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고압전자현미경에 의한 엽육세포 색소체 미세구조의 3차원적 분석

        김인선,박상찬,한성식,김은수,Kim, In-Sun,Park, Sang-Chan,Han, Sung-Sik,Kim, Eun-Soo 한국현미경학회 2006 Applied microscopy Vol.36 No.3

        발달중인 Sedum 및 Salsola의 엽육조직을 chemical fixation과 high pressure freezing (HPF) 등으로 고정한 후, 초박 및 후박절편으로 제작 carbon coating하여 TEM 및 UHVEM으로 연속절편에 의한 2-D영상과 tilt image data를 수집하였다. 이후 초미세 구조들에 대하여 tilting 및 tomography 기법, 그리고 디지털화한 image의 3-D 입체구조 재구현에 필수적인 IMOD 프로_그램을 적용한 image 처리과정을 거쳐 UHVEM data에서 색소체내 초미세구조의 정보를 추출하여 세포수준에서의 3-D image를 분석하였다. 색소체 기질에서 녹말입자 및 틸라코이드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CAM및 $C_4$ 식물 색소체 결정체들은 어떤 막으로도 둘러싸이지 않는 구조로서, Sedum rotundifolium 색소체내 결정체는 수 ${\mu}m$에 이르는 커다란 크기로 형성된다. 결정체 내에는 약 20nm격자거리로 이루어진 기원을 알 수 없는 수백-수천 개의 미세소관성 요소들이 평행 또는 격자상태로 정교한 구조를 이루며, 티라코이드 및 녹말입자와 인접하여 발달하였다. $C_4$ 광합성 수행 Salsola komarovii의 경우, 결정체는 엽육세포 색소체에서만 발달하며 결정체 구성 기본요소들이 비교적 규칙적인 격자거리를 이루며 수십 개 배열하는 구조를 형성하였다. 특히, tilted image및 3-D 입체구조 연구에서 결정체 형성에는 이들과 인접하여 발달하는 틸라코이드막이 관여함을 알아 낼 수 있었다. 이는 엽육세포 색소체에는 결정체들이 식물이 수행하는 광합성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구성요소로 형성되어 Sedum의 경우와 같이 발달 중인 엽육조직에서 분화하거나 Salsola에서와 같이 세포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발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Image processing by ultra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 (UHVEM) and tomography has offered major contributions to research in the field of cellular ultrastructure. Furthermore, such advancements also have enabled the improved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ellular structures in botany. In the present study. using UHVEM and tomography, we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three-dimensional images of plastid inclusions that probably differentiate during photosynthesis. The foliar tissues were studied Primarily with the TEM and further examined with UHVEM.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ubular elements and the thylakoidal membrane and/or starch grains within plastids mainly have been investigated in CAM-performing Sedum as well as in $C_4$ Salsola species. The inclusion bodies were found to occur only in early development in the former, while they were found only in mesophyll cells in the latter. The specimens were tilted every two degrees to obtain two-dimensional images with UHVEM and subsequently comparison has been made between the two types. Digital image processing was performed on the elements of the inclusion body using tilting, tomography, and IMOD program to generate and reconstruct three-dimensional images on the cellular level. In Sedum plastids, the inclusion bodies consisted of tubular elements exhibiting about 20 nm distance between elements. However, in Salsola, plastid inclusion bodies demonstrated quite different element structure, displaying pattern, and origin relative to those of the Sedum. The inclusion bodies had an integrative relationship with the starch grains in both species.

