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교육에서 영어 드라마를 활용한 블렌디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김영희(Kim Yo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지방대학의 교양영어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동기유발을 위해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데 그중의 하나가 온·오프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영어에서 실용영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그동안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블렌디드 러닝에 영어 드라마를 실어서 교양영어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맡은 학생들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Kim’s Convenience’라는 영어 드라마를 활용한 오프라인 중심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모형을 제안하였다. 한 학기 동안 적용한 결과 모형의 듣기·말하기의 통합적 효과와 정의적 영역에서 영어에 대한 흥미도의 향상과 불안감의 해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학생들의 제안된 모형에서 이루어진 여러 가지 수업활동 중에서 흥미도에서는 드라마 시청 활동, 효용성에서는 드라마 시청 전 언어 수업이, 이해도에서는 역할극 시연 활동이 가장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eneral English programs in provincial colleges attempt to implement different programs to motivate students in English. One such an attempt is an on/off-blended learning class. This paper in the same vein designed a blended learning model using English drama to enhance practical English proficiency of college students in the general English program. To this end, Kim’s Convenience and off-line based blended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as the experimental model based on the needs analysis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After a semester of application of the model, it is noted that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integrated proficiency was significantly raised along with the increase of interest in English and the reduction of anxiety in English. In the students’ evaluation of learning activities in the model, the drama watching activity was attributed most high to the enhanced interest in English, the off-line language lesson in the pre-watching stage was most helpful to their English learning using the drama, and finally the enactment of the role-play was most responsible for their understanding the English drama.

      • KCI등재

        뉴시니어 소비자의 로하스(LOHAS) 성향이 친환경 식자재 태도 및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영희,윤혜원,Kim, Younghee,Youn, Hyewo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HAS tendency of new seniors' and its effects on th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rom random sample of 162 senior customers in Seoul and Kyunggi area. The LOHAS tendency of new seniors can be divided into three factors; environmental-friendly, sustainability and sociality. Environmental problems affected the environmental-friendly factor the most while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sustainable products and recycling habits were key variables for the sustainability factor. The idea of companies sharing their value system of LOHAS tendency was the most significant for the sociality factor. Each of these LOHAS tendency factors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new seniors.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알레고리 연구 시어의 다의성과 발화의 비인과성을 중심으로

        김영희 ( Kim Youngh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2

        이 논문에서는 김수영 시의 난해한 문장 속에 담겨 있는 당대의 현실과 인간과 역사에 대한 통찰을 알레고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김수영에게 난해성이란 사물과 현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법론의 일종이지만 그 `정확한` 것이란 `알레고리 작가`인 김수영에게서 줄곤 `미지의` 것으로 탄생한다. 의미나 이미지의 측면에서 드러나는 혼돈의 영역, 이를테면 애매성과 다의성을 지닌 단어나 문장, 계통 없는 발화와 비인과적인 구조는 역사적 사실 내용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토대로 하는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우선, 김수영 시의 알레고리의 특성을 말의 난해성이 생산되는 원리의 차원에서, 즉 표현된 것과 의미하는 것 사이의 간극, 형상과 의미의 불일치를 통해 살펴보았다. 김수영은 대상을 본래의 연관성으로부터 분리시켜 새로운 문맥 속에 배치하거나 이질적인 대상과 결합시킴으로서 사물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김수영의 문장은 그 안에 복합적인 의미를 중층적으로 담아냄으로써 표면과 이면이 서로 다른 의미를 지시하는 언어의 아이러니를 실현하는 한편 단일한 의미에 저항하는 해석의 이율배반을 초해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김수영 시의 난해성의 양상을 세부들의 파편적인 집적과 발화의 비인과성이라는 알레고리의 원리를 통해 살펴보았다. 세세하고 사소한 것의 나열, 계통 없는 발화방식이 의미생성을 방해하고 의미화를 지연시키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세부들과 파편성과 불확정적인 의미는 그 무엇보다도 정확하게 김수영이 살았던 시대의 역사적 경험과 역사의 이미지를 표현해준다. This paper aimed to examine the insight into the reality of the time, human, and history contained in abstruse sentences of Kim Soo-young`s Poetry through the allegory. Even though the abstruseness is a type of methodology accurately recognizing and expressing objects and phenomenons to Kim Soo-young, something `accurate` is always created as something `unknown` by Kim Soo-young, as an allegory author. The ambiguity or area of chaos shown in the aspect of meaning or image, such as words or sentences with ambiguity and polysemy, utterance without lineage, and non-causal structure is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and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llegory of Kim Soo-young`s Poetry in the aspect of principles producing the abstruseness of words through the gap between something expressed and meaning, and discordance between shape and meaning. Next, it understood the aspect of abstruseness of Kim Soo-young`s Poetry through principles of allegory such as fragmented accumulation and non-causality of utterance.

