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비판적 세계시민성 교육의 교수학습 모델 개발
김예슬,최아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3 No.1
세계화와 자본주의는 공간적 불균등을 심화시키며,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제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지역 간 발전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지리교육에서 공간적 불균등과 사회 정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탐구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배경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에 맞춰 ‘세계시민과 지리’ 과목에서 공간적불균등 문제를 분석하고, 파울로 프레이리의 비판적 문해교육 개념을 바탕으로 비판적 세계시민성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수・학습 모델은 포토보이스 기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글로벌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탐구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 역량을 기르고, 세계와의 연결성을 강화하며, 실천적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적 실천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지리교육에서의 비판적 세계시민성 함양에 기여하고자 한다. Globalization and capitalism exacerbate spatial inequalities and contribute to socio-economic polarization.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global economic restructuring has widened regional development gaps, underscoring the need for critical inquiry into spatial inequalities and social justice in geography educ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ligns with the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analyze issues of spatial inequality within the subject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Drawing on Paulo Freire’s concept of critical literacy, this research proposes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fostering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pecifically,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ncorporates the photovoice method, enabling students to critically explore the structural issues of the global economy and seek potential solutions. Through this approach, students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strengthen their global interconnectedness, and grow as active global citizens. By offering pedagogical strategies to realize these educational transform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ltivation of critical global citizenship in geography education.
음정의 형상화를 이용한 재즈 코드 시창·청음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김예슬,전윤한 한국음악교육학회 2018 음악교육연구 Vol.47 No.4
본 연구는 실용음악 관련 학습자들의 시창·청음 수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인식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음정의 형상화를 이용한 시창·청음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감정이론과 색채와 감정효과를 활용하여 재즈 코드 시창·청음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약 16시간의 수업 과정을 거쳐 학습자의 변화 및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시창·청음 능력의 향상과 학습자들의 수업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시창 청음 능력의 향상을 위해 재즈 음계에도 적용 및 보완하여 활용한다면,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창·청음 교수방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
김예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6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1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endency of child’s loneliness, parents’rearing attitude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rear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3 children who are 4 and 5 years old from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Incheon and Daegu, and their 103 pairs of mothers and fa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was able to find that 4 and 5 year old children have some levels of feeling of loneliness. Also, both mothers and fathers tend to have affectional attitude rather than rejective attitude in child rearing. In addition, the average level of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was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there was the highest level of consistency in the affectional-autonomous attitud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mother’s affectional-autonomic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father’s rearing attitude.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s loneliness and the consistency of parents’ rearing attitude. 본 연구는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 인천, 대구 지역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3곳에 재원 중인 만 4세 48명, 만 5세 55명 등 유아 총 103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아버지 각각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외로움은 면담을 통해, 부모 양육태도는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 5세 유아들은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어머니와 아버지는 모두 자녀 양육에 있어서 거부적 태도보다 애정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더 높았다.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애정적-자율적 태도 유형에서 일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외로움은 어머니의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 양육태도와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앞으로 유아의 외로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의 안정적 정서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바람직한 양육태도와 그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김예슬,박지윤,홍정화,석은주,이영주,안립,최동준 대한한방내과학회 2023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ol.44 No.2
Objective: This study reports on the improvement of a patient with thrombocytopenia using Korean medicine. Methods: A 29-year-old woman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moxibustion, and Korean herbal medicine. Platelet counts were checked periodically to identify improvements in thrombocytopenia. Results: The platelet count showed a marked improvement during treatment, with no side effects for the patien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medicine could be used for the management of thrombocytopenia.
