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스터디즈(Global Studies)란 무엇인가?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3

        지구화(Gobalization)는 글로벌스터디즈와 글로벌히스토리의 기본 테제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자되는 지구화는 세계의 일체화와 역사의 현재화를 동시병행(同時竝行)하는 역사적 현상일 뿐 만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다. 이 지구화 현상들은 인류가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했던 파급력과 동시다발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개념화(master concept)는 글로벌스터디즈 뿐 만 아니라 글로벌히스토리의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 핵심작업이라 할 수 있으며, 그것은 나아가 기타 인접학문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스터디즈란 무엇인가? 그 어의가 지닌 역사학적 의미를 찾아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글로벌히스토리의 맥락에서 지구화에 주목한 매즈리쉬, 브로델, 이리에 같은 역사학자들의 방법론적 어프로치를 통해서 검토해보았다. 그것은 오늘날 우리 밖의 글로벌스터디즈가 어떻게 지구화를 개념화하고 학제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의 일환일 뿐 만 아니라, 지금까지 글로벌 연구에서 간과되고 있던 역사학적 관점에서의 글로벌스터디즈 연구에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아직까지도 냉전적인 사회과학 담론과 국가/민족중심 담론 및 지역화 담론에 물들어 있는 우리 학계와 교육계의 현실을 진단하고 치유하는 반성적(reflexive) 대안이 구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Global Studies, Globalization, These two terms is concerned to be the core of Global Studies, But It’s not able to represent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academic field of study. Therefore Some of Historians also must have interests in New Global Studies to make bette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globalization. The reason why is that novel idea created by global historians in academic world oftenly might have been confronted the Nation-centered history paradigm which suppresses the research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cs. One alternative mathod to resolve this paradigmatic confrontation is endured to connect Global Studies with global history as a main stream field of New Global Studies. In this article, I was to examines the historiological meaning of global studies and whether and how it differs from the recent waves of globalization studies based on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disciplines. The first cahapter of this paper discusses the historical meaning of global. and the second cahapter turns to historical meaning global in globalization studies. for these aims, I was tried to suggest that global historians like Bruce Mazlish , Fernand Braudel and Akira Iriye ect., take into account of the globalization and then they engaged with the initiative of global histor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azlish notes the distinction between world history and global history which is very instructive. He explains that the terms ‘world’ and ‘global’ occupy a different valence. Fernand Braudel said that World could mean a specific geographical conception, a period in time or large scale systems or ‘worlds constructed by trade and culture’. On the basis of this perspective, the definition of global history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focuses on the history of globalisation; the second part signifies processes that are best studied on a global, rather than a local, national or regional level. All above definitions help to clarify the Global Studies approach to a significant extent. In short, Global historical approach takes this a step further where multi and interdisciplinary orientations occupy centre stage since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emanating from a variety of social sciences - sociology, political science, economics, etc - as well as the natural sciences are indispensable to particular inquiries.

      • KCI등재

        영일동맹과 한일병합의 글로벌 히스토리, 1905-1911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4

        전지구적 국제관계에서 보면, 러일전쟁이후 동북아시아는 만한문제를 둘러싸고 영일동맹 중심의 4국협 조체제가 중핵에 놓여있었고, 미국이 주도하는 중재협상체제, 독일의 독미청동맹구상이 그 외연을 이루고 있었다. 그 곳은 세력균형의 동맹협조체제와 국제법의 세계 체제가 작동하고 있는 접속지역이었다. 이 트랜스내셔널한 지역에서 일어난 일본의 한국강제병합은 단순히 한반도의 식민지화에 그치는 지역적 사건이 아니었다. 한일 병합은 동아시아 세력판도, 열강의 세계정책 뿐 만 아니라, 이후 제국주의의 세계체제를 변화시킨 중요 기점으로 작동했던 글로칼한/세계사적 사건이었다. This article is to reconsider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nglo-Japanese Alliance &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from 1907 until 1911 from the global historical perspective. In this research, I specially focus on the Interaction of British entente diplomacy and Japanese foreign policy in Korea & Manchuria in this period.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has been not only influenced by the Quadruple system based on the Anglo-Japanese Alliance, but also controlled by the Intervention and the Restriction of Germany and America. Such actions were proved by Kaiser’s Plan for a German-American-Chinese Alliance, the Root-Dakahira Agreement, Knox’s Neutralization Plan for the Manchurian Railway, the 3rd Anglo-Japanese Alliances and the Anglo-American Arbitration Treaty after the Japanese Seizure of Korea. All these measures revealed that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Quadruple system based on the Anglo-Japanese Alliance, It was the Imperial struggle for Reestablishing the Sphere of Influence in NorthEastern Asia. But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had not been completed in 1910. The reason was that the aftermath of the Annexation of Korea was to increase the threat of war between America and Japan. This caused the 2nd Russo-Japanese Conven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Quadruple system. Counteraction was immediately taken by the Taft administration suggesting an Arbitration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England. In the aftermath of this, the 3rd Anglo-Japanese Alliance was concluded in 13th,July,1911. In this course, the clauses related with Korea and the Russo-Japanese War were eliminated. It was the last diplomatic action for the Korean Problem taken by Japan. In these measures, Korean problem was officially resolved. In the course of events, the Anglo-Japanese Alliance made by British entente policy was unwavering support. But the conclusion of the Arbitration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England was to bring about the change of the Quadruple Entente system based on the Anglo-Japanese alliance. Now Anglo-Japanese relations were estranged, but the Anglo-American diplomatic relationship was renewed.