      • KCI등재

        한국 시화호와 중국 Aha호 저질토에 분포하는 이화성 아황산염 환원효소 유전자의 비교 분석

        김인선,김옥선,전선옥,안태석,Kim, In-Seon,Kim, Ok-Sun,Jeon, Sun-Ok,Witzel, Karl-Paul,Ahn, Tae-Seok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2

        한국의 시화호와 중국의 Aha호 저질토에서 서식하는 황산염 환원세균(sulfate reducing bacteria, SRB)의 깊이에 따른 군집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화성 아황산염 환원효소(EC 1.8.99.1; dissimilatory sulfite reductase, dsr) 유전자를 대상으로,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및 클론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DGGE band 양상을 분석한 결과, Aha호 보다는 시화호에서 더 맡은 밴드를 보여 다양성이 높았고, 깊이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서식지에서 얻은총68개 클론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계통학적 분석을 한 결과 시화호에서는 Deltaproteobacteria 그룹, Firmicutes 그룹에 속해있는 Desulfotomaculum 종과 archaeal thermophilic SRB 그룹에 속해있는 Archaeoglobus 종이, Aha호에서는 Desulfotomaculum 그룹과 유사성이 높았다. 분리된 대부분의 클론들(59%)은 배양된 황산염 환원세균과는 매우 낮은 유사도를 보였고, 환경에서 분리된 클론들과도90% 이하의 유사도를 나타냈다. 총 클론을 88% 유사도를 기준으로 9그룹으로 나뉘었을 때 시하호와 Aha호의 각 클론은 서로 다른 그룹으로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서식지의 이화성 아황산염 환원효소를 가지고 있는 미생물의 군집구조는 확연히 다르고 각 서식지에 특이적인 황산염 환원 미생물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The diversity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was investigated in different depths of sediments in Lake Sihwa, Korea and Lake Aha, China by PCR amplification,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clone libraries targeting dissimilatory sulfite redectase (dsr) gene. In the analysis of DGGE band patterns, the community compositions of dsr gene in the sediments of both lak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hereas bands in all depths of each environment revealed similar patterns. Bands from Lake Sihwa were produced much more than those from Lake Aha, demonstrating a higher diversity of dsr gene in Lake Sihwa. Total 68 clones containing dsr gene were obtained to analyze their sequences. Sequences from the sediment of Lake Sihwa were affiliated to Deltaproteobacteria, the Gram-positive thermophilic sulfate reducers belonging to the genus Desulforomaculum and archaeal thermophilic SRB belonging to the genus Archaeoglobus, whereas sequences from the sediments of Lake Aha were related to genus Desulfotomaculum. Clones retrieved from sediment of Lake Sihwa revealed a higher numbers than those of Lake Aha, demonstrating a higher diversity of dsr gene in Lake Sihwa. Most of clones (59%) were distantly related to the known cultivated SRB with $60\sim65%$ of similarity, which were clustered only the sequences from the environments showed less than 90% similarity. These habitat specific sequences suggested that the clustered dsr sequences represent species or groups of species that were indigenous to these environments. This study showed that these lakes have a specific bacterial communities having dsr gene distinct from those in other environments such as soil and marine ecosystems around the world.

