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중 패킷 수신 RFID 시스템에서 EDFSA 태그 인식 프로토콜

        김윤민,이태진 대한산업공학회 2015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s a contactless recognition technology that identifies the tag information attached on objects. If multiple tags transmit the tag information simultaneously, collision occurs and the reader may fail to identify information of tags from composite signals. Recently,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which can separate tag information from composite signals is studied. In this paper, we propos an enhanced Dynamic Framed Slotted ALOHA (DFSA) protocol adapted for multipacket reception environment casued by SIC. We show that the enhanced DFSA protocol improves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legacy DFSA in terms of total tag identification time.

      • KCI등재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

        김윤민,장금성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4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간호전문직관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한 후 그 효과를 실질적인 간호교육현장 맥락에서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교육현장을 개선하기 위해 시도된 실행연구이다. 연구결과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은 간호대학 신입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이며, 액션러닝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습팀의 역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고, 학습자들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ction learning-based nursing professionalism course conducted in authentic classroom environment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group dynamics and the meaningfulness of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on learning-based course was useful in terms of helping to improve the critical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encourag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experiential, collaborative, and reflective learning. The major findings also implied the importance of group dynamics for successfully conducting action learning. Further action research studies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methods to improve group dynamics. Importan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skilled facilitators should be trained to more effectively manage and coordinate action learning teams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사회적 고립 완화 사업 구성요소와 성과지표에 관한 시론적 연구

        김윤민,김은정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goa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of a social isolation prevention project. To this end, w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sola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identified the causes of social isolation across different life stages. The review revealed that social isolation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comprising relational, informational, spatial, and psychological isolation. It is also influenced by a wide range of factors at the individual, community, and institutional levels. Thus, projects to prevent or alleviate social isolation inevitably have a complex nature, as they must address all these multi-layered risk factors. For the success of such a social isolation prevention project, clear final goa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effectively guide the entire process from planning to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major components of the social isolation prevention projec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1) intervention projects aimed at mitigating personal isolation risk factors, (2) projects emphasizing community-level responses to strengthen local community cohesion, and (3) projects building institutional system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olutions to isolation problems. We also proposed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evaluate the ultimate achievement of objectives for each project area. We hope that the project areas and performance indicator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useful guidelines for designing future projects aimed at alleviating social iso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 완화 사업의 주요영역과 성과지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고립의 개념을 검토하고, 생애주기별로 사회적 고립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였다. 검토결과 사회적 고립은 관계적, 정보적, 공간적, 심리적 고립 등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구성되고, 개인적, 커뮤니티적, 제도적 원인 등과 같은 다층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사업은 다층적 위험요소들 모두에 대응해야 하는 복합적이고 복잡한 성격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성격의 사업이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 기획과 실행, 관리와 평가의 전 과정에서 최종 목표와 성과지표가 사업 진행의 나침반 역할을 제대로 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고립완화 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다룬 기존의 실천적, 정책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사회적 고립완화 사업의 핵심 구성영역과 성과지표들의 속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고립완화 사업의 구성영역을 다음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개인적 고립위험 요인을 완화하고자 하는 고립대상 개입사업, 둘째, 커뮤니티적 차원의 대응을 강조하는 지역공동체성 강화사업, 셋째, 고립문제 해결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제도적 체계 구축사업이다. 이와 함께 각 사업영역별로 궁극적인 사업목표 달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들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업영역과 성과지표들이 향후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한 사업 설계 시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 분석 연구