      • KCI등재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내ㆍ외향성의 조절효과

        김영희 ( Younghee Kim ),고태순 ( Taesoon K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ㆍ외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의 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및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내ㆍ외향성 및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 중 수행상황 관련 외상경험과 내ㆍ외향성은 대학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인이었다. 셋째,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 중 수행상황 관련 외상경험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내ㆍ외향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oversion-extraversion in the way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influence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352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d two-way ANOV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introversion-extravers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econd, performance-related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introversion-extraversion are factors that can explain the subjec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ird, introversion-extraversion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related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establishing programs to help university students adjust to university life better.

      • KCI등재

        한국 민법상 특수지역권과 총유의 관계

        김영희(126) Kim, Younghee)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4

        한국 민법학은 특수지역권과 총유를 연결시켜 다룬다. 특수지역권을 총유하는 권리로 보는 것이다. 한국 민법학이 특수지역권과 총유를 연결시켜 다루는 것은 의용 민법의 뒤울림이다. 한국 민법상 특수지역권에 해당하는 일본 민법상 권리가 입회권이라고할 때, 일본 민법학이 입회권의 총유를 말하는 것과 한국 민법학이 특수지역권의 총유를 말하는 것이 조응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한국 민법과 일본 민법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1898년에 시행된 일본 민법은 입회권 규정을 공동소유 부분과 지역권 부분에 한 개씩 두 개를 두고 있다. 일본 민법은 총유 개념을 의식하지 않은 상태로 제정되었으며, 그런 만큼 총유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일본 민법학이 입회권과 총유를 연결시켜 다루는 것은 민법 규정 차원의 일이 아니라, 사후적 학설 차원의 일이다. 이에 비해 1960년에 시행된 한국 민법은 특수지역권 규정을 지역권 부분에 한 개만 두고 있다. 한국 민법은 총유 개념을 의식한 상태로 제정되었으며, 총유 규정도 두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 민법학이 특수지 역권과 총유를 연결시켜 다루는 것은 학설 차원의 일이기 전에, 민법 규정 차원의 일이다. 한국 민법과 일본 민법 사이에 이와 같은 차이가 있다면, 입회권과 총유를 연결시키던 식으로 특수지역권과 총유를 연결시키는 것은 적어도 한국 민법 제정 이후로는 설득력을 가지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민법학은 특수지역권과 총유를 당연하듯 연결시켜 다루고 있다. 이에 필자는 한국 민법상 특수지역권과 총유의 관계에 대해 그리고 그 두 규정의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연구를 해보려 한다. The Korean civil code Article 302 [Special Servitude] specifies that the inhabitants of a certain area, as a collective body, are entitled to take grass or trees, catch wild animals, take earth or sand, rear live stock, or take other profits from the land of the area owned by another person. The Special Servitude right is a kind of special rights which customarily recognized by most societies before the epoch of the complete privatizations of landownership. However, most of those special rights have been denied or revoked by modern lawmakers who brought individualism, liberalism, and marketeerism into the modern civil codes. Nevertheless both Korea and Japan put the provisions of these special rights into their civil codes. Meanwhile, the Korean civil code Article 275 [Collective Ownership of Property] provides that the members of an association which is not a juristic person could collectively own a piece of property or a property right. The modern lawmakers also have been denied or revoked the collective ownership for above-mentioned reasons. Nevertheless, Korea does put the provision of the collective ownership into its civil code, but Japan does not. However, Japan does have and use the concept of the collective ownership. It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that the Japanese civil code gives comprehensive influence on Korean civil code continuously. Thus, the Korean civil law scholars often follow the Japanese legal theories with relation to the articles of the Korean civil code. A typical example is that the Korean civil law scholars usually make an interpretation that the inhabitants of a certain area own their right of special servitude of the Korean civil code Article 302 as a collective body according to the Korean civil code Article 275. This interpretation is derived from that Japanese civil law scholars usually make an interpretation that the inhabitants of a certain area own their right of special servitude of the Japanese civil code Article 263 as a collective body according to German civil law concept of the collective ownership. However, the Korean civil code Article 302 differs from the Japanese civil code article 263. The Korean civil code has gone its own way during the process of deliberation of the Korean civil code bill.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ivil code Article 275 is unique to Korean civil code as a various association-related ownership provision. In short, each of the provisions of the Korean civil code has its own value as a commons-related provision and as a diverse community-related provis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deal with the provisions of the Korean civil code away from the effects of the Japanese civil code and the Japanese legal theories.