      • KCI등재

        수생형 통발(Utricularia japonica)의 흡입식 포충낭 형태 연구

        김인선,Kim, In-Sun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뿌리 없이 분지된 줄기에서 기원한 포충낭으로 먹이를 빠르게 포획하는 수생형 통발 포충낭의 형태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의 흡입식 포충낭에서는 입구 부위 및 덧문에 발달하는 구조들이 능동적 먹이 포획에 있어 다른 어느 구조보다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분화되어 있다. 포충낭 입구에는 분지된 안테나 및 부속지들이 위치하고, 덧문 중앙 부위에는 4개의 감각모가 발달하여 먹이의 접촉자극을 감지하였다. 자극신호는 입구의 무병, 유병의 다양한 capitate형 분비모들이 소수성 점액물질을 분비하게 하여 이들을 피복하며 덧문을 닫아 먹이를 포획하였다. 덧문 안쪽의 threshold는 입구부분, pavement epithelium 층, 내부 구역으로 구분되며, 입구와 내부구역의 중간에 있는 pavement epithelium 층에는 소수성 큐티클이 피복된 밸름층이 형성되었다. 먹이가 포충낭의 내강으로 들어오면 내벽에 발달하는 2분지선과 4분지선들이 효소 등의 물질을 분비하여 이들을 소화 및 흡수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이와 같이 통발의 흡입식 포충낭에서는 안테나, 감각모, 덧문, capitate형 분비모, 내벽의 분지선 등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 구조와 기능이 분화되어 식충의 기작을 수행하였다. 이후 포충낭의 분화발생을 생장단계별로 추적 연구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접목시키면 더 유용한 통발속 포충낭 구조 자료가 될 것이다. Morphology and microstructure of the suction trap in aquatic Utricularia japonica were examin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Branched stems bear numerous suction traps without root formation. The traps are derived axillary from the node, and their antennae and appendages extend in a peculiar fashion. The trap walls are thin, two-celled, parenchyma tissue and simple, small glands are scattered in both internal and external surface of the trap. The entrance of the trap is surrounded by one pair of dorsal antennae and ventral appendages, where the former guides the prey to the entrance. Trap door is situated below the entrance and numerous sessile and stalked capitate trichomes cover the entrance and even on the door surface. The capitate trichomes are secretory, but four trigger hairs formed on the central areas of the door are not. They are believed to function in activating and tripping the trap door. A specialized region of the threshold com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upon closing. The secretory capitate trichomes near this region are responsible for producing and secreting a mucilage-like substance which composes the velum. Two-armed bifid glands are located in the interior side of the threshold, while four-armed quadrifid glands are considerably numerous occurring over the entire inner trap wall. Bifid and quadrifid glands develop semi-spherical basal cells that connect them to the inner wall surface. Antennae, trigger hairs, capitate trichomes, bifid and quadrifid glands are more important structures in the carnivory of U. japonica.

      • KCI등재

        각성조절과 빨기/삼키기/숨쉬기의 조화(Suck/Swallow/Breathe Synchrony)와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김인선,이지영,황지영,Kim, In-Sun,Lee, Ji-Young,Hwang, Jee-Young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3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 No.1

        The suck/swallow/breathe(SSB) synchrony, serving as the earlist primary motor mechanism, is the rhythmical, coordinated pattern of sucking, swallowing and breathing. The development of an intact SSB is an important precursor for further sensori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 including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state regulation, postural control, feeding, eye/hand coordination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rousal means a neurological mechanism for preparing one's body to orienting stimulus. Its levels are regulated with an interaction of the reticular formation, the limbic system, the hypothalamus an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General strategies such as blowing, sucking, chewing, munching and licking to effectively modulate arousal state are related to SSB. The SSB synchrony is an important treatment principle for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and problems with the modulation of arousa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concepts of SSB synchrony and the underlying relation between the modulation of arousal and SSB synchrony.

