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타적 자살과 이중효과의 원칙

        김용해(Kim Yonghae)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09 생명연구 Vol.14 No.-

        Emil Durkheim classifies suicide,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phenomenology, into four kinds: egoistic, altruistic, anomic, and fatal suicide. There are cases such as self-sacrifice, martyrdom, and patriotic martyrdom, in which the good of the other, of the national community, or of a religious group is chosen through discernment between the good of one’s own life and the greater good which the agent intends. I think, however,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call these acts devotion or self-sacrifice rather than suicide. For these altruistic acts are motivated by the greater good of the other or of a community, not by the desire or intention to take one’s own life. I am in agreement with the view of rule utilitarianism that the rule and social idea of suicide-prohibition diminish the “Werther effect” and maximize both the utility for the social community and the life-good of the actor. Even so, rule utilitarianism cannot provide a justification for the grounding of this rule, because ultimately it is grounded in experience. I believe that the rule of suicide-prohibition can be justified by a realism which deliberates on the effects of the act and on the act itself, based on the facts in their subjective and objective dimensions. Consequently we may say that suicide motivated and intended by free will cannot be justified at all, just as in the case of homicide. On the other hand, so-called altruistic suicide can be justified as a good act, if i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double effect.

      • KCI등재

        그리스도교 사상 안에서의 인간존엄성 근거

        김용해(Kim Yong-hae) 대한철학회 2005 哲學硏究 Vol.96 No.-

        본 논문에서 필자는 그리스도교 사상과 전통은 인권과 인간존엄성의 이념을 어떻게 배태하고 있는지 연구한다. 특별히 그리스도교 사상사 안에서 인격개념을 완성한 토마스 아퀴나스와 인격개념을 개혁적 방식으로 이해하려고 한 마르틴 루터를 중심으로 살핀다. 그런데 두 사상가의 인간존엄성의 근거를 연구한다는 것은 방법론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왜냐하면 그들이 당시의 시대상황 안에서 근대의 인권 개념이나 인간존엄성에 대해 직접 언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양자의 사상을 각각 고유한 체계 안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하되, 신 인간 자연의 관계라는 전체적 맥락에서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파악하고 있는지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존엄성의 근거동기를 추출해 내는 방식을 취한다.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르면 인간은 필연적으로 영혼과 육체로 결합된 개별화된 하나의 실체, 즉 인격이며 이성적 본성을 지닌 존재이다. 인간은 이성능력 때문에 자기 자신에 대한 주체로서 자립할 뿐만 아니라 자신을 초월하여 神과 같은 신비의 세계로 개방되어 간다. 여기서 초월성은 바로 이성과 신앙, 철학과 신학이 서로 배제하지 않고 조화될 수 있는 지점이다. 따라서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인간의 고유한 존엄성은 단지 이성 또는 자유와 자기규정의 능력에 있다고 하기보다 훨씬 더 신의 모상성에, 즉 인간이 말씀과 사랑에 참여하여 그리스도의 후계자로서 삼위일체적 신을 점점 닮아감으로써 이루어지는 초월적 자기변화의 가능성에 있다. 여기에 반해서 마르틴 루터는 인간은 창세기의 창조설화가 말하고 있듯이 타락한 본성, 즉 한계 지워진 이성과 죄에 물든 의지를 가지고 있는 존재이다. 타락한 본성을 지니고 있는 존재는 썩을 인간이고, 새 생명을 얻기 위한 질료에 불과하다. 인간은 신이 약속한 그리스도를 자기의 본질(형상)로 받아들임으로써 비로소 새 인간이 된다. 하느님이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서 썩어 죽을 인간을 구원하여 자신의 자녀로 받아드리는 것을 의화義化Rechtfertigung라 한다. 인간의 구원과 구제를 위해 하느님의 은총과 주도가 필연적이다. 따라서 루터에게 있어서 인간의 존엄성은 인간 이성의 능력에 근거 지워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이로부터도 방해받을 수 없고 대체될 수 없는 의화, 즉 신의 인정認定 또는 신의 구원활동을 통한 인정에 근거 지워진다.한편 그리스도교의 경전과 근본교리를 공유하고 있는 토마스와 루터는 커다란 맥락에서의 인간을 동일하게 이해하고 있다. 그들이 파악하고 있는 신(창조자), 인간 그리고 자연의 관계는 존재론적으로 볼 때 위계적이고 가치우열적이다. 즉 인간은 피조물로서 창조자 신과는 존재적으로 구별되며 자기 자신에 의해서가 아니라 신의 주도권에 의해서 구원되는 존재이다. 따라서 인간 존엄성과 인권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신과의 떼어 놓을 수 없는 관계 안에서 근거 지워 진다. 이 관계를 그리스도교는 시대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강조했지만 철학적으로는 "인격persona" 개념으로, 신학적으로는 "신의 모상Imago Dei"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루터가 토마스와는 달리 '신과의 관계'를 인간의 본질내지 실체로 파악한 것은 성서에 입각한 새로운 그리스도교의 인간학을 기초해 낸 것으로 보인다. 루터는 전통적 스콜라 사상의 인간학이 강조한 주체 또는 실체로부터 실체사이의 관계성으로 그 강조점을 옮겨 왔다고 할 수 있다. 토마스 역시 인간존엄성의 근거를 인격의 특질에 보다는 인격의 신에 대한 개방성과 닮아감에 둔점을 주목해야 한다. 결국 루터와 토마스는 인간의 존엄성을 그리스도교의 핵심인 인간과 신의 소통적 관계에서 공통적으로 찾고 있다. 인간과 신의 관계를 강한 실체론과 약한 관계론으로 정리한 토마스는 인격의 자기 규정성 자립성을 관계실행의 전제로 보았고, 이러한 인격의 자립성을 통해서 신과의 관계로 나아갈 것이라는 낙관성을 담고 있는 반면, 루터는 인간성을 비관적으로 보았기 때문에 신과의 관계가 구원의 가능성을 여는 핵심이 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강한 관계론과 약한 실체론을 전개할 수밖에 없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스도교의 경전이 가르치는 인간의 신모상성은 인간이 신에 대해 전인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인간의 실존적 조건으로 주어진 것이기 때문에, 어느 누구에게도 이 의사소통이 불의하게 침해되거나 왜곡되어서는 안 되는 권리의 성격뿐만 아니라, 신의 부르심(의지)에 따라 자유의지와 이성, 실천을 통해 대응하고, 자신의 책임 안에서 자신을 발전시켜야 할 자각적 의무의 성격도 띠고 있다. 