        김윤민,류현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학교수학 Vol.18 No.3

        Understanding the belief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is essential in conducting and designing the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analyzed the mathematical belief of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istence factor, which is the belief about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following teacher direction factor, which is the belief about mathematical studies, activity involvement factor, and interest factor, which is the belief about self-concept, showed much connection with other mathematical belief factors. Second, the stereotype factor, which is the belief about mathematics, are affecting the following teacher direction factor. The process factor, which is the belief about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are affecting the activity involvement factor. Third, as for the comparison of the mathematical beliefs according to grades, only the stereotype and usefulness factors, which are the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the benefit factor, which is the belief about self-concep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as for the comparison of the mathematical beliefs according to majors, all the mathematical beliefs except for the confidence factor and benefit factor, which is the belief about self-concep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need to establish the mathematical beliefs that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hould have, and prepare various measures such as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and instruction-learning methods. 수학 예비교사의 신념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설계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문제해결에 대한 신념인 끈기 요인, 수학학습에 대한 신념인 교사주도 요인, 활동참여 요인, 자아개념에 대한 신념인 흥미 요인은 다른 수학적 신념요인들과 관련성이 많았다. 둘째,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인 고정관념 요인이 교사주도 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고, 수학문제해결에 대한 신념인 과정 요인이 활동참여 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학년별 수학적 신념 비교에서는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인 고정관념, 유용성 요인과 자아개념에 대한 신념인 유익성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전공별 수학적 신념비교에서는 자아개념에 대한 신념인 유익성 요인과 자신감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수학적 신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 예비교사가 지녀야 할 수학적 신념이 무엇인지를 정립하고, 예비교사교육과정, 교수 학습 방법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다중 패킷 수신 RFID 시스템에서 EDFSA 태그 인식 프로토콜

        김윤민,이태진 한국경영과학회 2015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s a contactless recognition technology that identifies the tag information attached on objects. If multiple tags transmit the tag information simultaneously, collision occurs and the reader may fail to identify information of tags from composite signals. Recently,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which can separate tag information from composite signals is studied. In this paper, we propos an enhanced Dynamic Framed Slotted ALOHA (DFSA) protocol adapted for multipacket reception environment casued by SIC. We show that the enhanced DFSA protocol improves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legacy DFSA in terms of total tag identification time.

      • KCI등재

        수학적 신념체계에 따른 수학 문제해결 활동 : 사례연구

        김윤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3

        수학 문제해결은 풍부한 사고 활동 경험이 요구되고, 학생들이 직접 문제를 해결하고 분석하는 학생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이다. 수학 문제해결 행동에 있어서 자원, 발견술, 자기통제, 신념이 문제해결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핵심적 요인이 된다. 또한, 학생들이 지니는 수학적 신념체계는 학생들이 수학을 바라보는 관점이 될 수 있고,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이 수학적 상황을 어떻게 볼것인지를 결정하는 여과기의 역할을 하고, 학생들이 지니는 수학적 신념체계는 수학 문제해결 활동의 정도를 예상하게 해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지니는 수학적 신념체계에 따라 수학 문제해결 활동이 어떠한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수학적 신념체계를 지닌 고등학생 3명을 의도적 표집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표집된 학생들은 보다 면밀하게 수학적 신념들을 조사 분석하였고, 각각의 학생들이 어떠한 수학 문제해결 과정 및 행동을 보여주는지 관찰 하고 분석하였다. 표집된 학생 3명은 각기 다른 수학적 신념체계를 지녔고, 수학 문제해결 활동 또한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수학 문제해결 활동 성패에는 수학적 신념체계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비정형 문제를 해결하는데 인내하고 의지를 나타내는데 수학 문제해결 신념이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수학 문제해결 성패에 수학적 신념이 상당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수학적 자신감은 학생들이 수학 문제해결 활동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도 하지만, 문제해결을 포기하는데도 영향을 미쳤다. Mathematics problem-solving requires an experience in thought activity and is a process for students to solve their problems. In actions for problem-solving, resource, heuristic, self-control and beliefs are critic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problem-solving. Moreover, the mathematical belief system that students hold can serve as a perspective towards math and also as a filter that determines how the student views the problem. It also allows us to anticipate the degree of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ctivity. As such,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ctivities according to students’ belief systems. To that end,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mathematical belief systems were recruited to conduct a case study. The sampled students’ mathematical belief system were all different from one another and their mathematical problem-solving method, too, took on different types. It was verified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mathematical problem-solv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mathematical belief system. Mathematical beliefs had an effect in particular on persistence and the willingness to solve non-routine problems and had an overall effect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problem-solving. In addition, mathematical confidence allowed students to continuously work on problem-solving activities, but also had an effect on when they gave up on the problem-sol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