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르크스주의에서 노동자당과 노동조합의 관계

        김장민(Jangmin Kim)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사회과학연구) 2013 사회과학연구 Vol.31 No.-

        According to Marx, the trade union used to begin economic struggle, but should develop political struggle gradually. Both workers party and trade union represent the working class, but workers party is the more advanced part of the working class than trade union. Marx emphasized the independence of trade union from the workers party. Marx criticized the dependency of trade union on workers party. Lenin also agreed the need for independence of trade union and economic struggle, but opposed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trade union. According to Lenin, the workers party should lead the workers revolution movement through the trade union. Thus, the trade union should be led thoroughly by the workers part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Rosa Luxemburg, the leadership of workers party on the trade union is not an absolute leadership but political leadership which should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 trade union and the autonomy of the mass. Gramsci also emphasized the balance between conscious leadership of workers party and autonomy of the mass. According to Gramsci, the leadership of workers party on the mass is not compulsory leadership but democratic leadership which should unity discipline and creativity not mechanically but dialectically.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감정 비율 단어 그래프

        김장민(Jangmin Kim),이연동(Yeondong Lee),조영석(Youngseuk Ch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5

        SNS, 논문, 설문조사 주관식 문항 답변과 같은 자연어로 이루어진 비정형 데이터는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하여 분석 결과를 비교하거나 시각화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년, 분기, 월, 요일과 같은 시간을 나타내는 임의의 구간을 설정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할 경우 전체 구간 중 어떤 구간에 데이터가 가장 많고 적은지, 전체 구간 중 구간별로 많이 사용된 감정 단어가 무엇인지, 특정 구간에 있는 텍스트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얼마큼 많이 긍정보다 부정적으로 작성되었는지 판단해야 할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지방대”와 관련된 뉴스 기사를 수집하기 위해 네이버에서 “지방대”라고 검색한 뒤 네이버 뉴스라고 표시된 기사만을 수집하여 위의 세 가지 정보를 한 번에 전달할 수 있는 감정 비율 단어 그래프를 제안한다. 감정 비율단어 그래프는 텍스트 데이터를 년, 분기, 월, 요일과 같은 시간을 나타내는 임의의 구간 기준으로 나눈 뒤 감성 사전에 있는 감정 점수를 텍스트 데이터에 부여하여 만들어진 그래프이다. 감정 비율 단어 그래프를 시각화할 때 파이계수도 같이 활용하여 단어를 표시한다면 특정 구간에서 감정 단어와 관련성이 가장 큰 단어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전달할 수 있다. Unstructured data consisting of natural language such as SNS, papers, and questionnaire subjective question answers are generally compared or visualized using text mining. When analyzing text data by setting a random interval representing a time such as year, quarter, month, and day, it may be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interval has the most data, which sentiment words are used a lot for each interval, and how much text data in a particular interval is written negatively than positive.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an sentiment ratio word graph that can deliver the above three information at once. An sentiment ratio word graph is a graph created by dividing text data by a random interval standard representing time such as year, quarter, month, and day of the week and then assigning the sentiment score in the sentiment dictionary to the text data. When visualizing an sentiment ratio word graph, if you also use the pie coefficient to display words, you can further convey information about which words are most relevant to the sentiment word in a particular interval.

      • KCI등재

        사회경제적 박탈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재무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미진 ( Mi Jin Choi ),김장민 ( Jangmin Kim ),장동호 ( Dong-ho Jang ),이정희 ( Junghee Lee ),( Victoria Le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8 No.3