      • KCI등재

        초등학교의 역사교육을 위한 세계사 하기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3

        지구화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세계사교육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의 세계사교육은 더욱 위축되고 있다. 실제로 세계사가 교과로 편성된 1950년대부터 교육과정이 개편될 때마다, 역사학계와 역사교육학계는 세계사교육의 당위성을 강조하며 교육과정의 정상화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세계사교육의 위기는 계속되고 있다. 이 글은 세계사교육이 축소, 고사 위기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역사교육과정에서 세계사가 차지하고 있는 역사적 위상을 확인해 보고, 세계사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관련된 담론들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세기 전환기의 역사학이 제기한 비판적, 반성적인 입장에서 사회과를 구성하는 역사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지구화 시대의 역사연구 동향과 관련하여 우선 지금부터라도 초등학교 사회과에 세계사 학습 과정이 수용되어야만 하는 필요성과 당위성에 관하여 논해 보았다. 이러한 작업은 세계사 교육의 현재를 반성하고 지속가능한 세계사교육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Despite the ongoing need for world history education suitable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our world history education is now weakened further. World history was actually organized as a subject in the 1950s. Since then, the curriculum has been reformed. Historical academia and history education academy have emphasized the legitimacy of world history education. In the course of education, normalization of world history education has been achieved. However, the crisis of world history education continues. This article confirmed the phase of world history education in the course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problem of world history education to see the discourse of world history education.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related to history education process in social studies were first examined from a reflective standpoint. Based on thi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world history learning proces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are then discussed. These tasks will help reflect the current world history education and design sustainable world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핼퍼드 J. 맥킨더와 영국외교정책의 지정학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1

        영국의 정치지리학자이며 교육가인 매킨더(Sir Halford John Mackinder)는 신지리학을 제창하고, ‘심장지대’(heartland)의 지정학적 개념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20세기 초 지리학의 학문적 위상을 높이고, 교육체계 내에서도 지리학의 위상 확보에 노력하였다. 그의 신지리학은 지리학이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의 교량역할을 하도록 만드는데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정학적 사고는 이후 오늘날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는 유라시아를 「역사의 지리적 중심축」으로 묘사한 매킨더의 1904년의 왕립지리학회 발표를 중심하여, 20세기 초 영국 외교정책과의 연속성을 고찰해 본 것이다. 그가 「역사의 지리적 중심축」을 착상한 1903-1904년 겨울, 영국의 국제적 정황을 분석키 위해 먼저 대영제국의 세계정책을 글로벌한 관점에서 접근해보았다. 그리고 이를 전제로 영국의 외교정책과 동아시아 위기와의 상호관련성을 고찰하였다. 기실 에드워드 7세 시대에 외교정책의 구성요소들에는 지정학적인 코드가 함께 하고 있는데, 매킨더의 테제가 이에 직간접적으로 연계되고 있었음은 주목된다. 당시 그의 논거는 영국이나 중앙유라시아의 세력, 양자가 독일의 위협에 직면하여 협조해야할 이유가 증대되고 있음을 논하고 있었다. 영국의 영일동맹과 영불협상의 체결에 따른 유럽협조체제의 변화는 바로 러일개전후 극동 및 유럽정세를 반영한 국제관계의 단적인 사례였다. This article is to reconsider the geographical pivot of history by setting it in the context of the international history and the British foreign policy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a connection with world history, Mackinder’s argument is well grounded in the fundamental elements of British foreign policy and more directly relevant. He emphasized a Russian threat to British interests, but considered that Germany alone only posed a minor threat. Such analysis seems to be in tune with British geopolitical culture around 1904, and with the ideas of the British Prime Minister Arthur Balfour. In fact, Mackinder argued that a combination of Russia and Germany would represent a major peril for Britain. In this paper, Especially I was to be involved studying the period around the Russo-Japanese War as well as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y of British foreign policy, and which has focused on how central imperial issues were in the formulation of British foreign policy until 1905. It will involve an analysis of the British diplomatic code and Edwardian foreign policy between 1902 and 1905; and finally, will look in some depth at the situation from the Anglo-Japanese Alliance to the Entente Cordiale. And I was to attempt to reassess the impact of the geographical pivot of history and of Mackinder’s thought on British foreign policy around the Russo-Japanese War.