      • KCI등재

        Salsola collina 엽육조직내 변형된 크란츠구조

        김인선,Kim, In-Sun 한국현미경학회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2

        Salsola callina 엽육조직의 $C_4$ Kranz구조내 세포유형의 발달 및 미세구조 분화특성을 연구하였다. 선형의 다육질성 잎은 표피, 광합성 염육조직, 수분저장조직, 유관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층의 엽육조직은 변형된 Salsoloid Kranz구조를 나타내었다. 내부의 엽육조직층은 전형적인 $C_4$ 구조의 Kranz 유관속초세포의 특성을 보이고, 외부의 엽육세포층은 Kranz 엽육세포의 특성을 보였다. 세포소기관들은 유관속초 세포에서는 구심적으로 배열하였고 엽육세포에서는 세포벽 주위를 따라 분포하였다. 또한 이들 세포유형 사이에는 엽록체 이형현상이 뚜렷하여 유관속초세포의 엽록체는 전분입자가 잘 발달하고 그라나가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반면, 외부엽육세포의 엽록체에는 그라나와 proteinbody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유관속초세포의 세포벽은 비후되어 있으나 엽육세포의 경우에는 얇고, 특히 이들 두 세포층은 복잡한 구조를 지니는 원형질연락사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조들은 $C_4$ 광합성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이 유관속초세포와 엽육세포 간에 원활하게 수송되고 이동됨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Salsola 식물의 미세구조는 $C_4$ 식물의 NADP-ME유형의 구조적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며, 구조적 이형현상을 보이는 유관속초와 엽육세포 간의 특성은 엽육조직 분화시 $C_4$ 기능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적응한 결과로 나타난 현상으로 추정된다. Anatomy and ultrastructure of the modifeid Krana pattern have been studied in succulent Salsola collina Pall. Cylindrical leaves exhibited the Salsoloid Kranz type containing two layers of peripheral chlorenchyma that surrounded the water storage cells and vascular tissues. Small veins were also peripherally arranged, but mostly embedded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chlorenchma without the orderly arrangement of the concentric layering of bundle sheath and mesophyll cells. The current study mainly focused on the chlorenchyma tissue abutting such minor veins. The outer columnar layer exhibited features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palisade mesophyll cells, while the inner cuboid layer to the bundle sheath cells of a typical $C_4$ Kranz pattern. Cellular components of the inner chlorenchyma were centripetal and numerous, but starch-laden chloroplasts were rudimentary in the thylakoidal system. The outer chlorenchyma demonstrated normally developed chloroplasts having well-stacked thylakoids and plastoglobuli. Branched and complicated plasmodesmata frequently occurred in thick interfaces of the two layers, implying the active movement of the photosynthates between them. The present data were mostly congruent with one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4 subtypes , NADP-ME type, reported in the $C_4$ pattern. The Kranz pattern encountered in this Salsola probably has been directly related to the structural modification that occurred during a functional adaptation to the $C_4$ photosynthesis.

      • KCI등재

        접시꽃 (Althaea rosea) 엽육표피에서의 모용의 분화 발달

        김인선,이승희,Kim, In-Sun,Lee, Seung-Hee 한국현미경학회 2005 Applied microscopy Vol.35 No.2

        표피조직은 비교적 분화되지 않은 기본 표피세포와 식물에 따라 특수하게 분화되어 형태와 기능이 매우 다른 여러 이형세포로 발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용으로 활용되는 접시꽃 (Althaea rosea)의 엽육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모용에 대하여 이들 모용 유형에 따른 분화 발달 양상을 주사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하였다. 접시꽃 엽육 표피상에 발달하는 모용은 크게 단모(simple hairs), 총생모 (non-grandular tufted hairs)와 분비모 (peltate glandular hairs)로 대별되는데, 총생모는 상, 하피 및 하피의 엽맥을 따라 특히 더 발달하는 장상의 총생모 (longtufted hairs, ${\sim}1000{\mu}m,\;2{\sim}10$ branchlet)와 상, 하피 및 하피의 엽신에 더 밀생 분포하는 단상의 총생모 (shorttufted hairs, ${\sim}210{\mu}m,\;2{\sim}7$ branchlet)로 나뉘어진다. 장상의 총생모는 단순모로부터 시작하여 10개까지 분지되며, 분화 초기에는 비교적 일정한 방향으로 분지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분비모는 $1{\sim}2$개의 두정세포(head cell, 직경 $20{\sim}35{\mu}m$), 2개의 자루세포(stalk cell, 길이 $10{\sim}15{\mu}m$), 기저세포 (basal cell)로 이루어진다. 또한, 엽신 전체에 발달하는 총생모와는 달리 분비모는 특히 표피면에서 함몰된 망목극(areole)을 따라 분포한다. 이들 모용 중 총생모는 엽육 표피의 보호 및 방어기능을 주로 수행할 것으로 추측되며, 분비모는 두정세포 내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유용한 이차대사 물질을 분비하는 기능과 보호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모용은 분비기능이 활발한 식물에서 유용한 이차대사 화합물을 생성, 축적하고 분비하는데 중추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들에 대한 세포수준에서의 연구 및 분비되는 유용한 물질에 대한 연구는 구조적 정보 및 적응을 위한 방어기작 규명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Plant epidermis consists of relatively unspecialized cells and more specialized cells of various structure and function. Trichomes are specialized cells originated from the epidermis and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plants developing trichomes with peculiar structure and function. Th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examine the trichome type noticed in the leaf epidermis of Althaea rosea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ur types, namely simple, short-and long-tufted, and glandular hairs, were detected in their epidermis. Their Distribution, frequency and structure varied by the development and epidermal surface. The most frequently distinguished type was the tufted ones growing in young leaves of the abaxial epidermis, while the simple hairs were rare throught the examination. The short-tufted hairs branched up to seven times having each branchlet about $160{\sim}210{\mu}m$ in length at maturity. The long-tufted hairs exhibited up to ten branchlets, where branchlets could reach up to $900{\sim}1,000{\mu}m$ long when fully expanded. Glandular trichome was the peltate type comprising $1{\sim}2$ secretory head cells, 2 stalk cells and a basal cell. The short peltate glandular hairs, usually not exceeding $40{\mu}m$, differentiated more along the areoles in the adaxial epidermis. The function of these trichomes in A. rosea has been still obscure, but it has been speculated that they probably play a role in protection; non-glandular ones possibly providing a defense against insects and secretory glandular type participating in chemical defense. Structural features of these trichomes at cellular level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study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KCI등재

