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시력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용 음성 안내에서의 UX 가이드라인

        김유진(Yoojin Kim),안승준(Seungjoon Ahn),이태일(Taeil Lee)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최근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로 인하여 저시력자의 멀티미디어 감상 또한 보편화 되어 있다. 이들에게는 콘텐츠 시청을 도와주는 음성 안내(TTS;Text to Speech) 기능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국내 상황에서는 이들에게 필요한 기능을 연구하고 제공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간과 되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동시 제공하는 음성 안내 소리 크기 값과 적정 안내 음성의 길이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감상 시에 필요한 음성 안내의 적정 음량차이를 측정하고, 음성 안내의 적정한 정보의 양을 평가하였다. 각 정보의 특성과 형태에 따라 제공해야하는 음성 안내의 크기 또한 다르며, 저시력자와 비시각장애인이 습득하는 정보의 양은 다를 것이라는 가설 아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크게 두가지로, 저시력자 30 명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형태에 따라 제공하는 안내 음성을 음성/비음성으로 나누어 각 경우의 최적의 상대음량 크기를 측정하였고, 들려주는 정보의 길이에 따라 인지율이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음성 안내를 제공할 때, 음성/비음성 콘텐츠에 따라서 저시력자가 인지하는 음성 안내의 데시벨(decibel, dB)크기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콘텐츠 형태에 따라서 다른 크기로 음성안내를 제공해야 하며, 적정 정보의 양을 준수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Due to the recent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it is common with low-vision who multimedia enjoyment. The TTS is an essential function to them. However, the domestic situation has been overlooked. Although the study should provide the function of audio guidance. In case of providing audio guidance with multimedia contents simultaneously, we need a valid guideline of audio margin between two sounds and optimum amount of auditory informa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alid sound margin between multimedia contents and audio guidance. The other purpose is to find out the optimum amount of auditory information. We conducted user test under different tasks. The first task was set according to audio form (Verbal/Non-verbal) and types (Contents/ Guidance). The other is organized for two groups which are ordinary and low-vision people. We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audio guidance level according to the form of multimedia contents. And we also found that the optimum amount of auditory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 청년 여성의 문제음주 변화추이와 관련요인 분석

        김유진(Kim Yoojin),송예원(Song Ye Won),김동현(Kim Dong Hyun),윤두경(Toon Doo Kyoung),안은지(An Eun ji) 한국고용정보원 2022 세미나 자료 Vol.- No.-

        목적: 본 연구는 최근 5년(2016-2020년) 동안 청년여성의 문제음주, 스트레스에 따른 문제음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문제음주에 대한 변화추이를 확인하고,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요인, 스트레스, 경제적요인의 측면에서 확인함으로써 문제음주 요인을 가진 청년 여성을 선별하고 접근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청년패널조사의 10~14차 조사를 활용하여 만20~39세의 청년여성 18,6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청년여성의 문제음주, 스트레스에 따른 문제음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문제음주에 대한 변화 추이를 알아보기 위해 시계열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대상자들의 하위그룹에 따라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청년 여성의 문제음주는 2018년 3.7%에서 20220년 6.7%로 최근 3년간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났다. 문제음주는 높은 스트레스(OR=6.07, CI=4.85~9.25), 낮은 교육수준(OR=1.55, CI=1.14~2.12), 부모와 비동거(OR=2.18, CI=1.49~3.21) · 독립(OR=2.75, CI=1.96~3.85)이나 미혼(OR=2.71, CI=1.83~4.01), 이혼(OR=3.04, CI=1.10~8.38), 낮은 소득수준(OR=1.40, CI=1.03~1.09)일 때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남성에게 초점을 두어온 문제음주의 해결적 접근을 벗어나 청년 여성을 포함한 다양한 문제음주 요인을 가진 대상자를 선별하여 이에 알맞은 문제음주의 예방적 교육 · 홍보 활동과 접근성을 발굴하는 정책적 흐름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성인의 대인관계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 Yooji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성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자료 중 만 18세 이상의 발달장애성인 71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달장애성인의 대인관계는 일상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경로를 긍정적 자아개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발달장애성인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대인관계 기술 교수 프로그램의 확대,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 내용을 포함하는 대인관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used the data of 718 adults from the Survey on the Work and Life of th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20.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at the path was mediated by positive self-concep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more interpersonal skil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and that self-concept enhancement should be included as a part of the interpersonal skills training.

