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군집별 진로체험, 부모진로행동 및 교사의사소통의 차이

        김윤희 ( Kim¸ Yoonhee ),조항 ( Jo¸ H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군집별 진로체험, 부모진로행동, 교사의사소통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 중학교 3곳의 2학년 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고, 군집분석을 통해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가 성취, 탐색유예, 미분화, 소극적유예, 의심형혼미, 무관심혼미 등 6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지위별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성취 지위는 체험활동 모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무관심혼미 지위의 경우 체험활동 모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성취 지위와 탐색유예 지위의 교내 진로체험과 진로 외 체험 점수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교외 진로체험 점수는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성취 지위가 가장 높은 부모진로행동 수준을 보인 반면, 무관심혼미 지위가 가장 낮은 부모진로행동 수준을 보였고, 무관심혼미 지위만 유의하게 낮은 부모진로행동 점수를 보였다. 교사의사소통의 경우, 다른 연구 결과와 달리 탐색유예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대부분의 다른 군집들과 유의한 차이도 보였다.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 지위 관련 선행연구가 주로 대학생, 고등학생 대상이었는데 이를 중학생까지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2020년 자유학년제 전면 시행으로 중학생들의 진로 교육적 개입이 중시되는 현시점에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 체험적 교육과정 및 환경적 요인인 부모와 교사 변인을 연구에 포함하여 그 차이를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areer experience, parental career behavior, and teacher communication by middle school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status clusters.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43 second-year students of three middle schools in Gyeongnam. The result in a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career identity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achieved', 'searching moratorium', 'undifferentiated', 'passive moratorium', 'suspicious diffused', and 'indifferent diffused'. We applied MANOVA and one-way ANOVA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by those clusters. For career experiences, the ‘achieved’ cluster had the highest level in all career-related activities, while the ‘indifferent diffused’ cluster had the lowest level. In addition, the parental career behavior level of the ‘achieved’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ndifferent diffused’ status. For teacher communication, the ‘searching moratorium’ group had the highest score,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most other clust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nded the application of the VISA model to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it explored the influence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tial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s and teachers on their career development.

