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구둑이 낙동강 하구 표층 퇴적물 생규소(BSi) 분포에 미치는 영향

        김윤지,안순모,KIM, YUNJI,AN, SOONMO 한국해양학회 2017 바다 Vol.22 No.4

        본 연구는 하구둑으로 인한 육상으로 부터의 규소(Si) 플럭스의 변화가 하구 및 연안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연구로, 하구둑이 존재하지 않는 섬진강 하구와 하구둑이 존재하는 낙동강 하구 표층퇴적물 및 퇴적물 코어 분석을 통해 하구둑이 입도와 유기물, 그리고 BSi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2014년 11월과 2015년 3월 낙동강과 섬진강 표층 퇴적물의 입도, 유기물, BSi 분포를 조사하였고, 퇴적물 코어를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둑 건설 전 후의 퇴적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전반적으로 BSi 농도 변화는 퇴적환경에 따른 입도 변화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연하구인 섬진강 하구 표층 퇴적물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니질(실트질과 점토질), 유기물, BSi 함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조석의 영향이 미치는 중부하구 정점부터 그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 표층 퇴적물은 하구둑을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의 입도와 유기물 분포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하구둑 내측은 정점 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우안배수문 내측은 높은 니질, 유기물, BSi 함량을 보여 하구둑에 의한 물질 정체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하구둑 외측은 전체적으로 사주 쪽으로 갈수록 표층 퇴적물 내 니질과 유기물, BSi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낙동강 퇴적물 코어 분석 결과, 하구둑 건설 이후 입도와 유기물, BSi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대규모 공사에 의한 퇴적물 교란 및 하구둑에 의한 물질 유입량 감소가 원인으로 보인다. 우안배수문 인근 정점(ND2) 코어는 을숙도 대교 건설과 우안배수문 증설의 영향으로 약 38 cm 부근에서 퇴적상이 한 번 더 급격히 변하였다. 하구둑으로 인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BSi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고 정체효과를 보기 위하여 $BSi_{exc}$를 구한 결과, 자연하구인 섬진강 하구는 연구지역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BSi_{exc}$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중부하구 정점부터 음의 값을 보였다. 낙동강 하구는 하구둑을 기준으로 내측은 양의 값을, 외측은 음의 값을 보였다. 이는 하구둑에 의한 외측의 규소 플럭스 감소와 내측과 외측의 규조 종조성의 급격한 변화 등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우안배수문 외측 정점(ND2) 코어의 $BSi_{exc}$는 하구둑 건설 이후 일정한 음의 값을 보였으며, 이는 낮은 유속으로 인한 니질 퇴적의 증가가 원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하구둑 건설 이후 $BSi_{exc}$가 크게 변동하였으며, 이는 을숙도 대교 및 우안배수문 건설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Current study is a part of the efforts to assess the estuarine barrage effects on the coastal ecosystem induced by the Si flux changes. Surface sediments from Seomjin and Nakdong estuary and sediment cores from Nakdong estuary was analy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stuarine barrage on the distribution of grain size, organic matter (loss on ignition: LOI) and biogenic silica (BSi). The samples of Seomjin estuary were collected in March, 2015 and those of Nakdong estuary were collected in November, 2014. Generally, the longitudinal distribution of grain size, LOI and BSi in Seomjin estuary, natural estuary, was gradually changed. However mud (silt and clay), LOI and BSi increased from station mid-estuary where tide reaches year-round. The distribution of grain size, LOI and BSi in Nakdong estuary, however, were entirely differ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estuarine barrage. The mud percentage and LOI were low and consistent in inside of the barrage except R05, inside of right gate, yet those of outside of the barrage were higher and varied by adjacent sluices. Mud, LOI and BSi of ND1 and ND2 de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construction of Nakdong estuarine barrage due to disturbance of sediment and decrease of sediment supply. To exclude the physical effects by the barrage, BSi excess ($BSi_{exc}$) was calculated using regression equation of BSi-LOI and BSi-mud of Seomjin estuary. $BSi_{exc}$ of Seomjin estuary decreased gradually from upper estuary to lower estuary. $BSi_{exc}$ of Nakdong estuary were positive in inside of the barrage and negative in outside of the barrage. BSi retention and shift of species composition of diatom by the barrage would affect $BSi_{exc}$ distribution. Before the construction of Nakdong estuarine barrage, $BSi_{exc}$ of ND2 was negative and consistent owing to high mud sedimentation. After the construction, $BSi_{exc}$ of ND2, however, fluctuated due to continuous disturbance of sediment due to construction of Eulsuk bridge and East gate.

