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김정겸(Kim, Jeongkyoum),김기덕(Kim, Kiduck),이상선(Lee, Sangs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기존의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고 운영한 교수자의 경험을 고찰함으로써 온라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Chen(2016)의 ICCEE 모형을 준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운영하였던 경험에 대해 자전적 사례연구 방식으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기존 수업의 수업목표를 그대로 유지하였고 온라인 수업의 유형은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형식으로 결정하였다. 수업내용은 수업목표와 동일하게 기존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LMS와 e-mail을 기술적 도구로 선정하였다. 기존 수업의 플립드 러닝과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 동영상 콘텐츠와 과제 수행을 병행하는 교수전략을 수립하였다. 이후 강의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내용의 모듈화와 구체적인 사례가 추가되었으며,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오픈북 기반 시험 문항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수업의 실천 과정에서는 상호작용 및 학습 참여와 공평한 시험 응시를 위한 다양한 실천들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이 실현되고 있으며, 학습자를 배려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내용 전달에 치중한 강의자료의 개발과 평가, 상호작용 감소 등의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실시간 소그룹 토론활동과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한 시간 분배,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online class and to seek a deeper understanding of it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an instructor who changed their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reason, the experiences of designing and operating onlin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as explored in the form of an autobiographical case by using Chen (2016) s ICCEE model. As a result, in preparation for online classes, researcher maintained the goals of previous classes and employed the type of non real time online classes. The contents of classes remained the same, and LMS and e-mail were selected as new technical tools. To achieve similar effects as flipped learning in previous classes, a teaching strategy combining video contents and task performance was established. Since then, modularization of contents and specific cases have been add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ecture materials, and open book test questions have been developed to secure fairness for student evaluation.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online courses, various practices were carried out for interaction,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fair examinations. As a result, researchers confirmed that learner-centered classes are being realized through online classe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continuous efforts considering learners. However, problems such as development, evaluation, and reduction of interaction of lecture materials focused on content delivery were identified, and real-tim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ime distribution for emotional interaction, and application of learner-led customized learning were presented to mitigate the problems.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 관련된 변인 연구

        양미석(MiSeok Yang),김정겸(JeongKyoum Kim):김기덕(KiDuck Kim)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세계시민의식과 세계시민교육 태도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등 예비교사는 C대학의 사범대생 233명, 현장교사는 D시의 11개 중학교의 교사 216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두 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 현장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세계시민의식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책무성, 글로벌 역량, 글로벌 참여가 높았으며, 세계시민교육 태도의 하위변인 중 교사역할 태도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세계시민교육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예비교사는 변인들 간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 세계시민교육 태도의 하위변인 중 교육과정 태도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과 세계시민교육 태도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세계시민교육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현장교사의 모든 변인에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현장교사의 세계시민의식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원양성단계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의 기초자료제공과 실제 학교현장에서 요구되는 세계시민교육의 교사전문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relations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 of University C as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216 teachers of 11 middle schools in City D as in-service teachers. of whom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final analytic methods of data includ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of the two group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hows that in-service teachers are more scored in social responsibility. global capacity and global participation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global citizenship and in teacher role attitud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than pre-service teachers are.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glob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for pre-service teachers shows that the factors of pre-service teachers have mutu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except for curriculum attitude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nd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Furthermore.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of pre-service teachers affect significantly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ird. the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glob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for in-service teachers shows that all the factors of in-service teachers have mutu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global citizenship of in-service teache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urriculums required in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K-MOOC 강좌에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러닝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규명

        조미나 ( Mina Jo ),김기덕 ( Kiduck Kim ),김정현 ( Jeonghyun Kim ),김정겸 ( Jeongkyoum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시간, 장소, 비용, 학점 이수에 대한 강제성이 없는 MOOC(Massive Open Onlins Course) 강좌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환경적 요인), 이러닝 효능감(학습자 요인), 교수실재감(교수자 요인)이 학습만족도를 매개하여 학습지속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020년 3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A대학에서 운영한 K-MOOC 10개 강좌를 수강한 수강생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25일부터 12월 2일까지 8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총 158명의 자료를 활용, 구조방정식 모델(SmartPLS)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인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나, 학습지속의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닝 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만족도는 이러닝 효능감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는 매개 역할을 하지 않았으나, 교수실재감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유용성, 용이성, 이러닝 효능감, 교수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활용하여 MOOC 강좌를 설계, 개발, 운영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for such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completion rate improvement methods, in this study,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content factor), e-learning efficacy (learner factor), and teaching presence (teacher factor) were studied in a MOOC course without coerc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by mediating learning satisfa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8 days from November 25th to December 2nd, 2020 targeting students who took 10 K-MOOC courses operated by “A” University from March 2020 to December 2020. A total of 158 data were coll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had an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bu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Second, e-learning 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were found to affect both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continuation intention. Third, learning satisfaction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e-learning efficacy on learning continuation intention, bu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continuation inten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MOOC courses by utilizing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e-learning efficacy, teaching presence that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