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잉여부정의 형태와 의미

        김용군 중국인문학회 2016 中國人文科學 Vol.0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dundant negation expressed in various forms in Korean and Chinese, and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se of redundant negation in Korean and Chines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redundant negation. Redundant negation is a sentence in which a negative sign is used to represent an equivalent meaning to the affirmative statement, without expressing any negative meaning. The negative marker of redundant negation, which is a semantic redundant expression,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of sentence semantic expression in the surface structure, but it is a necessary component in terms of phonetics or cognition because it expresses the subjective attitude or intention of the speaker by using negative form in the deep structur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redundant negation in each language,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redundant negation in Korean and Chinese is still insufficient and it is merely mentioned in some discussions. Since the redundant nega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use of phonetic factors in use,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Korean and Chinese is often different even if the same semantic expression is used in the same situation. 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the redundant neg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redundant negation appears in different languages. This paper examines the forms of redundant negation in Korean and Chinese according to their structur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analyzes their common and differences, and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redundant negation in Korean and Chinese. The research on the redundant negation is not only a part of the study on the negation category of Korean and Chinese, but it also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can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accurate use and understanding of the redundant negation to Chinese and Korean learners.

      • KCI등재

        동사의 의미 확장 양상 연구-‘버리다’를 연구대상으로

        김용군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4 No.-

        Polysemous word achieved its meaning extension thorough ‘cognitive salience principle’. However, in Korean, you could find some verb that doesn’t fit this principle, which is ‘Beo-ri-da’. Most of previous cognitive linguistic researches on the use of ‘Beo-ri-da’ usually explained it through the core meaning structure and meaning chain structure. This article is going to explain this complex meaning extension by complementing the restraints of previous research methods, while utilizing the maximum benefits of them. Furthermore, it will observe meaning extension phenomenon of ‘Beo-ri-da’ based on corpus. Meanings of ‘Beo-ri-da’ will be examined through dictionary explanations,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ould be compared. Also, I will analyze the feature of meaning extension of ‘Beo-ri-da’ through establishing prototypical meaning, extended meaning and meaning network. Furthermore, I will focus both analysis and explanation about the usage frequency of ‘Beo-ri-da’ in terms of asymmetry.

      • KCI등재

        한중 관습적 간접부정의 표현 특징과 사용 기제

        김용군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3 No.-

        한중 부정표현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형태론과 통사론에 입각한 한국어의 ‘안’, ‘못’, 중국어의 ‘不, ‘没’ 등 부정소가 있는 부정문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실제 언어사용에서 부정표현은 보다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부정문’이 아닌 다른 언어 형식으로 부정을나타내는 ‘비전형적’인 부정표현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부정소를 사용하지 않고부정 의미를 표현하는 ‘간접부정’을 논의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중에서도 관습적 간접부정에대하여 대조 연구를 진행한다. 화용 층위의 다양한 표현과 전개 구조로 나타나는 관습적 간접부정 연구의 첫 단계는 분류 작업이다. 관습적 간접부정은 표현 형태가 복잡하고 지금까지 한중 관습적 간접부정에 대한 통일된 분류 방법도 없었다. 본고에서는 화행이론의 ‘관습성’을 토대로 간접부정을 관습적 간접부정과 비관습적 간접부정으로 나누고 한중 관습적 간접부정의표현 특징을 유형별로 고찰하였다. 본고는 또 한국어 화자와 중국어 화자가 관습적 간접부정을 사용하는 원인, 형성 과정과 이해 과정에 대하여 비관습적 간접부정과 구별하여 사용 기제를 설명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협력의 원리, 적합성 이론 등 연구 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해보았다. 한중 관습적 간접부정에 대한 연구는 한중 부정범주 연구의 일환으로 두 언어에서 실현되는 관습적 간접부정의 언어학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고 사람들이 관습적 간접부정을 사용하는 기제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Korean-Chinese research on negative representations has been focused on the Korean ‘안’, ‘못’, Chinese ‘不’, ‘沒’ which are based on morphology and syntax. However, the negative representation in actual use of language see ms more complicated and we can easily find the ‘non-typical’ negative expr essions which are not with ‘negative marker’. This paper selected ‘indirect negation’ as a subject of study which does not use negative marker to expr ess a negative meaning and conduct contrastive studies with respect to con ventional indirect negation among others. The first step of the conventional indirect negation study that appears in pragmatic layer's various represen tations and deployment structure is pragmatic classification. The expression of conventional indirect negation is complicated and there has been no uni form classification for Korean-Chinese conventional indirect negation so far. This paper classified the indirect negation into conventional and non-conve ntional indirect negation on the basis of speech act theory's ‘convention’. T he paper also investigated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Korean-Chinese conventional indirect negation by types and revealed why Korean speakers and Chinese speakers use indirect negation and how to use it. A speaker utilizes the indirect negation in a statement to realize performative act or l ocutionary act by speech act. The speaker's right intention and a listener's correct comprehension are both important to reach a complete communicati on, which was analyzed with the method of studies such as the cooperative principle and relevance theory in this paper. Research on Korean-Chinese conventional indirect negation is part of the Korean-Chinese negative resea rch. It is important to perform contrastive analysis of conventional indirect negation's linguistic features and to reveal the mechanism of how people use the conventional indirect negation.