      • KCI등재

        속도의 초기값 추정을 사용한 Navier - Stokes 방정식 풀이 기법

        김영희(Younghee Kim),이성기(Sungke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2 No.9·10

        본 논문은 물리적인 힘을 기반으로 유체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유체의 흐름을 지배하는 Navier-Stokes 방정식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풀이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Navier-Stokes 방정식에 있는 비선형 항의 속도에 대한 초기값을 Stokes 방정식의 해로써 추정한다. 주어진 비선형 미분방정식의 해에 근사하게 초기값을 추정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적인 풀이 기법을 만들 수 있었다. 또한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의 암시적(implicit) 방법 중에서 방대한 계산량을 피할 수 있는 ADI(Alternating Direction Implicit)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큰 시간 간격(time-step)에 대해서 시스템이 안정적이며 계산속도 또한 빠르다. 실험 결과들은 특히 연기, 구름과 같이 큰 레이놀드 수(Reynolds number)를 가지는 유체에 대해서 탁월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We propose a fast and accurate fluid solver of the Navier-Stokes equations for the physics-based fluid simulations. Our method utilizes the solution of the Stokes equation as an initial guess for the velocity of the nonlinear term in the Navier-Stokes equations. By guessing the initial velocity close to the exact solution of the given non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we can develop remarkably accurate and stable fluid solver. Our solver is based on the implicit scheme of finite difference methods, that makes it work well for large time steps. Since we employ the ADI method, our solver is also fast and has a uniform computation 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solver is excellent for fluids with high Reynolds numbers such as smoke and clouds.

      • KCI등재

        대용량 MTP IP 설계

        김영희(YoungHee Kim),하윤규(Yoon-Kyu Ha),김홍주(Hongzhou Jin),김수진(SuJin Kim),김승국(SeungGuk Kim),정인철(InChul Jung),하판봉(PanBong Ha),박승엽(Seungyeop Park) 한국전기전자학회 2020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4 No.1

        무선충전기, USB 타입-C 등의 응용에 사용되는 MCU 칩은 제조 원가를 줄이기 위해 3~5개의 추가 공정 마스크가 필요한 DP-EEPROM(Double Poly EEPROM)보다는 추가 마스크가 한 장 이내이면서 메모리 셀 사이즈가 작은 MTP(Multi-Time Programmable) 메모리가 요구된다. 그리고 E/P(Erase/Program) cycling에 따른 MTP 메모리 셀의 endurance 특성과 데이터 retention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VTP(Program Threshold Voltage)와 VTE(Erase Threshold Voltage)의 산포는 좁은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short pulse의 erase와 program pulse를 여러 번 수행하면서 목표 전류와 비교한 뒤 전류스펙을 만족하면 더 이상 program이나 erase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하므로 program VT 산포나 erase VT 산포를 줄이는 알고리즘과 current-type BL S/A(Bit-Line Sense Amplifier) 회로, WM(Write Mask) 회로, BLD(BL Driver) 회로를 제안하였다. 매그나칩반도체 0.13㎛ 공정으로 제작된 256Kb MTP 메모리 웨이퍼에서 동작 모드에 맞게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MCU chips used in applications such as wireless chargers and USB-C, compared to DP-EEPROM (Double Poly EEPROM), which requires 3 to 5 additional process masks, it is even more necessary MTP(Multi-Time Programmable), which is less than one additional mask and have smaller unit cell size.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endurance characteristics and data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the MTP memory cell due to E/P(Erase / Program) cycling, the distribution of the VTP(Program Threshold Voltage) and the VTE(Erase Threshold Voltage) needs to be narrow. In this paper, we proposed a current-type BL S/A(Bit-Line Sense Amplifier) circuit, WM(Write Mask) circuit, BLD(BL Driver) circuit and a algorithm, which can reduce the distribution of program and VT and erase VT, through compare the target current by performing the erase and program pulse of the short pulse several times, and if the current specification is satisfied, the program or erase operation is no longer perfo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256Kb MTP memory fabricated in the Magnachip semiconductor 0.13㎛ process operates well on the waf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 KCI등재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한 환경조각의 3D 시뮬레이션 제작과정 연구