김예슬,신희봉,이시형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8
Purpose: We report a case of Aeromonas keratitis presenting as radial keratoneuritis. Case summary: A 33-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cleaning her contact lenses with tap water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for 1 day in the left eye. The patient showed diffuse corneal edema, stromal infiltration, and radial keratoneuritis, which were thought to be pathognomonic for Acanthamoeba keratitis. Based on the patient’s clinical findings and past history, a diagnosis of Acanthamoeba keratitis was made and she was prescribed topical fortified cefazolin (50 mg/mL, 5%), tobramycin (3 mg/mL), and 0.02% chlorhexidine per hour. Culture results from the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solution confirmed infection by Aeromonas hydrophilia.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for Acanthamoeba were negative. After 8 days of treatment, the uncorrected visual acuity was 0.7/0.3 with improvement in her corneal findings. Conclusions: Radial keratoneuritis is not always pathognomic for Acanthamoeba keratitis and can be present in Aeromonas keratitis. Therefore, ophthalmologists should be cautious when interpreting this clinical sign. 목적: 방사상각막신경염의 임상양상을 보인 에로모나스 각막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3세 여자환자가 내원 1일 전부터 시작된 좌안의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콘택트렌즈를 수돗물로 세척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전안부검사상 미만성 각막부종, 기질침윤 및 아메바성 각막염의 특징적인 징후인 방사상각막신경염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의 임상양상과 과거력을 바탕으로 가시아메바 각막염 의심하에 5% fortified cefazoline (50 mg/mL), tobramycin (3 mg/mL)과 0.02% chlorhexidine을 1시간 간격으로 점안하였다. 콘택트렌즈와 콘택트렌즈 세척액의 배양검사상 Aeromonas hydrophilia가 동정되었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검사상 Acanthamoeba는 동정되지 않았다. 치료 8일 후 시력은 0.7/0.3이었으며 각막염은 호전되었다. 결론: 방사상각막신경염이 항상 아메바성 각막염에서만 관찰되는 특징적인 임상양상은 아니며, 에로모나스 각막염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임상 결과를 해석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해수 산소동위원소를 이용한 2020년 여름철 동중국해와 대한해협 표층 저염수의 기원 추적
김예슬,이인희,함도식,강동진 한국해양학회 2025 바다 Vol.30 No.1
이 연구에서는 해수 산소 안정동위원소(δ18OH2O)를 활용하여 2020년 8월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관측된 표층 저염수의 기원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동중국해와 대한해협에서 주변 해역보다 현저히 낮은 염분(26.78과 25.59)을 보이는 표층 해수가 관측되었으며 δ18OH2O 역시 각각 -1.54‰과 -2.46‰의 작은 값을 나타냈다. 염분과 δ18OH2O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저염수의 기원과 특성을 추적한 결과, 끝 성분 혼합(endmember mixing)의 차이를 통해 동중국해와 대한해협에서 관찰된 두 표층 저염수의 기원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동중국해의 표층 저염수는 δ18OH2O = 0.221 × S – 7.47의 혼합 특성을 가지며 장강 희석수에서 기원한 것으로 나타났고 δ18OH2O 값(-7.47‰)이 이를 뒷받침하였다. 대한해협의 표층 저염수는 δ18OH2O = 0.297 × S – 9.85의 혼합 특성을 보였으며, 2020년 여름의 장마와 태풍에 의한 집중호우 영향으로 낙동강 하구로 유입된 담수에서 기원한 것으로 나타났고 -9.85‰의 낮은 δ18OH2O 값은 집중호우 기원의 담수 특성을 잘 반영한다. 이 결과는 해수 산소동위원소가 표층 저염수의 기원과 혼합 특성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origin of low-salinity surface waters observ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August 2020, based on stable oxygen isotopes in seawater (δ18OH2O).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surface waters with significantly lower salinity of 26.78 and 25.59 with δ18OH2O values of -1.54‰ and -2.46‰ were detected in the East China Sea and Korea Strait, respectivel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linity and δ18OH2O, it was found that the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observed low-salinity waters differed based on the differences in endmember mixing. The low-salinity surface water in the East China Sea exhibited a mixing characteristic of δ18OH2O = 0.221 × S – 7.47, indicating that it originated from the Changjiang River discharge, which was supported by the δ18OH2O value of -7.47‰. Meanwhile, the low-salinity surface waters in the Korea Strait showed a mixing characteristic of δ18OH2O = 0.297 × S – 9.85, suggesting it originated from freshwater inflow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due to the heavy rainfall (downpours) from the prolonged summer monsoon and typhoons in 2020. The low δ18OH2O value of -9.85‰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rainwater-derived freshwat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eawater oxygen stable isotopes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the origins and mixing characteristics of low-salinity surface waters.
원자력 정책과정에서 옹호연합 신념과 위협경직성 전략에 관한 연구
김예슬,이동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2 국정관리연구 Vol.17 No.4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dvocacy coalitions and strategies within the nuclear subsystem in Korea after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dvocacy coalitions were identifi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fuzzy clustering. The strategies of the advocacy coalit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nti-Nuclear coalition (cluster 1), the Pro-Nuclear coalition (cluster 2), and the unassociated actors (2 people) were deriv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Nuclear coalition used a threat rigidity strategy. They suggested that the impact of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on Korea is small and that they are safe. In addition, responses were standardized through meetings centered on top decision makers. As a strategy of the Pro-Nuclear coalition, a minor policy change occurre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nuclear regulatory laws and institution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confirmed the advocacy coalitions and beliefs within the nuclear subsystem. In addition, it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been confirmed that even if they belong to the same political party or organization, they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advocacy coalitions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 actor. 본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한국의 원자력 하위시스템 내 옹호연합과 전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옹호연합은 내용분석과 퍼지클러스터링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옹호연합의 전략은 국회회의록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원자력 반대연합(1군집), 원자력 찬성연합(2군집), 경계 행위자(2명)로 도출되었다. 특히 원자력 찬성연합이 위협경직성 전략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합들은 원전사고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안전하다는 점을근거로 제시하였다. 또한, 상위 의사결정자를 중심으로 한 회의를 통해, 대응을 표준화하였다. 원자력 찬성연합의 전략으로, 원자력 규제 법률과 기관의 신설이라는 정책변동이 일어났다. 본연구는 원자력 하위시스템 내부의 옹호연합과 신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의의를 지닌다. 또한, 동일한 정당이나 기관에 속하더라도 행위자의 성격에 따라 다른 연합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