      • 조선시대 국장으로 본 혼백의 수호신 방상시(方相氏)의 기능 고찰

        김윤희(Kim, YoonHee) 서울민속학회 2019 서울민속학 Vol.- No.6

        조선시대 국가의례는 왕권의 상징이자 국가 통치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는데, 그 중 흉례는 생(生)과 사(死)라는 자연적 순환이 극명히 드러나는 예(禮)였다. 생전에 왕을 모시는 시위관이 있듯이 빈전을 떠난 왕의 혼백은 방상시의 선도를 받아 능소에 이르렀다. 방상시는 광(壙) 네 모퉁이를 찔러 사특한 것을 없앴는데, 흉례에 다양한 벽사기물이 쓰였음에도 불구하고 벽사의식에 직접 참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주례』 「하관사마」에 방상시의 업무는 시난(詩難)과 대상(大喪)으로 기록되어있다. 나례(儺禮)가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에 이루어지고, 상(喪)이 죽음이라는 인간 생명의 전환기에 나타난다는 점에서 순환성·축귀성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특히 대상(大喪)에서는 유교의 이상적 죽음관에 기인하여 혼백이 묘소에 다다를 수 있게 호종하고, 매장 시 광 속의 역귀를 물리쳐 혼백이 온전하게 분리되기를 돕기 때문에 “혼백의 수호신”으로 볼 수 있다. 조선시대 국장도감의궤를 보면 방상시는 흥인지문과 숭례문 2개 노선을 따라 이동하였는데, 행렬상 혼여와 대여의 사이이며 부장품의 좌우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축귀의 성격이 부각된다. 이를 담당한 사람들은 ‘방상시재인’, ‘방상시인부’로 불리며 저전상인과 신분이 낮은 사람을 채용하였다. 방상시 관리감독은 경기감영과 갑오개혁 이후 경무청에서 이루어지고, 제작자인 방상시장은 군기시 어영청에 소속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 주나라부터 군사기관에서 흉례업무를 관장했고, 조선 말까지 이어져 내려온 것을 알 수 있다. 국장도감의궤 발인반차도의 방상시는 시대별로 변화되고 조선식으로 변모된 양식이 나타난다. ①가면의 눈은 4개 · 2개가 혼합되었지만 1834년 이후 4개로 확립된다. 붉은색 얼굴에 황금 귀걸이가 특징이며, 두건을 써서 머리카락을 가렸다. ②복식은 상복(喪服)과 같은 삼베 소재이며, 현의주상 · 웅피 · 행전 · 버선 · 전대까지 지급하였다. 반차도 중 예서에 기록된 현의주상이 지켜진 경우는 단 2건이다. ③무기는 창과 방패 각 2개가 쌍을 지어 나타나며, 19세기 거행된 11건의 발인행렬에는 창만 사용된다. 창날의 수와 방패의 형태 등은 변화되며, 방패와 방망이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④탈 것은 초기에 말을 이용하고, 1627년 이후 2가지 유형의 수레가 사용되었다. ⑤수레를 끄는 ‘견예인’은 백색복장이며, 장거리 이동과 노동 강도로 인해 보충인원까지 최대 80여명을 뽑았다. 각 수레마다 1·2·4·6명까지 투입되었고 밧줄을 이용해서 수레를 끌었다. National rites were used as a symbol of royal authority and as a means of national governa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Among them, funeral ceremonies were a ritual in which the natural cycle of life and death was clearly revealed. In his lifetime, the king was greeted by a protester. After his death, Bangsangsi led the way from the palace to the cemetery. Bangsangsi stabbed the four corners of the tomb with a spear to remove something wicked, which can be seen as an important position in that it participates directly in the ritual of the wall temple. Old Chinese literature had written that Bangsangsi worked for the changing seasons and for large funerals. The two have a common point : circulation and driving away evil spirits. Especially Bangsangsi protected the deceased’s soul and body to reach the grave in accordance with the ideal death view of Confucianism in large-scale funerals. It also defeated the demons in the tomb to help the spirit separate completely. Therefore, Bangsangsi can be regarded as the “Guardian of the spirit”. According to the documents containing funeral procedures during the Joseon Dynasty, Bangsnagsi moved along two lines, Heunginjimun Gate(興仁之門) and Sungnyemun Gate(崇禮門). It’s location is between a spirit carriage and a corpse carriage, and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rial goods, so the character of driving away evil spirits is highlighted. The role of Bangsangsi hired low-ranking status such as traders. Its supervision was handled by an agency in charge of police affairs. So this shows that the military was in charge of the funeral service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angsnagsi changes from time to time and changes to the Joseon style in funeral Uigwe Banchado in the Joseon Dynasty. First, The eye of the mask has been mixed with four and two, but it has been established four since 1834. The mask features a red face and hanging gold earrings, and a hooded hair covering it. Second, The clothes were made of hemp like mourning and were even provided with bear leather, socks and belts. Third, Weapons appear in pairs with spears and shields, and only spears are used for 11 funerals held in the 19th century. The number of spears and shields change, and shields and sticks appear together. Fourth, Transport seems to have been used riding horse in the early stages, and two types of carts have been used since 1627. Fifth, The man pulling the cart is wearing white. Up to 80 people were selected as assistant workers due to long-distance and labor intensity. Each car was lured by one to six people and towed the cart using a rope.

      • 메타컴퓨팅환경의 어플리케이션관리서비스

        김윤희(Yoonhe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이종 네트웍 환경아래 서로 다른 서비스 요구사항을 가진 대형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기존 네트웍 관리 시스템들은 서비스관점보다는 시스템중심으로 관리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맞는 종합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것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 어플리케이션 수행을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어플리케이션과 네트웍의 요구사항을 분석, 실행하는 Proactive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 (PAMS)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각 관리 서비스는 모바일 에이전트로 이루어져 변화에 따라 능동적인 관리가 가능토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에이전트 중심으로 하는 PAMS가 성능과 실패관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패션에 있어서 사치의 의미 - 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

