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폭력적 영상물에의 노출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우준 한국치안행정학회 201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8 No.1

        기본적으로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매체는 어린이 및 청소년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며 여가생활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출연자의 폭력행위, 노출, 음란행위 등의 유해성 요인들은 청소년들에게 모방심리를 부추겨 비행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폭력적 영상매체(TV)에의 노출 수준과 청소년 비행 행동을 살펴보았는데, 텔레비전에서 시청하는 프로그램 중 구체적으로 폭력성의 장면적 요소가 많은 프로그램의 선호하는 정도를 응답하게 한 후, 그 영상매체의 노출정도와 직접적인 폭력비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폭력적 영상매체에의 노출이 증가하면 청소년의 폭력적 비행 행동 수준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고등학생인 청소년들의 주중 TV시청 시간은 30분 미만으로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1-2시간, 그 다음은 30분-1시간 미만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프로그램의 폭력성 여부에 관계없이 부모는 시청 지도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폭력행동 수준의 측정에 있어서는 물질적, 실체적 폭력에 비하여, 언어적 폭력 행동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가설의 검증은 폭력물 노출도가 폭력적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는 폭력물 노출도와 폭력적 비행행동 그 자체의 단일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 폭력물 노출도(β=.144, t=3.136, p<.01)는 폭력적 비행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연구가설은 채택되었다. 이 연구는 실증 조사를 통하여 청소년의 텔레비전 시청 시간과 시청 환경을 살펴보고, 특히 폭력물에의 노출도를 확인하였으며, 양자의 관계를 밝힌 점에 의의가 있으나, 설문 문항 설계상의 복잡성, 서울 지역에 한정하여 조사한 점 등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하여 보완되어야 할 점이다. The Influence of Media occupies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the life of children or adolescents. Media is a kind of something special to watch and family activity seems to provide parents and children opportunities of interaction, but this interaction is unhealthy in general. It is because parents and children can experience conflicts between them with the issue of time and quantity of TV watching. In particular, violent program of visual media bring negative effects to the mind and body of adolescents and therefore watching on it needs parents' proper guid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of violence and routine acceptance if it and then present some improvement strategies of it, focusing on their exposure to the violent program of visual media.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nd a study hypothesis was established. It seems that when adolescents' exposure to visual media increases, their imitative disposition increases too in averag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Regarding adolescents' of violence and violent TV programs, the acceptance of violence in everyday life is corresponding to the extent of exposure to violent visual media. This finding shows that adolescents definitely need parents' guidance and concern for their watching on violent TV. In conclusion, adolescents' watching on visual media for violent TV program has great influence upon their acceptance of violence. Therefore, teachers and parents must properly guide adolescents for their TV watching. Media education must be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school in order for adolescents to use media correctly. In addition, a family control is also important. These measures are necessary to form adolescents' appropriate personality and will be greatly effective in preventing adolescents' violence which increases its severity day after day.

      • 북한 농업개혁의 현황과 전망 : '경제관리개선조치'와 탈집산화 과제 Focusing on the Improvement Measures of Economic Management and Decollectivization

        김우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러시아연구소 2002 유라시아연구 Vol.2 No.1

        탈집산화로 가는 북한의 농업개혁은 이미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2002년 7월 '경제관리개선조치'이후 '개인영농제'가 시범 실시되고 있으며 협동 농장의 분조관리제의 구성단위가 가족 및 친척단위로 형성되고 사적 시장인 농민시장의 발전을 당국이 묵인하고 있다. 또한 농업 부문에서 독립채산제가 확대 실시되고 있으며 성역이나 다름없었던 주체농법이 변하고 있다. 그리고 북한 농업이 한국이나 해외와 연계되면서 변화의 바람을 맞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북한의 농업 개혁을 사회주의적 집산 농업을 개혁하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있으며 농업부문에서의 변화의 시작은 북한사회 전 분야로 파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 농업개혁이 꾸준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우리를 비롯한 외부의 지원이 절대적인데 북한 핵파문이 변수이고 임금인상과 '가격현실화'가 이루어졌지만 물품 부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또한 걸림돌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전문심장처치술 교육 이수자들의 심율동전환과 경피심박조율처치 능력 평가

        김우준,강구현,장용수,옥택근,최현영,성민국,최한주,박현경,김경용,방성환 대한응급의학회 2015 大韓應急醫學會誌 Vol.26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bility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providers in performing cardioversion and transcutaneous pacing (TCP) in standardized patients. Methods: In 19 ACLS providers, an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ir abilities in performing cardioversion and TCP. We conducted this study using a defibrillator not producing electric current and standardized patients. Primary outcomes were the completeness in carrying out a task when performing cardioversion or TCP. Results: Completeness rates reached 100% for “Power on” and “Mental status evaluation” regarding both cardioversion and TCP. Regarding both cardioversion and TCP, the completeness rate was less than 50% for “Saturation identification”. In cardioversion, ACLS providers showed good performance for electrical therapies but not for reassessment. In contrast, they showed good performance for reassessment not for electrical therapies. Conclusion: Simulation using a defibrillator not producing electric current for standardized patients was useful in assessing the ability of ACLS providers when performing cardioversion and TCP. This could be helpful to ACLS providers in performing electrical therapies.

