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의 이야기 장치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를 중심으로-
김정미 ( Jeongmi Kim ) 인문사회 21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tting way of the five main characters and their names with colors in Haruki Murakami’s Colorless Tsukuru Tazaki and His Years of Pilgrim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 and color was found. Tsukuru seriously lacks the skill of making human relationships and his name has no color. Ao (blue) is a car dealer whose job requires trust and honesty, and he matches well with the image of the color blue. Aka (red) who has a bright brain and the ability of mind control is a character which matches best with color red which reminds us of instigation and brainwashing. Kuro (black), a potter, who manages his life well with strong willpower, is a character whose name shows hardness caused by the color black. Shiro (white) is a character who is so easily changeable that she is easy to lose her own color and to become one with other colors.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in Colorless Tsukuru Tazaki and His Years of Pilgrimage, Haruki gives each character different color as a name, mak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character harmony with the image of each different color. This novel has multi-level structure which we can’t find in his other previous novels. I hope my study will be referred to for others’ future studies to approach his novels not from story-based understanding but from contextual analysis.
김정미(Jeongmi Kim) 한국국악교육학회 2013 국악교육 Vol.36 No.36
북한의 해금 명수로 알려진 류대복의 해금 산조 선율을 분석하였다. 류대복의 해금 산조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진양조-느린중모리-중모리-엇모리-자진모리-휘모리’로 구성된 <해금산조>가 있고, 다른 하나는 ‘중모리-자진모리’로 구성된 <단산조>가 있다. 이 두 종류의 산조 중 본 연구에서는 <단산조>의 선율을 분석하여 보았다. <단산조>는 중모리와 자진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악장의 선율 구성과 종지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모리는 총25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조구성은 ‘A♭본청 경기시나위조’, ‘A♭본청 계면조’, ‘G♭드렁조’로 되어 있다. 선율은 종지 형태에 따라 8개의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8개 단락의 종지 형태를 보면 5개에 해당하는 단락의 종지 형태가 옥타브 ‘떠는청(e♭′)-엇청(d♭′)-떠는청(e♭′)-꺾는청(c♭′-b♭)-본청(a♭)-꺾는청(c♭′-b♭)-본청(a♭)-엇청(d♭′-c♭′)-떠는청(e♭)-본청(a♭)’으로 마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반수 공통된 마무리 단락의 종지 선율이 류대복 중모리의 단락을 구분 짓는 특징적 종지 선율이라고 할 수 있다. 자진모리는 총35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A♭본청 계면조’로만 되어 있다. 제14장단에서 제20장단은 같은 ‘A♭본청 계면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2옥타브+단6도’가 높은 음역이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중모리와는 다르게 박자가 바뀔 때 주로 옥타브 떠는청(e♭′) 즉, 소지(小指)를 치고 넘어 가는 장식음이 많이쓰인 것을 알 수 있다. 선율은 종지 형태에 따라 4개의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4개 단락의 종지 형태를 보면 3개에 해당하는 단락의 종지 형태가 ‘옥타브 떠는청(e♭′)-엇청(d♭′) 또는 꺾는청(c♭′-b♭)-옥타브 떠는 청(e♭′)-본청(a♭) 또는 꺾는 윗청(c♭′)-떠는청(e♭)-본청(a♭)’으로 마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과반수에 해당하는 공통된 단락 종지선율을 통해 이것이 류대복 자진모리의 단락을 구분 짓는 특징적 종지 선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리종성은 류대복의 해금곡으로 <해금산조>와 <단산조>가 있다고 하였고, 이 중 <단산조>에는 중모리와 자진모리가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마치 판소리에서 본 소리를 부르기 전 목을 풀기 위해 짧게 부르는 단가와 같은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단가와 같이 짧게 구성된 악장을 표현하기 위해 <단산조>라 붙여진 제목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비록 짧은 악장의 <단산조>이지만 중모리에서 비교적 적은 장단 수에 비해 3번의 운지 이동과 조바꿈이 있는 것과 자진모리에서 본청이 한 옥타브 위로 이동하여, ‘2옥타브 단6도’라는 넓은 음역을 활용하여 높은 음정으로 연주하는 것을 보면 리종성과 장영철이 말한 것과 같이 ‘해금 명수 류대복’, ‘다재 다능의 기악명수 류대복’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전승된 남한의 해금 산조에서는 쓰이지 않은 가장 넓고 높은 음역의 활용 형태이다. 남한의 해금산조와 비교해 보면 보다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정미(Jeongmi Kim),김상욱(Sang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그룹웨어의 세션 관리에 관한 연구로서, 그룹웨어의 세션 정의와 세션 관리 개념을 형식적으로 정립하고, 정립된 세션 관리 개념이 다양한 응용 분야의 그룹웨어에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세션관리 개념의 정립은 세션 관련 이벤트, 세션 관리 오퍼레이션, 세션 형을 정의하고, 이들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세션 형은 그룹웨어의 작업 방식 즉, 시간적 특성과 사회성 반영에 근거하여 실시간형(rt), 비실시간형(nrt), 개방형(opn), 폐쇄형(clsd), 예약형(rsrvd), 임의형(inst)으로 정의한다. 세션 형에 대한 분류는 현존하는 그룹웨어가 제공하는 다양한 작업 방식의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세션 관리는 정의한 세션 형에 적법한 세션 관리 오퍼레이션을 그 의미에 맞게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세션 관리 오퍼레이션은 세션 관리 대상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연구는 일괄적인 세션 관리 방법이 적용 불가능한 특정 응용 분야의 그룹웨어가 채택하여야 할 세션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작업 방식을 제공하는 통합 환경의 그룹웨어가 행하여야 할 세션관리 방법에 대한 윤곽을 제시한다.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미 ( Jeongmi Kim ),김광웅 ( Kwangwoong Kim )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impact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from mothers and fathers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have on peer competence of babies and to understand effect of interaction on peer competence by dividing into 2 groups. The study confirmed that as more and more fathers have participated into raising children in the modern society, fathers’ attitude in raising children is very important.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understanding to seek for parents’ desirable attitude in nurturing children and to develop peer competence.
