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중등교원 양성기관의 SW교육 방안

        김자미,우호성,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3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esenting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education centered on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order to equip the pre-service teachers' SW education capability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expertise. To this e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status and curriculum standards of informatics·computer secondary school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computer education department heads and profess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pinions were drawn for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n compulsory completion of at least 3 SW-related courses, management of elective courses, and expansion of multiple majors, regardless of category. It also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infrastructure for SW liberal arts education and double major oper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irection for fostering the expertise of pre-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W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fact that changes in teachers must be prioritized in order to improve student competency. 본 연구는 예비교원의 SW교육 역량 함양 및 SW융합교육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중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 운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보ㆍ컴퓨터 중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현황 및 분석을 통해 개선 방향을 정립하였으며, 컴퓨터교육과 학과장을 포함한 교수진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중등 예비교원은 계열에 구분 없이 최소 3과목 이상의 SW 관련 과목 필수 이수, 선택과목 운영, 복수전공의 확대 등에 대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또한 SW교양 교육 및 복수전공 운영을 위한 인프라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원의 변화가 우선되어야 함에 근거하여 예비 중등교원의 SW융합교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저작권 지식수준 분석을 통한 교육정보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김자미,박정호,이원규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2

        학교현장에서 교육정보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교사 및 학교를 대상으로 한 저작권 법 위반 피소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 대상의 저작권 교육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사들의 교육정보에 대한 인식이나 저작권에 대한 지식수준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교사 349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이 인지하고 있어야 할 저작권 관련 지식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저작권교육 여부 보다는 교육용콘텐츠 제작 경험 여부에 따라 저작권 지식은 차이를 보였다. 즉, 저작권 교육을 받았다 할지라도 자신의 필요에 의해 활용되었을 때, 해당 지식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저작권 교육이 하나의 지식으로 교육되기 보다는 교육정보가 활용되는 상황에 적합한 저작권 교육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s a lot of education information are increasingly utilized in the educational sector, there is a consequ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that file an action against the violation of the copyright law. Copyright education is provided to teachers in diverse ways, but they aren't well aware of it act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pyright knowledge of teachers in a bid to determine whether they knew well about what they had to do or no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9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their knowledge was evaluated, it's found that they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copyright knowledge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f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s rather than educational experiences about copyright. Although they ever received education on copyright, they were better knowledgeable about that when they actually made use of educational information at their own requ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down-to-earth, authentic and context-specific copyright education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just theoretical one.

      • KCI등재

        정보과 수업 설계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이해’와 교육목표분류학의 6단계 비교 분석

        김자미,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3

        The backward design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onsistency between a goal and its evaluation, and emphasizes the essence of knowledge. However, the method for designing lesson plans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and, as a result, teachers in the field have experienced some difficulty in applying the design. Accordingly,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ith which teachers are familiar and the viewpoint of informatic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d no difference when applying the hierarchy of the six-sided view of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of which teachers felt some difficulty in terms of applying the backward design. However, the analysis did show some similarity to the hierarchy of the six levels suggested in the taxonomy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In general, when a new theory is suggested, it is very difficult for it to be accepted and applied.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at a new theory must be accepted on the basis of sufficient analysis along with the necessity of efforts to be dedicated in order to increase its applicability.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백워드 디자인은 목표와 평가의 일관성을 고려하고, 지식의 본질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업 설계 방식과 달라서 현장의 교사들이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과의 관점에서 교사들에게 익숙한 교육목표분류학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분석 결과, 백워드 디자인에서 어려워하는 ‘이해’의 6관점은 수준(hierarchy)이 없다고 했지만, 교육목표분류학에서 제시한 6단계의 수준(a hierarchy of six levels)과 유사한 것으로 논의되었다. 새로운 이론이 제시될 때, 해당 지식을 받아들이고 적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이론에 대해서 충분한 분석을 토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부분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과교육과정 조정(Alignment)의 관점에서 본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목표와 평가의 일치도 분석