      • KCI등재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

        김윤지,유병민,이지영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2 No.6

        As the number of people who live indoor space has been increased, the interest in 3D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grown. Object-Oriented 3D indoor space modeling includ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performed in level of detail 4, and modeling data is able to be constructed based on various raw data which are as-built drawing, laser scanning, BIM data, and camera. 3D indoor space modeling has been worked based on established indoor space modeling process, and the result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indoor space pedestrian navigation, facility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and so on. However, the modeling process has limitations to perform indoor space modeling efficiently, because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wastes time at modeling 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purpose on supporting efficient indoor space modeling through analyzing the established process. Therefore, we define the requirements to evaluate the practical use of raw data and propose the verification method. In addition, as-built drawing which has been used in Seoul 3D indoor space modeling project will be applied to proposed method as a raw data . 최근 실내공간에서 활동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3차원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내공간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은 LoD 4 (Level of Detail 4) 수준의 객체지향 형태로 수행되고 있으며, 원시자료에 따라 준공도면, 레이저스캐닝, BIM데이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델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정립된 프로세스는 실내공간 모델링 데이터 구축작업의 기반이 되며 구축된 모델링 데이터는 실내공간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설물관리 및 재난관리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가능하다. 그러나 정립된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기반으로 수행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모델링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인 모델링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실내공간 모델링 수행 지원을 목적으로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를 제안한다. 기존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활용도 평가를 위한 필요요건을 정의하고,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서울시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준공도면을 적용하여 수행한다.

      •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Food Protection 참관

        김윤지,Kim, Yun-Ji 한국식품연구원 2005 食品技術 Vol.18 No.3

        본 학회는 92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식품위생학회로서 특히 microbial hazard인 foodborne pathogen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는 학회이기도 하다. 올해의 symposium은 Foodbioterrorism에 대한 내용, Yeast and molds에 대한 집중연구와 새로운 분석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는 microarray technology에 대하여 중점적인 발표가 있었다. 내년도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Food Protection은 Canada의 calgary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식품위생 분야에서 microbial hazard에 대해 상당한 권위를 가지고 있는 학회로 학회지인 Journal of Food Protection도 impact factor가 2.154로 applied microbiology 분야에서 매우 높고, 내년도 학술발표를 위한 초록마감은 내년도 1월초 정도이다.

      • KCI등재

        SDGs 연계 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의 탄소 발자국 인식

        김윤지,Kim, Yunji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2

        사범대학에 개설된 교양 강의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SDGs 13번 목표인 '기후변화 대응'과 연계하여 설계된 수업에서 42명의 예비교사들이 표출한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일상생활에서 탄소를 배출하는 실천 정도에 대한 체크리스트인 탄소 다이어트 다이어리를 작성하고, 탄소 발자국 그리기 활동을 통해 자신이 배출하는 탄소의 출처와 비율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전기 사용, 대중교통 이용, 쓰레기 처리 항목에서는 긍정적인 실천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수도 사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분석되었다. 탄소 발자국을 2-3가지 항목으로 표현한 예비교사들이 과반수에 달하여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탄소 배출 상황을 인식하는데 한계를 나타내었다.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지구의 환경문제를 교육하는 주체가 될 것이며, 예비교사들의 탄소 소양(carbon literacy)은 학생들에게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17가지 SDGs와 연계되는 다양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지속가능한 지구환경교육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We are to introduce an example of ESD in connection with SDGs through liberal arts courses opened at the College of Education. We analyzed the awareness of the carbon footprint expressed by 42 preservice teachers in a class designed in connection with SDGs 13 goal, 'climate action'. The pre-service teachers wrote a carbon diet diary, a checklist for the level of practice that emits carbon in daily life, and freely expressed the source and proportion of their carbon emissions through the carbon footprint drawing activity. In items of electricity use, public transportation use, and garbage disposal, the level of practice was positive, but water use was analyzed in a negative way. The pre-service teachers who expressed the carbon footprint in 2-3 items reached a majority, showing limitations in recognizing the carbon emission situation in their daily life. Pre-service teachers will be the main actors of education on the environmental issues of the earth at the school site, and the carbon 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will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students. We hope that various ESD programs linked to the 17 SDGs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global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장비 독립성 향상을 위한 웹기반 판서 소프트웨어 개발

        김윤지,오경우,최진혁,위승현,문미경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8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4 No.3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schools is gradually changing digital-smart and high-tech. At this time, electronic board system has come into wide use in school. However, since today’s electronic board system is distributed by including the writing software in the touching equipment, the equipment with built-in software is needed to write on the board. In addition, if the functions of the software are modified or changed, the software of each device must be reinstalled or updated.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web-based writing software to improve the independence of electronic board equipment. Because the web-based writing software can be used through the web on all the Internet and touch-typing enabled devices, the equipment independence reduces software maintenance costs and improves accessibility. 4차 산업명의 기술 발에 따라 학교에서의 교육환경도 스마트하게 변하고 있다. 교육을 한 장비들도 보다 첨단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칠이 교실환경에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지의 자칠은 터치가 되는 장 비에 서 소트웨어가 포함되어 배포되고 있기 때문에, 서 작업을 수행하기 해서는 소트웨어가 탑재된 장비 가 필요하다. 한 서 소트웨어의 기능이 수정, 변경될 경우 각 장비마다 일일이 소트웨어를 재 설치하거나 업데이트를 수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칠 장비의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하여 웹기반 서 소트웨어의 개발 내용에 해 기술한다. 웹기반의 서 소트웨어는 터치로 입력이 가능하고 인터넷이 되는 모든 장비에서 웹 을 통해 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비 독립성 통해 소트웨어 유지보수 비용을 이고 사용 근성을 높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