      • KCI등재

        세계 만들기(worldmaking)를 위한 역사교육의 도전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3

        오늘날 하나의 세계 , 하나의 지구 만들기를 위해 공유된 역사를 만드는 것은 글로벌한 연계를 중요시하는 지구화시대의 역사 연구와 역사교육의 과제이기도 하다. 그것은 지구의 서로 다른 시공간들 속에서 인간사(人間事)에 대한 역사 지식이 증대되고, 방법론적 도구와 해석의 틀도 다양해졌고. 지구화의 여파가 기존의 역사지식의 헤게모니를 변화시켜 주변부의 역사지식이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국가나 지역중심의 역사들(histories)을 넘어서 전 인류가 공유하는 역사를 만드는 것은 하나의 세계 만들기를 위한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를 위해 역사학의 영역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본고는 인류가 하나가 되는 세계 만들기를 위한 역사들을 어떻게 구상하고 교육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관점에서 시도적인 접근을 모색해 본 것이다. 특히 트랜스내셔널(transnational)의 개념화, 역사화 및 역사적 맥락화의 가능성을 역사교육과 연계하여 시도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그 긍극적인 목표는 기존의 역사담론들에 대해 일차적인 의문, 즉 비판과 자기 성찰을 제기함으로써 지구화 시대에 한국의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에 관하여 타자의 역사들과 상호 접속하게 만드는 계기를 만들려는 것이다. 한편, 역사가와 역사 학습자에게는 현재적 시각에서 과거의 기억의 이야기보다는 과거의 사실을 탐구하고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는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역사들을 구상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한편, 자국사에 편중되어있는 현재의 역사교육에 있어서 세계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초 중 고 및 대학의 연계성을 고려한 세계사 연구와 교육과정의 개설 및 관련된 제반 조치의 시급성을 재고케 하려는 것이다. 단 본 연구는 국제관계와 지구화의 접속 가능성을 역사화하려는 연구자의 지속적인 연구 경험에 입각한 개인적인 관점에 국한된다. History education that may be shared by people globally, can be a fundamental condition for world-making.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istory today goes beyond nation-centered history to trans-nationalization of which histories of world communities interdepend on. It is desirable as well as inevitable for the future of mankind. Understanding trans-nationalization and world-making of histories strengthens such a dynamic global relationship.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establish frame of reference for world-making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national history. It emphasizes practical and ideological limits in the conceptualization of trans-nationalization. Conversely, it seeks the possibility of historicization of transnational change in histories. It raises the necessity of trans-national and global perspectives and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in history education. It also envisions a frame of reference for trans-national history based on interdisciplinary and comprehensive collaboration among academic disciplines