        김영희(Kim Younghee),조연제(Cho Younj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기존의 전통적인 조각제작과정에서 구상된 작품은 주어진 재료를 통해 제작되고 그 과정에서 작가의 의도에 맞지 않는 형태나 재료 때문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되며 작가의 의도와 맞지 않는 작품이 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하지만 환경조각에 있어 이러한 문제점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해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다양한 3D시뮬레이션(3D Simulation)을 통해 작품을 설치하기에 앞서 미리 작품의 배경을 만든후 작품의 형태와 재료 시공방법 등을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전 시대의 작품 제작 과정과의 분명한 차이점을 드러낸다. 3D 시뮬레이션과 같은 그래픽 기술의 발달은 재료나 그것을 다루는 기술을 전제해야 하는 예술의 본질을 변화시키고 있다. 환경조각은 그 특성상 공공장소에 작품이 설치되기 때문에 복잡하고 다양해진 사회적 환경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그에 걸 맞는 작품을 관람자에게 제공해야한다. 복잡해진 사회의 다양한 요구와 눈높이에 맞는 환경 조형물을 제작하기 위해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3D 시뮬레이션과 같은 작업은 환경조각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 할 수 있는 최적의 작업 도구로 여겨진다. 또한 기존의 제작 방법이었던 아이디어 스케치나 모형제작을 통한 작업방법과는 달리 3D 시뮬레이션이 도입된 이후에는 수천 년 동안 이루어져 왔던 전통 방식과는 다른 양상의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3D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환경조각 변화된 제작과정은 그 수행과정에 따라 스케치과정 설계도면 작성과정 배경과 작품모델링과정 맵핑과정 환경설정 및 렌더링과정 리터치과정으로 나뉘어 각 공정별로 전문화된 프로그램이 사용되어 제작된다. 3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는 조각가들은 이전 시대와는 다른 보다 편리한 작업 환경에서 작품을 제작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질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디지털 환경이 사용자 편리 위주의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기법들이 계속 연구되어 질것으로 3D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환경조각 제작방식도 더욱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The development of a graphic technology such as the 3D simulation changes the essence of art which should be based on the material or the technology required to handle it. Since the environmental sculpture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mplicated social environment with various aspects thoroughly and provide appropriate works to the public society. A work tool like the 3D simulation can be regarded as the optimal work tool which can be used to search for the new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sculpture reflecting various demands and viewpoints of the complex society. Unlike the existing method such as idea sketching or modeling a new kind proces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methods that have been around for centuries is being used after the introducing of the 3D simulation. The process of creating an environmental sculpture through 3D simulation is divided into sketching process Blueprint drafting process background and work modeling process mapping process configuration/rendering process and retouching process respect to its execution process and a specialized program is used for each specific stage of the process. The sculptors utilizing 3D simulation have been enjoying much more convenient working environment than the one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and it is conceivable that this transformation will continue to expand. This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user friendly program and continuous study of various techniques for the digital environment; therefore the method of environmental sculpture production through the 3D simulation is also expected to advance even further. programs and techniques will be continuously used.

      • KCI등재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옥외광고사인의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김영희 ( Younghee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9 No.-

        연구배경 도시환경 구성에 있어서 옥외광고사인은 도시이미지형성과 도시공간을 아름답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국제도시 인천은 2014아시안게임 개최를 비롯한 크고 작은 다양한 국제행사를 치르면서 경제자유구역청의 신도시(송도, 영종, 청라)를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 개발되어 잘 활용되고 있는 영국 및 일본, 프랑스 등의 실물사례를 현지에서 조사하고, 외국의 다양한 옥외광고 사인을 디자인적 요소(문자, 색채, 형태)의 접근방법으로 연구하여. 인천의 새로운 도시 건축물에 대한 옥외광고사인의 가이드라인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새로운 사인매체로서 등장한 LED사인의 활용방안 및 그 영향에 관해서도 살펴보고 지역 이미지 경관 창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시환경과 옥외광고사인의 이론적 고찰과, 디자인적 현황분석을 통한 국내외 사례를 종합 분석한 결과 옥외광고사인은 건축설계 시 옥외광고사인의 설치 계획도를 포함하여 계획하여야한다. 그리고 최초 디자인 제안에서부터 최종 완성까지 디자이너가 감리하는 것을 제안한다. 결론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옥외광고 사인디자인의 근본적인 가이드라인 방향을 제시 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도시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고, 국제도시 인천의 도시환경 이미지 개선에 이바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For composing urban environment, outdoor board sign is a key element in the beauty of urban image frame and urban space. Recently, Incheon has been hosting various international events that focused on New Town (Songdo, Youngjong, Chungra) which is a Free Economic Zone. It is changing rapidly. Method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n the examples of British, Japanese, French cases which developed earlier and utilized well. I have researched design elements (letters, colors, frame) approach for various foreign outdoor board signs that is the guideline method on the urban architecture of Incheon. Also I have looked into the utilization method and effects on LED sign which appears as a new sign medium, and I tried to make an image of local landscape. Result Through the urban environment and outdoor board sign by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nd design contemporary analysis with foreign and local examples. Outdoor board signs should include a planning board in the case of architecture blue print. And the designer must supervise from the first design suggestion to the last stage of completion. Conclusion I made a fundamental guideline suggestion of outdoor board sign for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Afterward, I expect this study provides an urban information easily which conducive to the innovation of urban environment for the global city In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