      • KCI등재

        한국과 핀란드 담임교사들의 생활지도에 대한 인식 비교

        김유진(Kim, Yoo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5

        이 연구는 한국과 핀란드의 중등교육 담임교사가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그 역할을 수행함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살피기 위해 교사의 여러 역할 중생활지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두 나라의 담임 교사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인식을 비교 및 재고하였으며, 교사 역할 수행과 학교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각국 5명씩, 중학교 담임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화상 전화, 직접 대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 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 담임 교사들에게 생활지도는 가장 우선적인 과업이며 학생과의 관계 형성에 좀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핀란드 교사들에게는 교과 지도를 잘하는 것이 주요 임무이자 교사로서의 최대 관심사였다. 둘째, 두 나라 모두에서 담임교사들은 생활지도를 위한 좀 더 나은 시스템과 업무 환경이 구축되길 바랐는데. 특히, 학부모들의 학교나 교사에 대한 태도, 생활지도를 위한 시간과 자원 부족, 담임교사들의 과중한 업무들과 급여에 관한 내용이 어려움으로 언급되 었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두 나라 교사들 간 중요한 차이점은 교사와 학교 교육을 향한 사회적 신뢰, 그리고 사회와 가정으로부터 학교 교육에 전가되는 책임에 대한 인식 속에서 나타났다. 이에 관한 문제들이 담임 교사의 생활지도를 어렵게 하거나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explores and compares how the homeroom teachers in Korea and Finland perceived their roles and difficulties of rol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school guidance, which is one of main tasks for the teachers. It aims at drawing implications and improvements on homeroom teachers’performance and schooling in both countries. As for the methods, it employed thematic analysis approach through ten homeroom teacher interviews in the lower secondary school level. As a result, the school guidance was the top priority and relation with students was more valued for the Korean teachers, while teaching subject was the main task and more concerned for the Finnish teachers. Secondly, the homeroom teachers in both countries hoped to improve school systems and working environment to perform school guidance properly. They felt difficulties and challenges, for instance, with regards to parents’ attitudes, lack of resources and tight curriculum.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aspects through the whole context from the data concerning societal trust toward teachers and schooling. Furthermore, shifting responsibility from society and home to schools and a teacher seemed to be problematized in both countries.

      • KCI등재

        권정생 동시 연구

        김유진(Kim Yooji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6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9

        In this thesis, I researched the aspect of rewriting of Gwon-Jeongsaeng’s children’s poetry considering a part of Sambae Chima [Hemp Skirt] is the first edition of the poetry included at the 3rd chapter of Umyeni Sasinen Geu Naraenen [In the Country Mom lives]. As the result of research, it was proved that the re-writing process of Gwon Jeongsaeng’s children’s poetry has two major directions, that is regarding the content, the basis of realism was emphasized, and regarding the structure, the poetic word and plot were getting simplified and standardized. It was not just the progress of writing performance or natural consequences inrewriting but to implicate more than that. Gwon Jeongsaeng had rewritten the poems with the obvious goal to achieve the realism. However, when I evaluate each poem only in the critical point of view, the changes of emphasizing themes and simplifying structures had harmed the literary value of his poetry. It is not only the aspect of the change of Gwon Jeongsaeng’s children’s poetry but also the critical point to review the characters and limits of the children’s poetry in 1980s based on the realism.

      • KCI등재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의 특성 및 경제활동상태와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유진(Kim, Yoojin) 한국직업재활학회 2021 職業再活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의 특성을 살펴보고, 경제활동상태와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9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1,334명 중 비경제활동인구 96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가 주로 하고 지내는 활동은 쉼(66.2%)이었고(‘심신장애’ 39.2%, ‘쉬었음’ 27.0%), 구직을 하지도 취업을 희망하지도 않는 이유로는 장애로 인해 업무 수행이 어렵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취업지원 사항으로는 ‘특별히 없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경제활동상태과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여부, 장애등급, 초중고등학교 유형, 최종학력이 발달장애 인구의 경제활동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과 주관적 근로가능 수준은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성인 대상 실태조사 중 가장 규모가 큰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그동안 고용정책에서 배제되었던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의 실태에 대해 살펴보았고,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고용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ir economic activity and their intent to work. The data of 964 economically inactiv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Economic Activity Status for the Disabled(2019)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The most frequent activity that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ot engaged was ‘taking a rest’(66.2%), and the most frequent answer for the reason they are not actively looking for a job nor even wish to have a job was ‘having trouble with work due to their disability’.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economic activity status were age, being/not being a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disability severity, type of elementary/secondary school, education level.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intent to work were age and subjective work 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designing disability employment policies particularly for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has long been neglected in employment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