      • 동영상에서 배경영상을 이용한 실시간 객체 추적

        김용군(Yong-Gyun Kim),이광형(Kwang-Hyoung Lee),최내원(Nae-Won Choi),오해석(Hae-Seok Oh),지정규(Jeong-Gyu Jee)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Ⅱ

        동영상에서 객체 추적은 몇 년간 컴퓨터 비전 및 여러 실용적 응용 분야에서 관심을 가지는 주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시 시스템 분야에서 적용되어 질 수 있는 실시간 객체 추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고 배경영상의 변화가 거의 없는 환경으로 제한하고, 입력영상과 배경영상의 차를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탐지하고 움직임을 추적한다. 객체 위치 탐지시 객체의 윤곽선 중 일부 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점들을 이용, 객체의 무게중심을 구한다. 객체 추적시 가변 탐색창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빠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하여 제한된 환경하에서 실시간으로 빠른 객체의 추적을 보인다.

      • KCI등재

        한글 적용의 실담범자(悉曇梵字)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고딕세리프체(소망체)를 중심으로-

        응화,용군,전서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Siddhaṃ script is an old classic style of writing that is still used up to nowadays. However, it is a typeface design quite unsuitable for modern society, due to its in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aims for finding design which satisfies many young and frequent users, even if they are limited to a small group.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ould study Siddhaṃ script typeface design appropriate for modern society by referring to Hanguel Somang typeface for several reasons. First of all, the structure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Hanguel Somang font is very similar to the Siddhaṃ script structure. Moreover, the Hanguel Somang font is a writing style which emphasizes soft serifs in a straight Gothic structure, giving it a modern and refined look. Finally, it is a typeface that is clear and natural, giving us a familiar and friendly impression. In order to study the design of Siddhaṃ script with a Korean application, we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ddhaṃ script and Hanguel Somang font and designed the collec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with a Gothic serif design.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the design proposal, the book cover of Sanskrit’s philosophical literature ‘Upaniṣad’ was designed with the newly developed typeface.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onsumers, the stratification extraction method and scale method commonly used in social statistics were appli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tering criteria for the formative aesthetic evaluation of letters. The research subjects were Chinese people interested in Sanskri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eople in twenties and thirties with a group division of 10 regions in China (Guangdong, Beijing, Zhejiang, Shanghai, Sichuan, Shandong, Jiangsu Fujian, Henan and Liaoning), and 274 cases were retrieved analyzed, excluding the missing data. According to the study, a consumer survey of Siddhaṃ script with Hanguel Somang font was preferred over other conventional typefaces due to its harmonious and unifying features. Furthermore, a simple, unified Gothic-serf style has been confirmed to enhance readability. However, responses revealed that specific word combinations with complex integr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showed a lack of unity, proportionality and order. Future research will require a design study of more complex structure word combinations. This research aims to work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iddhaṃ script typefaces, and expects further studies. 