      • KCI등재

        한국 사회과교육 70주년의 회고와 전망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한국의 사회과/사회교과(social studies)는 한국의 사회현상을 진단하고, 사회생활의 지혜를 함양하는 주축(主軸)교과로서 역사적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 같은 위치는 한국 사회과교육의 성립과 발전 뿐 만 아니라, 사회교과의 연구와 교육 전반에도 역동성을 부여해왔다. 특히 한국사회과교육의 태동에 있어서 연구학회의 역할은 결코 간과될 수 없다. 왜냐하면 연구학회가 지향한 바, 한국적인 사회과교육의 토착화를 위한 개척자적 정신, 학제적 융합을 위해 열어 놓은 개방적인 학문연구의 장, 그리고 한국사회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인 도전 정신은 한국사회과교육의 과거,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동력이 되리라 예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본 학회를 거쳐 간 수많은 전 현직 교육자와 연구자들의 면모를 둘러봐도 충분히 드러난다. 그들은 동시대와 함께하거나, 앞서 나아가 시대와 사회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교육의 장에 실천하려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국가건설을 둘러싸고 전개된 식민주의, 근대화, 민족/국가주의와 탈식민주의의 중층구조에서 발전론적 또는 종속주의적 담론의 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근현대적 발전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평등화와 병행된 포스트모던과 글로벌리제이션의 역사적 전환을 겪으며 이데올로기적 해체의 탈냉전과 글로벌 사회의 지구시민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담론들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반영되었고, 총론중심적이며 영역간 분과적 통합교육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현장과의 괴리 뿐 만 아니라 학교급 및 대학 교원 양성 체제의 왜곡이 심화되었다. 게다가 민주화 이후에는 사회교과의 영역 간 갈등과 분쟁이 노골화되어 사회과교육은 혼란과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진단과 치유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주지하다시피 작금의 사회과는 어느 교과보다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시대적 변화 뿐 만 아니라 역사적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지난 세기말의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과 새로운 세기의 글로벌 전환(global turn)은 인간의 자유와 평등과 우애에 기초한 인권의 존중,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통한 지구 환경의 보존으로 수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을 적극 반영한 새로운 사회과의 역동성은 수렴과 확산이라 판단된다. 그 지향점은 하나된 지구와 하나된 사회와 하나된 인간이다. 사회과를 통해 학습자가 인간주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사회와 국가의 갈등과 대결보다는 조화와 정의와 평화를 이루어내고, 세계인류가 국적, 종교, 언어 피부색에 관계없이 하나가 되어야함을 체득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한다는 오만함을 반성하고 새로이 자연환경의 질서와 생명을 존중할 수 있다는 이상이 사회과교육의 현실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전지구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사회과교육은 더 이상 분절적인 지식의 축적에 억매일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기 위해 글로벌한 사회와 교육을 지향하는 창조적이고도 미래에 지속가능한 능동적 학습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것이 홍익인간과 지구시민의 길을 지향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a key not speech which hel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on August 20th, 2016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t consists of three chapters. The 1st chapter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Social Studies &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The 2nd chapter is to the historical phase and task of Korean Social Studies related on the curriculum. The last is to be the use of global approach as a scholarly nexus in social studies. All of these are to make the national standard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global age. The aim is to become a human, one society & one Earth. I think it might have been oriented in the way of Hongikingan(홍익인간) and global citizen in the global age. Hongikingan (hanja: 弘益人間) is the unofficial national motto of South Korea. The phrase is English translated as “Benefit Broadly the Human Worl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스터디즈(Global Studies)의 지평 확대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오늘날 글로벌 스터디즈는 학문 분야들을 상호 연결하는 학문적 고리가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글로벌 스터디즈(Global Studies), 지구화(Globalization), 지구시민의식(Global Citizenship)으로 대변되는 그것은 학문과 교육 영역의 새로운 총체성을 대변할 수는 없지만, 각 영역의 상호작용과 새로운 동향을 반영하는 하나의 양식을 발전시킬지도 모른다. 이에 연구자와 교육자들은 이에 대한 관심의 폭을 넓혀야 한다. 왜냐하면 최근의 학문 및 교육 영역에서 개발되는 새로운 아이디어는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억압하는 국가적 패러다임과 대치하는 일이 점차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 패러다임적 대치(paradigmatic confrontation)를 해소하는 하나의 대안은 글로벌 스터디즈를 학문 및 교육 영역의 주류 분야로 발전, 확대시켜가는 것이다. Today, Global Studies is to have the possibility where becomes the scholastic interlinkage connecting with the areas of study. Global Studies, Globalization, Global Citizenship. These three terms is the core of Global Studies, But It’s not able to represent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academic field of study. Even to being like that, It may reflect new important trends and develop a synthetic patten by connecting with the interaction of study field. Therefore Social Studies researcher must have interests in New Global Studies to make better understanding Social Studie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reason why is that novel idea created by social studies researchers in academic world. Often it might have been confronted the Nation-centered paradigm which suppresses the research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One alternative method to resolve this paradigmatic confrontation is endured to develop Global Studies as a main stream field of Social Studie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지구화 연구(Global Studies)와 사회과교육의 과제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4