멀티미디어 그룹웨어에서 작업 방식의 다양성에 근거한 세션 관리
김정미(Jeongmi Kim),김상욱(Sang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5 No.9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session management of multimedia groupwar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definition of session and the concept of session management formally, and to suggest that the established session management concept can be applicable to the groupware of various application domains. The establishment of session management concept is achieved by defining session related events, session management operations, session typ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se components. We define the available session types as real-time(rt), non real-time(nrt), open(opn), closed(clsd), reserved(rsrvd), and instant(inst) on the basis of work modes, or, the time characteristics and the reflection of sociality. The classification of session types is accomplished by the analysis for the work mode offered by currently existing groupware. The session management is achieved by performing session management operations which are valid for session types suitably to its semantics and the session management operations are performed by processing session management subjects. This research suggests the session management of groupware coming under special application domains to which a uniform session management method is not applicable and the outline for the session management of groupware supporting total environment which offers the various work modes.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그룹웨어의 세션 관리에 관한 연구로서, 그룹웨어의 세션 정의와 세션 관리 개념을 형식적으로 정립하고, 정립된 세션 관리 개념이 다양한 응용 분야의 그룹웨어에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세션 관리 개념의 정립은 세션 관련 이벤트, 세션 관리 오퍼레이션, 세션 형을 정의하고, 이들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세션 형은 그룹웨어의 작업 방식 즉, 시간적 특성과 사회성 반영에 근거하여 실시간형(rt), 비실시간형(nrt), 개방형(opn), 폐쇄형(clsd), 예약형(rsrvd), 즉시형(inst)으로 정의한다. 세션 형에 대한 분류는 현존하는 그룹웨어가 제공하는 다양한 작업 방식의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세션 관리는 정의한 세션 형에 적법한 세션 관리 오퍼레이션을 그 의미에 맞게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세션 관리 오퍼레이션은 세션 관리 대상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연구는 일괄적인 세션 관리 방법이 적용 불가능한 특정 응용 분야의 그룹웨어가 채택하여야 할 세션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작업 방식을 제공하는 통합 환경의 그룹웨어가 행하여야 할 세션 관리 방법에 대한 윤곽을 제시한다.
예비유아교사가 바라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되어가기 : 영화〈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의 비평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김정미(Jeongmi Kim)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영화〈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의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되어가기를 살펴보아 현대사회의 아버지를 이해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실현할 아버지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하는 P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이 작성한 비평적 글쓰기를 연구자료로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는 아버지와 자녀가 시간을 공유하고(Time ↔ share), 서로 믿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연결되며(Mind ↔ chain), ‘나-너’의 관계로 만나는 사건을 통해 성장하면서(Event ↔ ripe) 아버지로 되어간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되어가는 존재로 바라보고 이러한 과정을 지지하며 응원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ole of fathers in modern society and to find ways to educate father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becoming-father of early childhood through 〈Like Father, Like Son〉movie's critical writing written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critical piece written by the 3rd grad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P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was analyzed as research data.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fathers and children spend time together (Time ↔ share), to be connected with mutual trust and love (Mind ↔ chain), and to grow through encounters with others (Event ↔ ripe). This study suggest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view father of early childhood as beings who becoming-father, and that parental education is needed to support this process.
김정미(Kim, Jeongmi),박희진(Park, Heeji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갈등 연구의 주제어를 분석하여 주요 단어들 간의 의미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초등학생” 과 “갈등”을 차례로 입력하여 검색된 총 1,802 건의 논문들 중 156편을 최 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을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제어를 입력하고, KrKw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제어와 빈도수를 추출했으며, NetMin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제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술지 논문 156편에서 추출 된 주제어는 총 620개였으며, 정제 작업을 통해 대표 단어를 선정하였다.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제일 높은 빈도로 분석된 주제어는 20회로 “다문화”이다. 그 다음은 16회로 “또래관계”, “부부갈등” 15회의 순이었다. 3회 이상의 빈도수를 기록한 주제어 56개를 주요 키워드로 선정하고 주요 키워드가 얼마나 많은 연결을 가지고 있는지 연결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지도를 생성하고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keywords extracted from the conflic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that end, 156 papers and dissertations on the topic of conflic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e collected from 1,802 papers and dissertations by entering search word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conflict in turn. The collected data typed keywords by using Excel program was filtered and selected firstly by KrKwic progra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keywords were analyzed by NetMiner program for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p keywords in their frequency of conflic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searches are ‘Multicultural’, ‘the peer-relationship’, and ‘married couples conflict’, and network map is generated and it’s meaning is extracted by cluster Analysi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words related to conflic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exposed in actual data networks.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ways to following research related to conflic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