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웹접근성 지침에 따른 사이트와 도구 제작

        김웅재 ( Woong-jae Kim ),오지환 ( Ji-hwan Oh ),이명훈 ( Myung-hoon Lee ),이민성 ( Min-seung Lee ),정수지 ( Suji Jung ),지민규 ( Min-kyu J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웹 접근성은 장애인의 시각에서 정보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격차를 줄이는 것을 뜻한다. 현재 웹 접근성에 관한 정책은 관공서, 공기업을 시작으로 시행되어 왔던 웹 접근성 준수 의무가 2014년 올해부터 제재가 강해졌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3 자료에 따르면 국내 SNS 이용률은 일 반 국민 100% 대비 28.8%로 일반 국민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모바일과 SNS의 등장이 웹 환경에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문제는 너무 빠르게 소비되고 빠르게 콘텐츠들이 생산되어 지는 프로슈 머의 환경이 정보적 소외계층의 이용률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이런 문 제들을 웹 접근성 표준에 문제가 되지 않는 사이트를 만들고 편리한 웹 접근성 도구들을 제공하자라 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Means reducing the gap to prevent discomfort to use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eb accessibility is disabled. The current was strong sanctions that have been implemented from the year 2014 to the beginning Government, the public policy of the Web Accessibility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obligations. According to 2013 data fo the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is only half that of the general public by 28.8% to 100% of the domestic SNS public utilization. Began to cause a change in the web environment and the emergence of mobile SNS. And i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utilization of the informational content to be neglected Prosumer the environment of their production is consumed too quickly, rapidly problem. Let`s start from the idea that we provide a convenient tool for Web accessibility is not an issue on the web site accessibility standards of the project is to create these problems.

      • KCI등재

        이른바 ‘합의’가 양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소고

        김웅재 ( Kim¸ Woong-jae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1

        형사절차의 실무상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일정한 금전을 지급하기로 하고 피해자는 그 대가로 수사기관이나 법원에 처벌불원 의사표시를 해 주기로 하는 약정이 ‘합의’ 또는 ‘형사합의’라는 이름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형사합의가 성립된 경우 피고인의 반성, 피해회복,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 등을 이유로 이를 양형상 중요하게 참작하고 있는 것이 실무의 태도이다. 그런데 ‘합의’ 또는 ‘형사합의’라는 용어는 그 개념이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양형에 고려되는 요소가 무엇인지 정확히 표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적어도 법령이나 판결문등 공식적인 문서에서는 ‘합의’라는 용어의 사용을 가급적 자제하고, ‘피고인의 반성’,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 ‘피해회복’ 등으로 개별 양형요소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합의’를 양형에 중요하게 고려하는 실무의 태도는 책임과 예방의 관점 또는 형사정책적 관점 등에서 그 정당화근거를 일부 찾을 수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있다. 먼저, 실무상 ‘피고인의 반성’은 피고인의 낮은 재범위험성의 징표로 취급되어 양형상 참작되고 있으나, 반성과 낮은 재범위험성 사이의 상관관계는 아직 입증된 바 없을 뿐만 아니라, 반성의 개념 자체의 불명확성과 피고인에 의한 기망위험성 등으로 인해 그 존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를 양형에 참작할 때에는 신중한 태도가 요청된다. 또한,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를 양형에 고려하는 것은 국가의 형벌권 독점을 통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형벌권을 행사한다는 형법의 대원칙과 조화되기 어렵다. 피해자의 의사를 매개로 하여 가해자와 피해자의 경제력이나 사회적 지위 등 사적 권력관계가 형벌권 행사에 영향을 미칠 위험도 있다. 따라서 피해자의 의사가 양형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으로만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금전에 의한 손해배상을 ‘피해회복’으로 보고 양형에 고려하는 것은 금전배상으로 피해회복을 의제하는 문제, 경제력에 따른 양형상 차별의 문제, 돈으로 범죄행위를 할 권리를 살 수 있다는 그릇된 인식을 유발하여 사회 일반의 규범의식을 훼손하는 문제, 형벌을 통해 손해배상채무의 이행을 강제하게 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피해회복을 양형인 자로 고려하는 것 역시 신중할 필요가 있다. It is common practice in South Korea for criminal defendants to negotiate and reach a ‘settlement’ with victims, in which the defendant agrees to pay monetary compensation for the harm caused by the crime and the victim agrees to make a statement to the court that the victim does not want the defendant to be punished. Courts commonly consider this so called ‘settlement’ or ‘criminal settlement’ as being associated with several important mitigating factors in sentencing: the defendant’s true remorse, the victim’s forgiveness, and restitution for the victim. Considering remorse, forgiveness, and restitution as important mitigating factors has its share of justifications, but it also raises many problems that touch on fundamental issues of criminal law. First, although remorse is regarded as mitigating mainly on grounds that remorseful defendants are less likely to re-offend, there is little evidence supporting this assumption. Remorse is also extremely difficult to objectively identify, largely due to its lack of clear definition and the heightened risk of defendants feigning remorse to avoid harsh sentences. Second, giving weight to victims’ forgiveness in sentencing goes against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modern criminal law that forbids private vengeance and replaces it with impartial, rational justice administered by the state. It opens the door for socioeconomic status to exert undue influence in criminal decision-making by allowing the defendant to utilize his or her status to pressure the victim into asking the court for leniency towards the defendant. Third, although the policy concern regarding the need to provide victims of crime with prompt and adequate restitution is undoubtedly legitimat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defendant paid restitution as an important mitigating factor carries the danger of effectually creating a system where the rich can buy their way out of prison sentences. Such practice risks reinforcing the already widespread belief that criminal justice is carried out unfairly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and could seriously undermine the public’s overall confidence in the legal system. It also raises the issue of creating a debtor’s prison and coercing defendants into paying restitution with the threat of criminal punishment. These problems may not have a simple solution, but they are connected to fundamental issues that cannot be ignored when making sentencing decisions. They also call for a careful evaluation and reconsideration of current sentencing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