        HVEM에 의한 둥근잎꿩의 비름 (Sedum rotundifolium L.) 색소체의 결정체 구조

        김인선,Kim, In-Sun 한국현미경학회 2006 Applied microscopy Vol.36 No.2

        둥근잎꿩의비름(Sedum rotundifolium L.) 엽육조직에 대한 초박절편 및 연속 후박절편의 시료를 제작하여 TEM 및 HVEM 고압전자현미경으로 연구하였고, 이로부터 수합된 색소체 결정체 구조의 tilting 및 연속절편 결과에 image processing을 실시하여 세포수준에서의 초미세구조 정보를 추출 3-D 입체구조로 재구현하였다. ${\pm}60^{\circ}$에서의 tilting과 $0.125{\sim}1{\mu}m$에 이르는 연속절편에서 결정체를 구성하는 미세한 관상요소(tubular elements)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결정체는 일시적으로 분화 초기단계에서 형성되어 $4{\sim}5{\mu}m$에 이르기까지 크게 여러 형태로 발달하나, 엽육조직이 성숙하면 이들 구조는 색소체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특성을 보였다. 결정체를 구성하는 관상의 요소는 절단각도에 따라 격자구조 또는 평행구조를 이루었으며, 이들 구조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정교한 구조적 pattern은 회절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결정체 내에는 규칙적으로 약 20nm의 격자간격으로 이루어진 초미세관상의 요소들이 수백-수천 개 무리지어 발달하였다. 색소체 내에는 이러한 결정체가 하나 이상 형성되기도 하며, 일부 결정체의 경우 결정구조의 말단부위가 국소적으로 융합 또는 분지되기도 하였다. 결정구조는 막으로 둘러싸이지는 않으나, 대부분 틸라코이드 막성계와 밀착하여 발달하였다. 일차적으로 수집된 HVEM 상의 2-D 결과는 디지털화 과정을 거친후 Imod와 3-D Max를 이용하여 3-D 입체구조로 재구현되었다. Major contributions has been made in cellular ultrastructure studies with the use of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 (HVEM) and tomography. Applications of HVEM, accompanied by appropriate image processing, have provided great improvements in the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ellular structures. In the present study, structural patterns of the crystalline bodies that are distinguished in mesophyll plastids of CAM-performing Sedum rotundifolium L.,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HVEM and tomography. Tilting, and diffraction pattern analysis were performed during the investigation. The titlting was performed at ${\pm}60^{\circ}\;with\;2^{\circ}$ increments while examining serial sections ranging from 0.125 to $1{\mu}m$ in thickness. The young plastids exhibited crystalline inclusion bodies that revealed a peculiar structural pattern. They were irregular in shape and also variable in size. Their structural attributes affected the plastid morphology. The body consisted of a large number of tubular elements, often reaching up to several thousand in number. The tubular elements typically aggregated to form a fluster The elements demonstrated either a parallel or lattice arrangement depending on the sectioning angl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ments was approximately 20nm as demonstrated by the diffraction analysis. HVEM examination of the serial sections revealed an occasional fusion or branching of elements within the inclusion bodies. Finally, a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plastid crystalline bodies has been attempted using two different image processing methods.