실담범자는 오래된 고전적인 글자체로 오늘날까지사용되고 있으나, 현대사회에 적합한 서체 디자인 개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실담범자 사용이 일부 사용자에 한정되어 있기는 하나 연령대가 젊고 사용 빈도가 높은 다수의 사용자를 위하여 시대가 요구하는디자인이 어떠한 것인지 연구하고 그에 맞는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한글 소망체를 참고하여 현대사회에 적합한 실담범자서체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소망체의한글 구조는 실담범자 구조와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둘째, 소망체는 직선인 고딕 구조에 부드러운세리프를 강조하여 만든 글씨체로서 현대적이며 세련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셋째, 명쾌하면서도 자연스러워 우리 시각에 익숙하고 친근감을 주는 서체이기때문이다. 연구의 내용은 실담범자의 역사와 발전 및 현황을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한글을 적용한 실담범자 디자인 연구를 위해 한글 소망체와 실담범자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 소망체를 적용한 고딕세리프체 실담범자 모음과, 자음을 디자인하였으며, 개발된 서체를 적용하여 산스크리트어 철학문헌 「우파니샤드」 책표지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소비자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사회통계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층화 추출방법과 척도법을 사용하여문자의 조형적 심미성 평가 측정기준을 근거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산스크리트어에 관심이 많은 중국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중국의10개 지역을 구분하여 20∼30대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중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274개를 회수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한글 소망체를 적용한 실담범자의소비자 조사에서 기존의 서체보다 조화롭고 통일성이있는 특징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일성있는 단순한 고딕세리프는 가독성을 높이는 것으로확인되었으며, 현대 사회와 잘 맞는 디자인이라는 좋은 반응이 있었다. 하지만 자음과 모음의 조합이 복잡한 형태의 특정 단어 조합을 통한 소비자 조사에서는통일성과 비례 및 질서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찾을수 있었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복잡한 구조의 단어 합자(合 字)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실담범자의 우수성은 같은 계열의 산스크리트어를 표기하는 다른 문자 보다 심플하여 학습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현대사회에 유용한 실담범자의 서체 개발을 시작으로 이를 통해 다양하게 발전되어 산스크리트어 사용에주 표기 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韩满对照〈五方元音〉的文字对译研究

        소뢰,김용군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5 No.-

        There are plenty of books on the transcription of Chinese, Manchu and Korean language, among which the most representative one is the O-bang-won-eum. On the perspectiv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ransliteration and transcription, the Korean spelling of Manchu in O-bang-won-eum pays more attention to the transliteration of the characters in Manchu than the pronunciation. As a result, the Korean spelling of Manchu in O-bang-won-eum is a typical transliteration, rather than transcription. In addition, the Korean spelling of the main body and annotations in O-bang-won-eum are not identical. It is probably because the original Manchu text is recorded in the main body, and there is no need to make a further distinction in the Korean transcription. However, the annotations do not record the original Manchu text, an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various symbols are added deliberately to the Korean transcription on the purpose of recognition. 민족의 접촉은 언어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언어적 상호작용은 문자의 변이를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은 韓民族, 滿洲民族, 漢族의 접촉에서 일어났고 세 민족의 對譯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중에서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韓滿對照 <五方元音>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만주어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한 내용을 다시 한국어로 轉寫하였다. 한국어로 전사하는 과정에서는 사라진 고대 문자를 차용한 상황도 있고 기존의 문자에 획수를 추가한 상황도 있으며, 두 문자를 결합한 상황, 철자 구조에 어긋나는 상황, 모음조화 규칙에 어긋나는 상황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글의 전사에서 이런 변이가 일어나는 이유는 만주 문자 형태나 한자의 음에 의해 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오방원음〉을 한글로 전사하는 과정에서 문자의 형태적인 표기보다 발음에 더욱 치중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