        김자미,이원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3

        Discussions on curriculum alignment aim at determining whether evaluation is conducted in a manner to be congruous with objectives, and there have been dynamic discussions on the congruence between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gruence between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in four informatics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that have been in use since 201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ected textbooks, the description of learning objectives wasn't congruent with that of evaluation items in the informatics curriculum manual, and the rate of congruence between objectives and evaluation in the informatics textbooks was less than 50 percent. When the congruence between objectives and evaluation in the different sections was analyzed, this rate was less than 50 percent in all the textbooks as well.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how to improve the congruence between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in textbooks was suggested. 교육과정 조정에 대한 논의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도 평가와의 일관성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학습목표와 평가와의 일치도 분석 등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일치도는 새롭게 학습목표가 구성된 경우, 평가가 이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을 확인하는 데 유효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7 개정교육과정을 반영하여 2010년부터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4종의 정보교과서에 제시된 학습목표와 평가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교과 교육과정해설서에 나타난 목표와 평가 간 기술의 내용은 괴리가 있었으며, 정보교과서에 표기된 학습목표와 평가의 차원 또한 일치도가 5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영역별 목표와 평가의 일치도 분석 결과, 목표와 평가가 일치되는 경우의 수는 각 교과서별로 50%를 넘지 못하였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의 학습목표와 평가 간 일치도의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생, 교사, 학부모의 교육정보화 수준 측정 지표 개발 및 준거 설정

        김자미,김홍래,김현철,김정훈,Kim, Ja-Mee,Kim, Hong-Rae,Kim, Hyeon-Cheol,Kim, Jung-Hoo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2

        This study has developed indicators and criteria for measuring educational informatization level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ith regard to the national educational policy. The criteria for indicator of each group are also set up.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4 areas, 10 elements, 24 sub-indicators are generated as the result of development of indicator for level measure of educational informatization. And different weights are established for each area, element and sub-indicat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Second, generated criteria are evaluated by specialists based on the indicator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and on a scale of 100. The criteria for students are evaluated to be 80.64, the criteria for teachers to be 80.90 and the criteria for parents to be 76.52 which was found to be the lowest.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mpleted to determine which aspect should be supported more intensively when setting the 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 KCI등재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김자미,이원규,Kim, Ja-Mee,Lee, Won-Gyu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2

        교과의 정체성은 해당 교과에 내포된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정당화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보교과는 기초학문으로서 필요의 극대화에도 불구하고 교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면이 적지 않다. 특히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학교 교육에서는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교과의 교과교육으로서 가치를 컴퓨터과학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컴퓨터과학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교과로써 가치와 목적에 대한 교육적 성찰을 제공하였다. The identity of a subject could be established by justifying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ubject from various angles. Despite the huge necessity of information subject as one of basic disciplines, it cannot be said that the subject is considered valuable as a school subject. Even though that is selected as part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has textbooks of its own, it's actually disregarded in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value of information literary subject as part of academic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computer science education, and to shed light on the value and objects of it as a school subje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사이버교사의 만족도 요인 평가 준거 개발 및 타당도 분석

        김자미,김용,김정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1

        사이버학습에서 사이버교사는 학생들과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습을 지원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사이버교사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사이버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사이버학습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준거를 개발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사이버교사 만족도 평가 준거는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고, SPSS 및 AMOS를 이용하여 문항분석 및 평가 준거 요인의 적합도 지수 분석 등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5개 요인에서 20개의 문항을 확정하였다. In the Cyber Home Learning Service (CHLS) for primary and secondary level students, Cyber Teachers are in charge of providing learning assistance and guidance to students through various activities. Thus, improving the Cyber Teachers’ satisfaction level could contribute to increased effectiveness of the CH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evaluation criteria to assess the satisfaction level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CHLS, and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level. We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criteria. We also analyzed the evaluation criteria model by conducting an item characteristic analysis and a goodness of fit test using the SPSS and AMOS. Finally, we developed 20 items from five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