        양육 스트레스는 아동과 부모간의 상호관계, 양육의 질 및 아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저소득 가정의 낮은 사회경제적 위치는 생활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낮춤으로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부모의 취약성을 증가 시킨다. Family Stress Model [FSM]은 사회경제적 박탈이 정서적 스트레스를 통해 양육 행동 및 양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에 유용한 모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국 저소득 가정 내에서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FSM 를 기본 모델로 하여, 사회 경제적 박탈과 양육 스트레스 간의 경로 분석을 통해, 사회 경제적 박탈의 직접적 영향 및, 매개 변수로서의 재무 스트레스와 우울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회 경제적 박탈은 재무 스트레스와 우울을 통해 양육 스트레스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산 형성 및 재무 역량 강화, 정서적 자활 지지 및 정서적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Background: Parenting stress negatively influences the quality of parenting, child-parent relationships, and child development. In particular, low-income familie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high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due to the impact of low socioeconomic status on life stress, often causing a reduction in family resilience to stress. The Family Stress Model (FSM) provides a useful framework that explains how socioeconomic deprivation can influence parenting behaviors or quality of behaviors via parents’ psychological distress. However, limited research focuses on the pathway from socioeconomic deprivation to parenting stress among low-income families in Korea. Objectives: The study examines if socioeconomic deprivation is associated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increased financial stress and parental depression, which would lead to an increased level of parenting stress. Methods: Two hundred and nine low-income participants in a government-funded self-sufficient program in South Korea were included in the study. A path analysis was employed using Mplus. Results: Socioeconomic deprivation was not associated directly with parenting stress. However, socioeconomic depriv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parenting stress indirectly by increasing financial stress and depression. Conclusions: Among the low-income families in Korea, FSM provides a useful guideline for explaining how financial stress and depression play roles in mediating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parenting stress. Findings warrant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including building financial assets, strengthening financial capability and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as well as developing an intervention to reduce psychological distress.

      • Unity를 이용한 웹기반 3D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정광욱 ( Kwanguk Jung ),동현 ( Donghyeon Kim ),김장민 ( Jangmin Kim ),윤정석 ( Jeongseok Yoon ),이수원 ( Soow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2

        최근 1 인가구가 늘어나면서 자신의 집을 직접 꾸밀 수 있는 인테리어 시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을 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각광을 받고 있으나, 종래의 인테리어 프로그램들은 고용량의 프로그램이거나 처음 접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인터페이스를 가진 프로그램들이 대부분 이다. 본 연구에서는 Unity를 이용하여 웹상에서 손쉽게 인테리어를 해 보고 가상현실 체험까지 해 볼 수 있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프로그램은 초보자도 전문가의 도움 없이 가구의 재배치, 방의 확장 및 구조 변경 등 자기취향에 맞는 인테리어를 웹상에서 가상으로 시도해 보고, 그 결과를 가상현실 체험기기로 체험해 볼 수 있어, 셀프 인테리어와 리모델링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주고 만족감을 더욱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 KCI등재

        한국의 자활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

        이정희,윌리엄 돈란,장동호,김장민,마린 헨더슨-포쉬,Choi, Mijin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22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한국 자활사업 참여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19년, 전국 249개 지역자활센터 참여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표집을 실시하였고, 1,047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는 가구주라고 응답한 787명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저소득층과 비교했을 때, 자활 프로그램 참여 가구주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학력 수준을 보인 반면, 상대적으로 높은 사회적 박탈감, 이혼율, 우울증세를 보였다. 청·장년층과 중년층의 프로그램 참여자에 비해, 노년층 참여자들은 가장 높은 자기 효능감, 자활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미래 지향성을 보인 반면, 가장 낮은 사회적 박탈감과 우울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전체 연령층 참여자 중에서, 중년층 가구주들이 가장 높은 사회적 박탈감을 보였으나, 사회적 박탈감이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은 청·장년층 가구주에게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동일한 수준의 사회적 박탈이라 하더라도, 사회적 박탈에 익숙해진 중년층 및 노년층 참여자에 비해 청·장년층 참여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박탈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 친화적인 한국의 자활사업 환경과 정신건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제안한다. Korean family structure is rapidly changing with single-person household population showing dramatical increases. In 2019,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in South Korea to assess demographic, psycho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mong publicly-supported workfare-program participants. Of 249 job-training centers, 40 were randomly selected; 1,047 individuals participated in paper-based self-reported surveys. To better understand mental health (i.e., depression) among the single-person household population, data analysis only included 787 self-identified heads of households. Compared to overall low-income Koreans, respondents had lower education, while reported higher socioeconomic deprivation (SED), divorce rates, and prevalence and magnitude of depression. Older-aged participants exhibited the highest self-efficacy, job-satisfaction, future-orientation, and the lowest SED and depression. SED was the highest among the middle-aged. However, negative impact of SED on depress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younger-aged. Young adults’ depression could be explained by structural barriers such as low-paying jobs and unsatisfactory working conditions rather than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ovide comprehensive mental-health interventions in addition to job-training for this population. Workfare programs should simultaneously address participants’ differential experiences and depression. The feasibility for community-based social workers to provide a brief, inexpensive mental-health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case-management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