인간은 신에게 마땅히 져야할 신성한 의무를 통해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 인권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무 또한 강조하는 것이 그리스도교의 인간존엄성 이념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study how christian thought and tradition have build up the idea of human rights and human dignity. To reach this goal I will specially concentrate on Thomas Aquinas, who completed the concept of person, and Martin Luther, who understood revolutionary a concept of person. It is difficult to study the ground of human dignity according to these two thinkers. Because they did not declare directly the modern concept of human rights and of human dignity. Therefore I take a method for research that I observe how both thinkers understand and perceive the human being in the context of relation between God, man and nature, by which I try to understand it in their own philosophical systems, and then abstract the ground of human dignity from it. According to Thomas Aquinas an existent of human being is an individual substance which is a necessary unity of soul and body, namely a person and a being with a rational nature. Because of rational ability the human subsists as a subject for himself and transcends himself to the mystic world of God. The transcendency is a moment, at which reason and belief, philosophy and theology are not controversial, but harmonized, So according to Thomas Aquinas human dignity lies not just in the intellect, in the ability of freedom and selfregulation, but even more in the image of God(imago dei), namely, the possibility of transcendental selftransition, in which the man as successor of Christ participates in the Word and in Love. On the contrary Martin Luther thinks the man has a corrupted nature, namely a limited intellect and a sin-inclined will, as the Book of Genesis explains. The existence in the corrupted nature will disappear and is just material, in which the man takes a new life. The man becomes the new human being, by which he takes on the Christ as his essence(form). God saves the man and accepts him as his children through the Atonement of Christ. We call this Justification. The grace and initiative of God is necessary for the Salvation of humankind. So human dignity for Luther lies never in the possibility of human intellect, but in Justification, which will be interrupted by no one and substituted by nothing. But Thomas and Luther, who together follow the Scriptures and christian doctrines, have also common understanding. They perceive the relation between God, man and nature hierarchical and value-graded to see ontologically. The human as the creature is ontological distinguished from God, the Creator, and the existent, who will be saved by the initiative of God, not man. Therefore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are essentially grounded by the inseparable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We have explained this relationship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with the concept of "person" in philosophy, or in the "image of God" in theology. It seems but Luther understands this relationship as the essence of human being, and founds the new christian anthropology according to the Scriptures. We can say Luther put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s of God and the human instead of on the substance, or person, which the tradition of scholastics-thoughts stressed. We must call our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omas also founded human dignity more on opening to God and on tuning out God, rather than on the characters of the human person. Eventually Luther and Thomas founded human dignity commonly on the very core of Christianity, the communicativ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ut Thomas, who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with a strong substance-theory with "weak relationship", regards selfregulation or subsistence of the person as the premise for the relation-practice. He thought so optimistic that the man comes to the relation to God through this subsistence of the human person. On the contrary Luther looks the nature of the human being so pessimistically, that the relationship to God is the only important point to open the possibility to be redeemed, and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스 정신

