 노래한다』). These aspects are shown as the change of subjects, the practice and the process of conflict and reconciliation are bringing the growth of a person. To be more specific, first the change of subject is expressed through the subject is switched from social subject to individual subject, in form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Second, as time passes the importance of practice is emphasized more. Last, the process of conflict and reconciliation is always come with maturity of each subjects which are always changing. Maturity of his work itself is confirmed by the change of subjec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actice with appearance of ``body`` and recognizing problems about masks and authenticity which are prominent feature of his early works. Considering his state as living novelist and his possibilities make a slight worries. However, he is suited for academic approach since he has published a handful of works and made a solid achievement in aesthetic values. Also this research is focused on how the narration of conflict and reconciliation is changing through one novelist, as well as being the first endeavor to bring novelist Kim, Yeonsoo to the academic place.

      • KCI등재

        근대어문의 자각과 문학담론의 변화 연구 - 1920년대 초반, 김동인의 글을 중심으로

        김정숙(Jeong-sook Kim) 어문연구학회 2006 어문연구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icate the consciousness of modern language-literature and the variation of literary discourse, focusing on Kim Dong-in"s early short-stories and other writings. Especially we pay attention to focus on the relation language-literature with the formation of modern fictions. It also has a value to the aspect about cultural history.   The literature of early modern was connected with strenuous effort of ‘style.’ Literature of enlightenment and art for art"s sake in "1910-20s were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modern language-literature. At the same time both were commonly premised on the cognition of subject as modern human beings. Such aspect does the desire of ‘art’ and writing of fictions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intensively.   He hoped to establish the autonomous ‘the aesthetic sense" by crossing the inner description and the confession of love with the daydream(fantasy) in narrative. How to write fictions like the past tense, the confession of the first-person, the framed-plot, the personal pronoun of ‘He’ brought about the derivation of customary in fictions. As a result, the evolution of fictional form was detonated] by the privacy and the transcendental sphere in literary discourse. Of course it presented that the view of art in Dong-in intended to ‘depoliticization." In conclusion, Kim Dong-in desired to achieve unific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furthermore pursue the new modern literature in his works.

      • 베긴 여성 신비가, 마그리트 포레테의 부정 신학적 하나님 형상의 신학

        김정숙(Jeong-Sook Kim)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신학과세계 Vol.- No.91

        이 논문은 이단으로 지목되어 화형에 처해진 베긴 여성 신비가 마그리트 포레테의 재판과 죽음 그리고 그의 저서 『단순한 영혼의 거울』에 대해 소개하고 그의 신비사상, 신학적 의의를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그러나 이 논문은 신비가로서 마그리트 포레테의 신비사상과 부정신학자로서의 신학사상에 대한 단순한 연구를 넘어 그의 신비사상과 부정신학자로서 그의 신학의 정통성을 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포레테를 이단으로 정죄하고 화형에 처한 종교 재판의 과정과 그 이면의 정치적 배경을 살펴봄으로 포레테가 당시 황제와 교황의 권력싸움에 의한 희생양이었다는 사실도 밝힌다. 또한 종교재판에서 포레테를 자유영의형제단(Brethren of Free Spirit)이라는 이단과 연관시켜 도덕률 폐기론자, 반교회주의자, 범신론자라고 낙인찍은 근거로 지목한 포레테의 책 『단순한 영혼의 거울』을 분석하고 내용의 핵심을 설명하고 있다. 포레테가 사용한 중요한 부정신학적 용어자기 영혼의 ‘소멸’, ‘신화’를 분석하고, 그의 ‘유동적인 액체 이미지’를 분석함으로 당시 종교재판관의 이단 정죄가 불의하고 부당하며, 그의 신학의 정통성을 주장한다. 베긴 여성 신비가 마그리트 포레테는 서양 최초의 부정신학자로서 독특한 베긴의 영성과 부정신학적 방법을 통해 부정신학적 인간론, 하나님 형상의 신학을 구성한 독창적인 신학자임을 주장한다. This paper intents to introduce a beguine woman mystic, Marguerite Porete who was burned at the stake for heresy, focusing on the inquisition and execution as a heretic woman as well as her mystical thoughts and theological significance. More than simple introducing and studying of her’s yet this paper has a purpose to defend the orthodox mystical theology of Marguerite Porete who developed a negative theology. For the purpose it explores the other side of the inquisition as well as the execution of Porete, and demonstrates that she became the sacrificial scapegoat for a political tension between the France Emperor and the Pope at the time of Porete. Further this paper analyses Porete’s book, the Simple Souls of Mirror in regard to the stigmas as a antinomianianlist, pantheist and anticlericalist which the inquisitionists of the trial falsely charged against Porete. In order to clarify the orthodox thoughts of Porete, this paper analyzes and explains the important theological notions such as “annihilation” and “deification” as well as the important theological allegories and images such as “fluid liquid” “a drop of water” with which Marguerite Porete developed negative theology. Accordingly this paper advocates Marguerite Porete is the first negative theologian in the Western Christianity, who develops an inventive apophatic theology for mystical theological anthropology by using apophatic images as well as languages.