        김윤희 ( Yoonhee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2 No.-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서 사치가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기 위하여, 사치의 개념을 규정하고, 서양복식사에 나타난 사치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행하였다. 또한 오늘날의 패션 현상에서 사치의 의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치는 `필요 이상으로 호화롭고 풍성한 생활 방식, 재화, 서비스 등`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둘째, 서양 복식사에 나타난 사치 현상을 20세기 초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20세기 초 이전 서양에서는 부르주아 계급의 급성장과 오래된 귀족 계급과의 공생 및 경쟁 관계로 인해 복식을 통해 신분 상징을 표현하려는 욕구가 증가하였다. 20세기 초 이후에는 대중화 사회에서도 여전히 존재하는 계급 간의 차이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욕망의 결과로서 패션에 있어서의 사치 소비가 보다 개방적이고 다방향적인 방법으로 계속되었다. 셋째, 21세기 패션에서 사치의 양상은 양적으로는 SPA 브랜드의 팽창과 질적으로는 명품 브랜드의 성공에서 볼 수 있다. 넷째, 모든 시기의 사치 소비에 양적인 사치와 질적인 사치가 모두 존재하지만, 현대로 올수록 양적인 사치 및 절대적 사치를 즐길 수 있는 소비자의 수가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현대로 올수록 소비자 개인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사치의 가치 가운데 자기 만족을 위한 향락성이 보다 강조된다고 할 수 있겠다.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uxury in modern fashion, this study first provides its own definition of luxury, analyzes the history of luxury in the western fashion, and discusses the meanings of luxury i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uxury in modern fashion, this study first provides its own definition of luxury, analyzes the history of luxury in the western fashion, and discusses the meanings of luxury i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luxury can be defined as ways of life, commodities, or services that are more extravagant and sumptuous than it is necessary. Second, the phenomena of luxury in the western fashion can be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Before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there was an increasing desire to express the status symbol through fashion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bourgeois class and their co-existence and competition with the traditional noble class.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 luxurious consumption of fashion continued in more open and multi-directional ways as a result of the desire to express the differences among social classes that still existed in a popularized society. Third, the aspects of the luxury in the contemporary fashion of the twenty-first century may be seen in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SPA brands and in the qualitative success of the luxury brands. Fourth, although the consumption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uxury existed throughout each period, the number of consumers who can enjo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uxury has increased greatly in recent years. As individual tastes get diversified in modern times, the element of pleasure for self-satisfaction is more emphasized among the values of luxury.

      • KCI등재

        일반논문 : 신체활동과 인성향상을 위한 체육 수업모형 개발

        김윤희 ( Yoonhee Kim ),김병준 ( Byoung Jun Kim ),이옥선 ( Okseon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을 바탕으로 학생의 인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체육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신체활동 변화단계모형과 책임감모형을 적용한 신체활동 및 인성 변화 2차원 모형을 수업모형 개발의 이론 틀로 채택하였다. 신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인성요소를 반영하고, 학기별 또는 학년별로 체육수업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체육 수업 프로그램 20개(자신감, 책임감, 상상력, 몸마음관계, 창작, 감상, 경쟁/협동, 스포츠맨십, 봉사 리더십, 다문화 체험, 마라톤클럽, 휘트니스클럽, 댄스축제클럽, 줄넘기클럽, 스포츠리그클럽, 뉴스포츠클럽, MOVE클럽, 올림픽클럽, 드라마클럽, 커뮤니티클럽)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신체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여 신체활동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높은 활동을 바탕으로 체육과 교육과정에 수록된 주요 인성 덕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체활동 변화단계에 맞는 수업 지도전략을 제시하여 상위 단계로 신체활동이 향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동시에 활동 내용에 부합하는 인성 지도전략을 접목하여 인성향상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주제 20개에 대해 초중등학교에 각각 적용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지도안 60개가 개발되었으며, 신체활동과 인성 변화는 2차원모형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수업모형은 체육수업, 클럽활동, 방과후활동 등 신체활동 영역에서 인성교육을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current study outlined a new instructional model designed to enhance students` character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Two theoretical approaches, stages of behavior change model (Prochaska, & DiClemente, 1984) and personal-social responsibility model (Hellison, 2003), were integrated to build a two dimensional matrix. The matrix was used coherently as a guiding framework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diverse elements of the new instructional model. The model included character-centered and physical activity (PA) -centered programs. Each had 10 themes purposefully chosen based on the affective domain presented in the new national PE curriculum. Each theme was designed to represent character-related competences in the curriculum. A total of 60 lesson plans, 30 for character-centered programs and 30 for PA-centered programs, were developed to help physical educators adopt this new instructional model. Educators in physical activity fields would find the instructional model a valuable resource to enrich their effort toward character building in students.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의 소그룹 팀 활동에 대한 인식 연구