        김용해(Yonghae Kim) 한국종교교육학회 2024 宗敎敎育學硏究 Vol.77 No.-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휴머니즘을 모더니즘적 인간관을 비판하고 새로운 인간관을 모색하려는 사조로 한정하여 탈인간중심주의, 탈자아중심주의를 지향하는 윌리엄 데스먼드의 사이론적 존재론과 포스트휴머스 정신을 검토하고 평가한다. [연구 내용] 우선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용어의 다양한 양태를 살피고 모더니즘적 인간관을 비판하고 새로운 인간관을 모색하려는 용례의 포스트휴머니즘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한다.(I) 이를 위해 존재의 선성을 강조하는 자연법과 존재의 비동일성을 강조하는, 아도르노와 하버마스의 비판철학의 입장에서 주체 우위 대신에 존재 우위와 상호주체성 우위의 가능성을 전개한다.(II) 그런 다음 존재의 자기화와 초월, 존재의 생존욕구와 존재의 인내 등의 원리를 통해 존재가 어떻게 자기되어감의 과정에서 타자와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정신적 존재인 인간은 존재 공동체에서 어떤 위상을 갖고 어떻게 자아를 완성하는지를 윌리엄 데스먼드의 사이론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검토한다.(III.&IV.) [결론] 본 연구의 결론으로 존재의 ‘고유 가치’를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첫째, 모든 존재는 존재공동체의 성원으로서 자신의 방식대로 주어진 존재의 선에 봉사하면서 완성되어 간다. 둘째,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존재는 상호의존적인 창조계의 일부로서 존재론적으로 같은 의미와 조건에서 존재공동체에 봉사하며 따라서 인간은 존재론적으로 다른 존재들보다 더 우월하지 않다. 셋째, 인간은 존재공동체의 정신을 가진 성원으로서 모든 존재가 우주 진화와 정신의 진보에 고유 가치와 임무를 수행하도록 돕는 생태문명을 건설해야 한다. 넷째, 데스먼드의 존재공동체 비전은 유기체와 물리적 요소의 복합체를 포괄한 생태학을 정립하고 생태 문명의 기초를 세우는데 기여할 형이상학적 기초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mit the use of posthumanism to the meaning of pursuing a new view of humanity while criticizing the modernist view of humanity, to examine William Desmond's metaxological ontology and the posthumus mind, which pursue post-anthropocentrism and post-selfcentrism, and to evaluate them. [Cont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rst, we look at the various aspects of the term posthumanism and limit the research object to posthumanism, which is used to criticize the modernist view of humanity and seek a new view of humanity. (I) To this end, natural law that emphasizes the goodness of existence and the non-identity of being are examin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critical philosophy of Adorno and Habermas, which offer the possibility of the superiority of being and the superiority of intersubjectivity instead of the superiority of the subject. (II) Then, we will consider some principles of being, like the self-becoming and transcendence of being, and conatus essendi(the desire for being) & passio essendi(patience of being) according to William Desmond's metaxogical ontology, and examine how beings interact with others in the process of becoming themselves, and what status humans, as mindful beings, have in the community of beings and how they complete their selves. (III .&IV.) [Conclusions]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intrinsic value’ of being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all beings are members of a community of beings and are perfected by serving the good of being in their own way. Second, all beings, including humans, are part of an interdependent creation and serve the community of beings with the same ontological meaning and conditions, and therefore humans are not ontologically superior to other beings. Third, as mindful being of the community of beings, humans must build an ecological civilization that helps all beings carry out their inherent values and promises in cosmic evolution and mindful progress. Fourth, Desmond's vision of the community of being is a metaphysical foundation tha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ecology encompassing a complex of organisms and physical elements and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an ecological civilization.