      • 폭력의 젠더화와 은장도 윤리

        김정숙(Jeong-Sook Kim) 감리교신학대학교 2018 신학과세계 Vol.- No.94

        이 논문은 2년 전 강남역 근처에서 발생한 여성혐오살해사건이 기폭제가 되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여성저항 운동을 지지하고 정착시킬 수 있는 성윤리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곧 여성혐오와 여성차별, 성폭력적 문화와 제도에 반대하며, 더 나아가 성 평등적인 문화, 여성이 존중받는 사회, 남성과 여성이 상호배려하고 존중하는 사회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여성해방실천 운동은 이를 여성의 현실 가운데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성윤리가 요청되기 때문이다. 이에 성폭력과 성차별이 일상화된 현실의 이면에는 여성에 대한 뿌리 깊은 혐오와 증오가 있으며, 더 나아가 심층적 차원의 혐오가 폭력적인 젠더담론을 생산하고 젠더화된 폭력을 양산시킨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젠더화된 폭력이 일상을 지배하는 현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여성들의 삶을 지배하는 성윤리는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내려오는 전통적인 성차별적 윤리로서 강간신화를 내재화하는 ‘은장도 윤리’임을 증명하고자 했다. 이에 더 나아가 새로운 상호존중의 삶을 지향하는 여성실천운동을 전개하는데 있어 필요한 새로운 대안적 윤리로서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학 윤리, 곧 여성윤리이자 동시에 이단윤리(herethical ethics)를 제시하였다. 크리스테바의 여성윤리는 위계적인 이원론적 틀 속에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구조화함으로 여성 혐오적이고 차별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밖에 없었던 성차별적 전통윤리의 한계를 비판하고 극복하고자 한다. 따라서 크리스테바는 어머니와 태아의 관계를 모든 인간이 가지는 원초적 모형의 관계로 제시함으로 근본적으로 주체와 타자의 관계가 계층적 이원론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내재적인 관계, “주체가 된 타자” “타자가 된 주체”라고 하는 새로운 관계 모형을 설명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크리스테바가 제시하는 여성윤리, 곧 이단 윤리를 통해 혐오가 아닌 배려, 증오가 아닌 상호 사랑의 관계 윤리를 그동안 여성혐오에 뿌리를 둔 전통적인 성윤리 곧 은장도 윤리를 극복하고 넘어설 수 있는 대안적 윤리로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alternative gender ethics to bring out a new relationship of mutual support, care, and lov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at is, between men and women. The traditional gender ethics which has dominated the lives of Korean women from the Chosun Dynasty up to the present, has been the oppressive ethics of the silver dagger. This ethics of a silver dagger is deeply rooted in misogyny which justifies gender-based violence. Hate crimes have targeted many and unspecified women who have struggled to survive from gender-based violence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women. The traditional gender ethics, namely the ethics of the silver dagger, has built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onto the structure of a hierarchical dualism which inevitably leads to the oppressiv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over the other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lternative ethics to remedy the fatal structure of hierarchical dualism and to create new relationships of mutual support and respect between men and women. The alternative that this paper proposes derives from Julia Kristeva’s ethics of love. Kristeva’s ethics of love is based on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fetus. This is an ethics of subversion and may be called a heretical ethics because of its ability to dismantle the traditional sexist ethics of the silver dagger.

      • KCI등재

        대두 추출물 LES가 DNCB로 유도된 랫드의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Jeong Sook Kim(김정숙),Young Mi Park(박영미),Jin Boo Jeong(정진부),Jae Hwan Lim(임재환),Hyung Jin Jeong(정형진),Eul Won Seo(서을원)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대두 추출물인 LES가 DNCB에 의해 인위적으로 접촉피부염을 유발시킨 랫드의 피부 회복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알레르기 접촉피부염이 유발된 피부에 LES 17.6 ㎎/㎖를 3-5회 도포하여 피부 표면을 조직학적 분석하여 본 결과 각질이 제거된 깨끗하고 매끄러운 상태로 되었으며, 비후화된 표피층의 두께도 점차 정상군과 같은 두께로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LES는 체내 지질함량을 낮춰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키는 지질함량의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혈장 내 IgE의 수준도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시키고 있으며, LES에 의해 염증 반응과 관련된 iNOS와 COX-2의 활성도 감소되어 피부의 과민반응 해소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LES에 포함된 주 성분 중 하나인 lunasin은 세포 침투와 함께 핵 내로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전체 유전자 또는 일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LES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제제로서 응용이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whether Lunasin Enriched Soybean (LES) suppressed 1-chloro-2,4-dinitrochlorobenzene (DNCB) 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vivo. In the group treated with DNCB alone, erythema and hemorrhage in the skin were observed, while the application of LES after DNCB treatment modulated erythema and hemorrhage similar to the untreated group. In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the skin, DNCB-treated groups showed increased skin thicknes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s, while the treatment of LES dose-dependently modulated skin thickness. Also, hypertrophy and hyperkeratosis of the epidermis, intracellular edema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in the group treated with DNCB alone, while treatment of LES inhibited these inflammatory changes. DNCB also induced a significant up-regulat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a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s. However, the treatment of L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own-regulat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as compared to DNCB-treated groups. Also, LES reduced the IgE level in DNCB-stimulated groups. And lunasin from LES translocated the nucleus of the cells in the skin of Sprague-Dawley rats. Taken together, it is thought that LES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