      • KCI등재

        A Survey of Plastid Crystals and Microtubules in Flowering Plants

        김인선,Kim, In-Sun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2

        다양한 색소체 내에 형성되는 결정체와 미세소관의 분포 및 발달양상을 식물이 수행하는 광합성 양식과 연계하여 꽃피는식물 종들에서 밝혀진 결과에 의하면, 색소체 결정체는 대개 격자 구조를 이루며 기질 또는 티라코이드 내에 형성되나, 미세소관은 비교적 규칙적인 형태로 기질에만 발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격자구조는 막으로 둘러싸이거나 막과는 무관하게 발달하며, 계통학적인 유연관계를 형성하지 않고 C-3 또는 C-4 또는 CAM 광합성을 수행하는 26개의 식물과, 약 56종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이 조사되었다. 색소체 결정체 및 미세소관 형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이들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나, 결정체에 대한 3차원적 입체구조 연구와 미세소관에 대한 분자생물학적인 실험법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HVEM 고압전자현미경 및 tomography에 의한 연속절편 연구는 결정체의 3-D 입체구조 구현이 가능하여 심도 있는 구조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극히 일부의 식물에서만 보고되어 있는 색소체 내 미세소관에 대한 연구에 관해서는 먼저 색소체 기질에서 이들의 형성 시점을 알아내어 기질에서의 식별 및 분리 연구 등이 가능하게 돼야함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꽃피는식물 종들의 여러 색소체 유형에서 보고된 결정체와 미세소관을 조사하여 색소체 내에서 이들의 기능을 광합성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plastid inclusion has long been known to exist in leaves of numerous plant species, especially in those of flowering plants. Among the inclusions, crystalline bodies are the most frequently distinguished structures of the foliar plastids, however, microtubules and phytoferritins are also reported occasionally. The crystalline inclusions vary in shape, and are located either in the stroma or within intrathylakoidal spaces, whereas microtubules and phytoferritins are more uniform in shape and are formed in the stroma. In crystalline structures, the composing elements exhibit a lattice pattern and/or paralleled tubules that are either bounded by membranes or exist without membrane enclosing. Other types of inclusions have not been shown to be enclosed by any membran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current survey, the plastid inclusion, with the exception of phytoferritins, has been shown to exhibit a crystalline or tubular pattern, and has been reported in more than 56 species of various families. Their occurrence is not restricted to any photosynthetic pathway, but is found to be randomly distributed among C-3, C-4 and CAM species, without phylogenetic relationships. The progress in plastid inclusion research reveals more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 and complexity, but the need for characterizing the 3-D structure of the crystalline inclusions also has been acknowledged in previous studies. A 3-D characterization would utilize tilting and tomography of serial sections with appropriate image processing that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sub-structures of the crystalline inclusions. In fact, recent studies performed on 3-D reconstruction of the plastid inclusions revealed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ir comprising elements. In this article, the crystals and microtubules that have been reported in various types of plastids have been reviewed, with special consideration given to their possible sub-cellular function within the plasti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