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acrolide-Resistant Mycoplasma pneumoniae from Children in Jeju

        김윤주,신경수,이근화,김영리,최재홍 대한의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2 No.10

        Mycoplasma pneumoniae is the major pathogen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children. The prevalence of macrolide-resistant M. pneumoniae (MRMP) is important owing to the limited alternative therapies for children. We analyzed 111 M. pneumoniae obtained from 107 children admitted for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t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10 and 2015. Macrolide resistance of M. pneumoniae was searched for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sequencing. Of 107 clinical M. pneumoniae, 11 (10.3%) carried macrolide resistance mutations in the 23S rRNA gene. All macrolide resistance mutations were A2063G transitions. We found an acquired A2063G mutation of M. pneumoniae from a patient during macrolide treatment.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severity did not differ between those with MRMP and macrolide-sensitive M. pneumoniae, with the exception of frequent pleural effusion in the MRMP group. The prevalence of MRMP (10.3%) in Jeju Island was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surrounding countries in East Asia. Previous antimicrobial usage and timing of diagnostic tes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of macrolide resistance of M. pneumonia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문화 수업 설계 방안-여성결혼이민자와 자녀를 위한 전래동화 수업을 중심으로-

        김윤주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4

        본고는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문화 수업 설계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여성결혼이민자와 자녀를 위한 한국어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하나로 전래동화를 활용한 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내용 중심 교수법의 특징과 유형을 살펴보고, 실제 언어-내용 통합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 북미 지역에서 주로 소개된 다양한 교수 모형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언어-문화 교육에서 전래동화의 역할과 의의에 대해 탐구한 선행연구들을 두루 살펴보았다. 아울러 수업의 제재로 사용될 전래동화의 교육적 활용 가치, 선정 기준, 개작 원리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와 자녀를 위한 한국어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요와 전체적인 구성을 구안하고, 전체 수업의 주제와 제재, 차시별 구성, 수업 단계별 활동과 실제적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preparing class design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The author delved into possibility of content-based Instruction model to class design and proposed an alternative. In in Chapter Two, the author reviewed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 value and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fairy tales to class teaching. In Chapter Three, discussion of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based Instruction models, value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 educational practice, and some criteria of fairy tales choices and remake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 Chapter Four, a substantive class design of multi-cultural teaching that uses traditional fairy tales is suggested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Outlines, structures, and flows of teaching class are included in the class design and various activities in each stages of class are also provided in i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program that is expanding since this provides class design, ideas for operation of class and substantiated teaching alternatives while lay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for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 고려인은 어떻게 조선인이 되었나? - 건국초 지방제도 개편을 중심으로

        김윤주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1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1 No.6

        조선은 지방사회의 하부조직인 속현과 부곡지역이 대부분 소멸되었고, 전국을 8도의 일원적 체제로 정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왕 – 관찰사 - 수령 – 백성을 축으로 하는 행정체계가 갖추어졌고, 그에 따라 관찰사와 수령의 위상과 권한이 신장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초기 강력한 지방통치체제의 구축을 통해 사회 통합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조선은 중앙에서 모든 지역으로 수령을 파견함으로써 지역과 민심을 통합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1차년도에는 태조∼태종대에 지방 행정 체계가 구축됨에 따라 국가 운영의 토대이면서 근본이지만 실상은 가장 아래에 있는 백성의 삶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살피고자 했다. 나아가 백성이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점차적으로 형성해 나갔던 면모를 파악하려고 했다. 이와 더불어 지방 사회의 변화와 관련된 내용을 모아서 사료집을 작성하고 있다. 그리고 2차년도에는 세종대의 위민 정책이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내재화하는 요소가 된다는 가정 하에 지방제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 KCI등재

        논리적 사고와 토의력 증진을 위한 웹기반 독서 교육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윤주,김현배,Kim, Yun-Ju,Kim, Hyun-Bae 한국정보교육학회 200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3 No.2

        독서 교육은 교과뿐 아니라 인성 교육에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인정되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많은 어려움으로 인해 독서 교육을 수행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현재까지 수행되어 오던 전통적인 교육 방법은 컴퓨터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그 방법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는 독서 교육 영역에서도 적용된다. 독서교육에서 논리적 사고와 토의력을 지속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시 공간적 제약 없이 다른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 서로간의 생각이 교환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독서 교육 시스템에 필요한 요소들을 살펴 보고 독서 지도에 따라 여러 가지 독서 활동을 할 수 있는 웹에 기반한 독서 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Reading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being important area in the education. But it has many limitations to achieve education effect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process in reality. In these days, traditional education methodology needs to be changed for the development of computer science and network communications. It is also applied at the area of reading education. To achieve educational goal in reading education, students must be able to interchange their views without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Through this circumstances, they can improve logical thinking and discussion ability. Therefore we need the reading education system which supports reading actions as well as reading instruction. In this paper, a web based reading education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improve logical thinking and discussion ability.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윤주,유형근,권순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test if this program improve career self-efficacy.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career self-efficacy is researched, analyzed,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It surveyed 172 fo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actual requirement. As a result, this program consist of 11 session to improve career self-efficacy: career exploration, career decision and career performance. It designed activity pooling and warehousing. It developed final program by pilot test, experts of theories, on-the-spot experts.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Career Self-Efficacy Scale” is used. The object of study are two classes of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composed of one cla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of the control group. The statistical results are analyzed by Mixed ANOVA. Experience report of groups and observations by counselors are analyzed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liability limits of quantitative result.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utilizing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shown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career self-efficacy.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those participants' response to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positive and accordingly it validated its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career self-efficac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 박인우(1995)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과정을 거쳤다. 이에 따라 조사 단계에서는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고, 울산광역시 N초등학교의 4학년 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프로그램 구성 시 반영하였다. 분석 및 설계 단계에서는 선행연구와 요구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목표를 정하고 전반적인 프로그램의 진행방법에 대한 기초 설계와 더불어 프로그램 활동을 선정하였다. 구안 단계에서는 전문가에게 검증 및 예비 적용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1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적용 단계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을 실험집단에,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에 각각 35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에는 1주에 2회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박명심과 김성회(2006)의 고등학생용 진로자기효능감 척도를 대상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했으며 양적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