      • KCI등재

        현대 영성의 초월철학적 이해

        김용해 ( Kim¸ Yong-hae Sj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8 가톨릭철학 Vol.0 No.10

        사람들이 세계 도처에서 21세기는 ‘영성의 시대’라고 말한다. 이는 현대인이 영혼 깊이 무엇인가를 찾고 있다는 말이다. 우리는 동시에 개인들이 자신들의 실존적 삶 안에서 자유상실, 공허, 무의미 그리고 환경파괴로 인한 생명의 위협을 안고 있음을 본다. 철학의 사명은 현대 영성의 현상을 살피고 영성의 자기 비판적 메커니즘을 발견하도록 돕는 데에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영성의 개념사와 현대적 용례를 통해 영성을 잠정적으로 정의내리기를 시도한다. 그 다음으로 시대를 초월한 영성의 본질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숙고한다. 본질적 특성으로 자기초월, 회심, 자아통합을 로너간과 라너, 젤피와 슈나이더스의 초월 철학적 입장에서 성찰한다. 여기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 이론의 기획과 미드의 정신, 자아, 사회의 상호관계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세속 안에서의 영성회복 가능성을 점검한다. 마지막으로 자기 초월적 경험을 심화시키는 영성행위에서의 작동 구조, 즉 경험-성찰-행동-평가의 순환적 구조를 숙고한다. 이를 통해 현대의 여러 영성 현상을 평가하고 그 결핍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영성을 추구하는 인간은 자기초월적 지향을 갖고 자신의 신념이나 지식을 넘어 끊임없이 더 진전된 물음으로 묻고 경험하며 이해하고 판단하면서 실재 자체에 도달할 것이다. People all over the world, say that the 21th century is ‘a time of spirituality’. This means that modern people seek something in the depths of the soul. Simultaneously we see that individuals live in the midst of negative influences such as the deprivation of freedom, emptiness, a lack of meaning in their lives and lifethreatening environmental disruption. Consequently philosophy has to play a role in reflection on the phenomena of modern spirituality, guiding it to find it’s own self-critical mechanism. At the beginning of this article I try to define spirituality though provisionally, by way of studying the history of the concept and its usages in modern times. Then I reflect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which I take to be timeless. I examine such issues as self-transcendence, conversion and self-unification as those characteristics accord with position of transcendental philosophers, such as Bernard Lonergan, Karl Rahner, Donald Gelpi and Sandra M. Schneiders. I also utilize Habermas’ strategy i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 and Mead’s mechanism concerning the cooperation of mind, self and society. Using these tools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covering spiritual culture in a secularized world. Finally I consider the structure at work in spiritual acts, i.e. the circular process of experience-reflection-act-evaluation, which deepens the experience of self-transcendence. Following this we can evaluate different kinds of modern spirituality, and examine their weaknesses. Human beings in searching spirituality, through a process of self-transcendence involving: questioning, understanding, judging and acting, will come to reality itself.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사상과 정의론

        김용해(Yonghae Kim) 혜암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교회 Vol.17 No.-

        자연법에 관한 역사 안에서의 다양한 논의들은 실정법과 다른 차원의 법이념을 추구하는 인간의 특성을 지시하고 있다. 가톨릭교회는 토마스의 자연법 전통을 기초로 혼인, 공동선, 법의 기초, 정치체계, 교도권과 관련된 교리를 전개하고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주로 『신학대전』(Summa Theologiae)에 드러난 자연법과 정의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각을 소개하고 현대에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비전을 찾아 보려 한다. 그러기 위해서 토마스의 인간관, 자연법과 법에 대한 기본 이념 그리고 정의라는 윤리적 덕과 이 덕에 의해 파악된 다양한 정의개념, 즉 법적 정의, 보상적 정의, 분배적 정의를 살펴보고 현대에도 여전히 풍부한 영감을 주는 자살과 절도에 관한 생각을 좀 더 깊이 들여다보려 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자연법이 자연주의적 오류인지에 대한 이슈, 자연법에 대한 불가지론과 무신론적 비판과 이에 대한 자연법적 응답을 시도하면서 자연법론이 현대에도 의미 있는 사유인지 성찰한다. Various discussions on natural law in history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who pursue a law-idealism that is different from a law-positivism. The Catholic Church has been developing its doctrines related to marriage, the common good, the basis of law,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magisterium based on Thomas's tradition of natural law. In this article, I mainly introduce Thomas Aquinas' thoughts on natural law and justice developed in Summa Theologiae, and try to find a vision that can be critically accepted even today. To this end, Thomas's view of man, the basic ideology of natural law and law, the ethical virtue of justice, and various concepts of justice grasped by this virtue, namely legal justice, compensatory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will be examined. And we will dive deeper specially into thoughts about suicide and theft, which give us many inspirations even today. In the last chapter, the issue of whether natural law is a naturalistic error, an agnostic and atheistic criticism of natural law, and respective responses of the theory of natural law will be examined, and we will try to reflect on whether the theory of natural law is meaningful in modern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