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변천과정 고찰

        김운종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1

        그동안 우리나라 중등교원의 양성 형태와 교직과목 운영 실제와 관련된 여러 연구가 수행 되었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 중등교원 양성 형태에 관한 누락된 내용이 있고, 교직과목 개 정과 관련된 정책결정 과정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중 등교원 양성형태와 교직과목 운영의 실태를 명확하게 기술함으로써 중등교원 양성과정에 관 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나아가 바람직한 교원양성정책 수립을 위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방 후 우리나라는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일반대학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 의 정규과정과 임시교원양성소, 보수교육과정 등의 비정규과정 등 다양한 유형의 중등교원 양성 형태가 있었으나, 시대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교원양성과정의 교직과목의 구성 또한 오랫동안 큰 틀에서 변화 없이 일부 과목만 변경하는 수준을 유지한 채 현재에 이 르고 있다. 앞으로 중등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교원정책에 적합한 교원 양성체제의 도입과 교직과목의 구성을 모색하여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 교육공동체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고 논의하여 최선의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Several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related to the forms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nd the practical operation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a missing description about the form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nd an unnecessary misconception about the policy decision process related to revision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lear description of the form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so 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nd a basis for discussion for establishing desirable teacher education policies. In the meantime, various forms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courses have been established and disappeared in Korea, and some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operated. The composition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have been also changing with only some subjects changed without any change in the big frame, and it has reached the present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teacher policy of our country and the composition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and the members of the education community should discuss and prepare measures in this process. First, the role and scope of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should be expanded. the teacher policy should be reorganized so that the city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can function as the second teacher education institute. Second, the composition of teaching subjects should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validity and legitimacy.

      • 특수교육교원 양성 및 수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운종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

        우리나라에서 특수학교 교사의 양성은 주로 4년제 대학 내의 사범대학에 설치된 ‘특수교육과’와 일반대학 교육과인 ‘특수교육과’ 및 교육대학원의 ‘특수교육전공’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특수학교 교사자격증 취득자수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여 2008년에는 특수학교의 유치원·초등·중등을 모두 합한 수가 약 2,800여명에 달하고 있다. 이 중에 서 복수전공자를 제외하면 실제로는 약 1,800여명 정도가 취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07년부터 특수교육 관련학과의 신설을 가급적 제한하고 있으며, 복수전공에 의한 교사자격증 취득 인원을 제한하고 있어 특수학교 교사의 양성규모가 현재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특수학교 교사의 임용은 국·공립 특수학교의 경우 매년 신규교사 임용시험을 통하여 공개경쟁으로 선발되어 배치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립 특수학교는 학교단위로 공개경쟁에 의한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립 특수학교 신규교사의 선발인원은 200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8학년도 임용시험에서는 700여명 선까지 늘어났으나, 2009학년도 임용시험에서는 정부시책에 따라 선발인원이 다소 줄어들었다. 그러나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의 증대와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설립 확대에 따른 수요의 확대 등을 감안할 때 향후 특수학교 신규교사 선발인원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특수교육교원의 양성 및 수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논의를 위하여 먼저 특수학교 교원의 자격기준과 양성과정 및 표시과목 등이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특성·능력·장애유형 또는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다음으로 최근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현황을 분석하여 특수학교 교사의 수급을 전망한 후 이에 대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또한 특수학교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특수학교 교사양성과정을 5년제 또는 대학원 수준으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 및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아울러 신규교사 임용의 측면에서 현재의 사회적·경제적 환경 및 출산율의 감소 등을 고려할 때 특수학교를 포함한 전체 교원의 정원 확대가 상당기간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특히 교사 1인당 학생 4명으로 규정되어 있는 특수학교 교원의 법정 정원기준을 확보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러므로 특수학교 교원정원의 추가적인 확보를 위한 합리적인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 `초·중등교육에서 교권 보호 법제의 쟁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1

        김운종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초?중등학교 현장에서 교권 침해가 문제시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최근 들어 더욱 심해지고 있고, 교권 침해의 유형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그 강도 또한 점점 세지고 있는 것은 교육의 당사자(교원?교사?학부모)뿐만 아니라 우리 사 회구성원 모두가 주지하고 있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원교육학회에서 ‘교권보호’를 연차학술대회 주제로 선정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하게 된 것은 초?중등교육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고도 의미 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발표자는 교권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먼저 제시하고, 교권의 개념과 범 주를 구체화하였으며, 교원침해의 실태를 분석하고, 관련 정책과 제도를 정리한 후 여기에서 제기되는 쟁점과 과제를 이끌어 내는 방식으로 ‘교권보호 법제의 쟁점과 과제’라는 주제에 관하여 일관되고 논리정연하게 보여주었습니다.

      • KCI등재

        학교조직의 관료적 운영 정도가 교사의 교직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비교

        김운종 교육종합연구원 2016 교육종합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mpirically verify how bureaucratic operation of school organizations affect teachers' exercising teaching expertise. Teaching expertise are divided into school management, personal management, teaching lessons, extracurricular guidance, and self-improvement; twenty variables were used with four lower variables within each expertise. The survey was conducted to 520 teachers at 10 schools in Jollabukdo, but finally 313 surveys were selected from 6 schools that were evaluated as of high, middle, low bureaucracy. The results show that less bureaucratic schools provide teachers with more opportunities to exercise their expertise in school management, personal management, and teaching lessons. But school bureaucracy has no direct connection with the extracurricular guidance and self-improv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work include that to fulfill school objectives effectively,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 management, democratic personal management, and teaching autonomy must be ensured; that teachers themselves recognize that students extracurricular guidance is one of their important roles, cultivating their abilities and qualifications as guidance experts, exerting their expertise in guidance voluntarily; and finally that teachers must make ceaseless effort with their own recognition in mind that continuous self-improvemen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make them enjoy their status and make people agree that teachers are undisputed professionals.

      • KCI등재

        대학입시 학생부종합전형의 합리적 운영방안 탐색-W대학을 중심으로

        김운종 교육종합연구원 2018 교육종합연구 Vol.16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reliability of the comprehensive student model and contribute to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by exploring the rational operation of the current university admission model. The main research tasks focused on developing more relevant assessment elements and developing objective application plan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qualitative assessment. To this end, I have researched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ng future society and university human resources on the basis of research on the feasibility of improvement, review of assessment elements of major universities, and consultation of experts at schools and universities.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focus was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which would ensure the adequacy, reliability, objectivity and practicality of assessment tools, while simplifying the assessment process as much as possible. It was decided that this would enable the rational operation of the comprehensive student body model. Through this assessment, the assessment elements were decided on five categories: ‘academic integrity’, ‘developability', ‘laborability', ‘self-directiv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 total of 15 evaluation indicators were established for each assessment item.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application method together through a survey, the research results were to be used more efficiently.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교원의 자격기준 및 양성체제 개선방안

        김운종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종합연구 Vol.7 No.3

        The qualifications and training of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must basically reflect the particularity of special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special teachers must be trained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needs), not for the side of recruiting suppliers. However, the criteria of qualifications for the teachers are not fair compared to those for other occupational fields. The criteria of recruitment without examination may not be appropriate, and the training system may not be effective to cultivating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For discussion of problems with the criteria and solutions, this paper reviewed the criteria of qualifications for the special teachers with respect to legal justification and parts to be improved. This paper also reviewed problems in the criteria of acquisition of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with no examination and subjects specified in the certificate, and suggested the solutions.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present training system for the special teachers should be changed as that with a 5-year curriculum or in graduate school level, compared to that in foreig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