        한국의 사회과교육은 사회 · 문화의 시공간적 변화에 뿐 만 아니라 역사적 변화(historical change)에도 민감해야 한다. 왜냐하면 21세기의 지구화(globalization)는 지구화의 역사화(historicization)로 수렴되며, 역사들(histories) 또한 지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지향점은 하나의 지구, 하나의 세계와 하나의 인류이다. 따라서 사회과 학습자가 인간주의적 사고를 재인식하고, 세계의 인류가 하나가 되어야함을 체득하며, 인간이 자연환경과 함께 질서와 생명을 존중하려는 이상을 사회과교육의 현실로 구현해야 할 것이다. 그 선험적 사례 중에 하나인 하나의 지구, 하나의 세계와 하나의 인류를 위한 글로벌 히스토리 구상은 글로벌시민교육을 지향하는 사회과교육에도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본고는 지구화 연구를 지구화의 역사화와 역사들의 지구화 연구로 개념화하고, 지금까지 국제관계사와 글로벌히스토리 연구 경험을 토대로 한국의 사회과교육학과 역사학에 대한 문제의식을 단초로 하여 그 과제와 방법을 논해 본 것이다. 그 첫 번째 과제는 재개념화(Reconceptualization) 작업이고. 두번째는 역사화와 역사적 맥락화(Historical Contextualization)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학제적인 통합을 모색하는 사회과교육의 학문 간의 경계를 넘어 하나의 융합을 모색하는 사례가 될 것이며 오늘날 학교교육의 목표인 지구시민교육에 일조할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구화와 국제관계 및 글로벌 히스토리의 역사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과교육과의 접속에 국한될 뿐이다. In this paper, I’ll try to discuss the usefulness of the global studies and its access to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Global Age. The premise is that global history can be a ueful tool. To this end, I first raised the need for global research by taking examples of historical research on the Russo-Japanese War and Global History. Next, I focused on the relevance of global citizenship and described the trends in global studies and global history for global citizen. Based on the above arguments, two tasks of global studies were to be raised. The first task of global studies as an integration of academic fields is re-conceptualization. The second task is historicization and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Its ultimate goal is to become a cornerstone of the search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eyond the boundaries of social studies, and it helps cultivate global citizen education, which is the goal of today"s school education.

      • KCI등재

        간도문제와 간도협약의 글로벌 히스토리, 1907-1909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1

        글로벌 히스토리의 관점에서 보면, 러일전쟁이후 그레이트 게임의 종식을 빌미로 만주와 한반도의 접속점인 간도를 선점하려는 제국주의 열강의 이권쟁탈전은 단순히 청일간의 국한된 지역 분쟁이 아니었다. 그것은 일본의 한반도강점의 결정적인 전기가 되었을 뿐 만 아니라, 제1차 세계대전의 동인이 된 모로코 위기, 발칸위기와 견줄만한 만주와 한반도의 보더레스(borderless)지역에서 발생한 제국주의 이권쟁탈을 둘러싼 트랜스내셔널한 사건이었다. This aticle was to reconsider the Gando Problems and Gando Agreements occurred from 1907 until 1909 with the global historical perspective. This work will be revealed clear that Gando Problems was not merely territorial disput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ut a issue of global affai result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new worldwide diplomatic system which has been made by Western Powers and Japan. In this reserch, I specially focused on the connection and interaction of the Western Power’s Imperial World Politics which was overlooked until now. It will be broaden the horizon of Gando Studies. Brief summary is as follows In 1907, Quadruple Entente System was contructed between Anglo-Japanese Alliance and Russo-French Alliance . It had brought about the end of “the Great Game”. With the results, Quadruple Entente System was constructed in Asia, and Triple Entente system were operatered in Europe. It has been forced to threaten German and restricted the American expansion in Asian Pacific. Such an Diplomatic Changes in East Asia were influenced on Realizing of the Japanese penetration project toward Manchuria and Gando region from 1907 until 1909. In this period, Manchurian-Korean Problem and Gando Problems had been not only influenced by Quadruple system, but also Kaiser’ German -China -American Alliance Connection and Theodore Rooservelt’s Initiative on the Root-Dakahira Agreement. After the Root-Dakahia Agreements, Japan gave up the claim on the Gando region. But Its main goal was to realize the Annexation of Korea. Therefore Gando Problems were only the Japanese’s second best policy to secure the bridge head for penetration in Manchuria, as well as the bargaining point of Manchurian-Korean problem between Japanese and China. Consequently Gando Agreement in 1909 was the same as an Japanese bargaining chip for establishing the real power in Korea and securing the interest for Manchurian railway concession. It looks like a by-product of the settlement of the post Russo-Japanese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