      • KCI등재

        다산(茶山) 사상 측면에서의 음주 문제 고찰

        김우준 한국중독범죄학회 2018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8 No.1

        알코올 중독, 음주운전에서부터 ‘혼술’ 논란까지, 음주 문제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이 뜨겁다. 조선조의 학자 다산(茶山) 정약용의 사상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의 음주 문제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다산은 술과 음주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선을 보이기도 했다. 향락의 대상으로 본 기술도 있었고, 반드시 절제가 필요한 대상으로 보기도 하였다. 또한 술을 그저 객기이거나 일탈적 행위로 간주한 관점도 파악되었으며, 스스로를 망치는 어리석은 행동이라는 사고도 엿보였다. 술과 음주에 대하여 다소 긍정적인 시각도 엿보였는데, 적절한 음주를 학습의 한 방편으로 보거나, 유용한 사교의 수단으로 취급했던 시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경이나 위로를 나누는 매개물로 적절히 활용하면 긍정적일 것이라고 보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음주와 관련된 대응은 처벌위주이기보다는 사전 예방과 치료적 접근이 주효할 것이라는 점, 음주 문제로 인한 처벌이나 낙인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는 점, 음주 문제에는 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공동체적 차원에서 대응해야 한다는 점, 각 국가기관 및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대응해야 한다는 점, 개인의 욕망을 다스리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는 점 등이 다산 사상이 주는 오늘날의 음주 문제와 그 해결을 둘러싼 이슈에 대한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많은 한계를 노정하고 있지만, 술이나 음주와 관련하여 다상의 사상을 접목하여 다산 사상의 가치를 재발견하고자 한 거의 최초의 연구적 시도였다는 점에 이 연구의 의미를 두며, 추후 관련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Alcohol and drinking related issues have been a highlight of our contemporaries. Tasan,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left a lot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asan’s view could provide implications related present alcohol issues. Tasan expressed not only negative views but also positive views about the alcohol and drinking. On the negative side, excessive drinking and the associated mistakes could be considered deviation or crime. On the positive views, Alcohol functioned as means of building friendship. On the Tasan’s view,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oposed with regard to present alcohol or drinking issues. In doing counter alcohol strategy, treatment is more important than punishment. And for solving the alcohol related problem, collaboration of local, state and federal agencies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has a lot of limitations, but it has academic contributions and meaningfulness considering to construct the base of future studies, despite lack of related research. It's expected related future studies will be followed.

      • KCI등재

        을미사변의 테러학적 고찰과 경호측면의 교훈

        김우준,이선제 한국치안행정학회 2015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2 No.2

        2015년은 1895(을미)년 음력 8월 20일(양력 10월 8일) 대한제국 국모인 명성황후가 왕궁(王宮)의 침전(寢殿)에서 조선주재 일본공사 삼포오루(三浦梧樓, 미우라 고로)가 지휘하는 일본인 낭인(浪人)들에게 무참히 시해된 참변이 발생한지 120년이 되는 을미년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을미사변발생 120년을 맞아 을미사변을 테러학적 분야로 살펴보고, 경호ㆍ경비학적 고찰을 통하여 교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사학(史學)문헌을 이용하였다. 특히 세부적이고 논란이 있는 미시적(微視的)보다 거시적(巨視的)관점으로 접근하였다. 고찰 결과 을미사변은 인적경호 측면으로 왕궁의 경호ㆍ경비를 외국인에게 의지하며, 충성심이 있는 자들을 선발하여 운영하지 않고 내부 감찰활동에 실패하여 변절자들이 근무한 점과 물적 경호 측면으로 왕궁경호ㆍ경비부대의 물리적 대응능력 보존 미흡을 본 연구자는 제시한다. 을미사변을 테러학적 관점에서 유형별 구분으로 보면 ▴1894년 조선왕궁 점령과정 속의 일본 개입 ▴일본공사의 시해주도 ▴일본 지식인들의 개입근거 등 역사적 증거로 고찰하여 보면, 명백히 일본국가에 의한 국가주도로 이루어졌다. 또한 이는 일본국가주도하에타 국가의 국권을 유린한 침략행위이며, 일본 외교공무원이 저지른 살인 범죄이며, 국가범죄테러행위이다. 국왕의 밀착경호(密着警護)와 근접보위(近接保衛)가 국가의 운명을 좌우한다는 역사적교훈 속에 을미사변을 테러학과 경호ㆍ경비학적으로 고찰하는 시론적 시도에 본 연구에작은 의의를 두고자 한다. 2015 is the 120th sad anniversary of the brutal assassination(1895) of empress Myeongse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brutal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in the terrorism aspect and to learn lessons of security aspects.The results are referred below. As an aspect of 'human security', the brutal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was an overall failure incident, considered that a palace guard was subjected by foreigner, a lot of renegade worked at the time, and so on. As an aspect of 'physical security', it also was an overall failure incident, considered that at that time, physical response system was highly vulnerable in many ways. The accident, the brutal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was happened and led by Japanese government at that time. We could present detailed evidences : ① Japanese government's intervention in process of possessing the royal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by force at 1894, ② assassination led by the Japanese minister to Korea,③ circumstances of Japanese intellectuals' involvement. In conclusion, the brutal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was a serious violation to the sovereignty of the independent nation, a homicide by Japanese diplomats, a terrorist crime by Japanese government. Focusing on documentary researching method could be mentioned as limitations, but it has academic contributions and meaningfulness considering to construct the base of future studies, despite lack of related research. It's expected related future studies will be followed.