        김윤희 ( Yoonhee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소그룹 팀 활동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의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팀 활동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우선 개방형 문항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팀원 구성, 팀원 기여도, 역할 분담과 과제 활동 유형에 대한 의견을 폐쇄형 문항을 구성하여 154명의 외국인 학부생의 소그룹 팀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는 SPSS Statistics 24.0을 활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외국인 학부생이 인식하는 바람직한 팀원 구성 방법과 동료 평가에 대한 생각, 바람직한 팀원에 대한 인식 및 팀내 역할 분담에 대한 인식들을 면밀히 밝혀내었다. 학습자의 인식 분석 결과가 앞으로 외국인 학부생들이 소그룹 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활발히 참여하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foreign undergraduates on small group team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opinions of team activities, the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open questions. Based on this, the closed-type questions were composed of opinions on team members’ composition, team members’ contribution, role sharing and task activity types, and the perception of small group team activities of 154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verified by using SPSS Statistics 24.0. Through this study, I have closely examined the desirable team members’ composition method and peer evaluation, the perception of desirable team members, and the perception of role sharing in the team. The results of the learner’s recognition analysis will help foreign undergraduates to recognize small group activities positivel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 유아교사의 자기장학 수행과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

        김윤희(Kim, Yoonhee),오인희(Oh, Inhee)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7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이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를 밝힘으로써 자기장학 수행과 전문성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MMS를 통한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다중응답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장학수행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장학 저해요인으로는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 ‘효율적인 자기장학방법을 모름’,‘교사자신의 의욕 부족’, ‘환경적 여건 미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발달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자기장학수행정도가 높을수록 교사전문성도 높아지며, 자기장학수행이 교사 전체전문성발달에 미치는 하위영역은 자기장학평가로 나타났고, 지식과 기술의 발달과 자기이해발달에 미치는 영역은 자기 장학 평가로 나타났으며, 생태적 발달에 미치는 영역은 자기장학 실행과 자기장학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supervision performance on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hed light on relations between them, thus providing basic data to promote their self-supervision performance and professionalism development.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256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 Province via MMS. Collected data was put to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spons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2.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found that those who worked at a kindergarten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supervision performance than those who worked at a daycare center.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 longer career they had, the higher their self-supervision performance level became. Second, the biggest obstacle to their self-supervision was lack of time due to excessive workload, which was followed by no knowledge about efficient self-supervision methods, shortage of their own enthusiasm, and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order. Third, the study examined thei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found that those who worked at a kindergarte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han those who worked at a daycare center.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 longer career they had, the higher thei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level became. Finally, the higher their self-supervision performance level was, the higher their professionalism became. Of the subareas of self-supervision performance, self-supervision evaluation had effects on the overall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teachers. Self-supervision evaluation also had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skills and the promotion of self-understanding. Self-supervis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had impacts on ecological development.

      • KCI등재
      • 2-D 가변 추력편향 노즐 설계 및 유동해석

        김윤희(Yoonhee Kim),최성만(Seongman Choi),장현수(Hyunsoo Chang) 한국추진공학회 201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초음속 항공기에서 피치 편향이 가능한 추력편향 노즐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음속 항공기의 비행조건에서 터보팬 엔진의 기본성능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차원형태의 피치 편향이 가능한 추력편향 노즐을 설계하였다. 상용 해석프로그램인 Fluent 를 이용하여 축소확대 노즐에 대한 기본 유동특성을 파악하고, 피치 추력편향시의 유동특성과 비교하였다. A numerical analysis was peformed for the supersonic aircraft with variable pitch thrust vector nozzle. Based on the requirement of the mixed turbofan engine of the supersonic aircraft, two dimensional thrust vector nozzle with variable pitch angle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hrust vectoring nozzle, the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Fluent under the several pitch deflection ang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