      • KCI등재

        Cerebral Cortex Involvement in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김우준,이지은,김수현,허소영,현재원,정인혜,박민수,조중양,이상현,이광수,김호진 대한신경과학회 2016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12 No.2

        Background and Purpose Brain lesions involving the cerebral cortex are rarely described in patients with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NMOSD), in contrast to multiple sclerosis. We investigated cerebral cortex involvement using conventional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anti-aquaporin-4 (AQP4)-antibody-positive NMOSD patients. Methods The study enrolled 215 NMOSD patients who were seropositive for the anti-AQP4 antibody from 5 referral hospitals, and retrospectively analyzed their demographic, clinical, and MRI findings. Abnormal cerebral cortex lesions on brain MRI were identified by a neuroradiologist and two neurologists using consensus. Results Most of the 215 enrolled patients (87%) were female. The median age at onset was 22.5 years (range: 15–36 years) and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23 months. Brain lesions were found in 143 of 194 patients (74%) in whom MRI was performed during follow-up. Brain lesions involving the cerebral cortex were identified in 6 of these 194 patients (3.1%). Five of the patients were female, and the six patients together had a median age of 29 years (range: 15–36 years) at the time of lesion presentation. Three of them showed leptomeningeal enhancement in the lesions. At presentation of the cortex-involving lesions, five of these patients were not being treated at the time of presentation, while the sixth was being treated with interferon-beta. Conclusions Although rare, cortical involvement occurs in NMOSD and is commonly combined with leptomeningeal enhancement. We speculate that this occurs only in patients who are not treated appropriately with immunosuppressant drugs.

      • KCI등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12-Item Multiple Sclerosis Walking Scale and Application to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김우준,박은영,현재원,허소영,박나영,장현민,김수현,김호진 대한신경과학회 2020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16 No.2

        Background and Purpose Gait problems are a primary complaint in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MS) and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NMOSD). The 12-item Multiple Sclerosis Walking Scale (MSWS-12) is a patient-reported measure assessing the impact of MS on the walking ability. We aimed to adapt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SWS-12 for the Korean population with MS and NMOSD. Methods Thirty-four MS and 35 NMOSD patients were recruited. The MSWS-12 questionnaire was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and evaluated for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se patients. Results The MS and NMOSD patients had mean ages of 35.9 and 42.1 years, respectively, median disease durations of 5.6 and 7.2 years, median Expanded Disability Status Scale (EDSS) scores of 2.75 (range, 0–6.5) and 3.5 (range, 0–7.5), and median baseline MSWS-12 total scores of 25 [interquartile range (IQR), 2.60–53.65] and 25 (IQR, 7.29–50.00). The baseline MSWS-12 total score in the patients with MS showed strong correlations with scores for the EDSS, timed 25-foot walk (T25FW), Multiple Sclerosis Impact Scale-29 (MSIS-29) physical dimension, and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physical component summary (PCS), with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ρ) of 0.922, 0.756, 0.933, and -0.874,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NMOSD, the baseline MSWS-12 total score showed strong correlations with scores for the EDSS, MSIS-29 physical dimension, and SF-36 PCS (ρ=0.769, 0.910, and -0.852, respectively), and moderate correlations with scores for the T25FW and Fatigue Severity Scale-9 (ρ=0.597 and 0.630,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Korean version of the MSWS-12 appears to be a valid and reliable scale that can be used for Korean patients with MS. The MSWS-12 can also be applied to patients with NMOS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