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절기 고품질 토마토 공정묘 생산을 위한 차광제의 이용

        김영진,김혜민,황승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하절기 고품질 토마토 공정묘 생산을 위한 차광제 종류와 처리 농도에 따른 소형 간이온실 내부의 온도 하강 효과와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차광제는 Greenshade(Daesung C & S Co. Ltd., Korea)와 Redusol, Reduheat(Mardenkro Co. Ltd., Netherlands)를 각각 30%(water:shade agent = 7:3, v/v)와 60%(30%×2회)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차광제 처리에 따른 식물체 온도는 Greenshade(GS) 3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초장은 처리별 유의차가 없었으며, 경경은 대조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엽장과 엽폭은 GS 30% 처리구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엽록소 값 역시 GS 30% 처리구에서 가장 높아 Greenshade가 광 선택적 차광제로써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엽록소 형광은 3주차 GS 6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스트레스 수치가 높았다. 근장과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차광제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 무게 비율인 T/R율은 대조구와 GS 30%에서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다. 따라서 Greenshade 30%를 처리하는 것이 식물체의 온도 저감과 생육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hade agent type and concentration for high quality tomato plug seedling production on summer season in simple greenhouses on plant growth and environmental changes. Shade agents using by Greenshade (Daesung C&S Co. Ltd., Korea), Redusol, and Reduheat (Mardenkro Co. Ltd., Netherlands) were applied on the plastic film of simple greenhouses as 30% (water:shade agent = 7:3, v/v) and 60% concentration (30% × 2 times). The plant temperature treated with Greenshade (GS) 30% shade agent was the lowest. The plant height was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affected by shading treatment, and the stem diameter was the highest under the non-shading treatment. The leaf length and width were increased in GS 30% treatment. SPAD value was the highest under the GS 30% treatment that was considered to effect by photo-selective shading agent. Chlorophyll fluorescence was the lowest under the GS 60% at three weeks that period shows the highest stress level in plant. Root length, leaf area, and fresh and dry weigh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reatments. T/R ratio means shoot dry weight per root dry weight of plant that was the lowest under the non-shading and GS 30% treat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Greenshade 30% treatment was effective for plant growth and reducing the plant temperature.

      • KCI등재

        토마토 플러그 묘 생산을 위한 신개발 인공배지의 이화학적 특성과 적정 관수 간격

        김혜민(Hye Min Kim),김영진(Young Jin Kim),황승재(Seung Jae Hw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7 No.1

        본 연구는 우량묘 생산을 위해 신개발된 인공배지와 육묘용 배지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적정 관수 간격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종의 기존 인공배지(유기배지인 coir, 혼합배지인 Tosilee와 Q plug, 그리고 무기배지인 LC와 rockwool)와 4종의 신개발 배지(혼합배지인 TP-S1, 그리고 무기배지인 PU 14-S1, PU-7B, PU 15-S1)를 이용하여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예광’을 육묘하였으며, 14일간 1일(14회), 2일(7회) 그리고 3일(5회) 간격으로 관수 처리하였다. pH는 PU 15-S1 배지에서 유의성 있게 가장 높았으며, 모든 배지에서 pH 5.17-6.90의 범위였다. EC는 Q plug 배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기발아율은 PU 15-S1 배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최종발아율과 평균발아수는 PU 14-S1배지를 제외하고는 모든 배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파종 후 15일째 토마토 묘의 생육은 Q plug 배지에서 우수하였다. 파종 후 29일 째 묘의 생육 또한 Q plug 배지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rockwool과 PU-7B 배지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생육은 1일 간격 처리에서 가장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서 토마토 육묘 시 인공배지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묘의 생육은 Q plug 배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신개발된 PU-7B 인공배지에 양분을 첨가하고 1일 간격으로 관수한다면 Q plug 배지의 결과와 같이 우수한 토마토 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ewly developed artificial medium and conventional plug medium and to investigate the proper irrigation interval to produce the high quality tomato seedlings. The five existing artificial media (organic medium coir, mixed medium Tosilee and Q plug, and inorganic medium LC and rockwool) and four newly developed artificial medium (mixed medium TP-S1 and inorganic medium PU 14-S1, PU-7B, and PU 15-S1) were used to grow tomato ‘Yegwang’ with irrigation interval of one-day (14 times), two-day (7 times), and three-day (5 times) for 14 days. The pH was the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PU 15-S1. All growing medium measured were in the range of pH 5.17-6.90. EC was the highest in the Q plug. The initial germin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the PU 15-S1. The final germination rate and mean daily germin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wing medium except for the PU 14-S1. Growth of tomato seedlings at 15 days after sowing was the greatest in the Q plug. At 29 days after sowing, seedlings were also the greatest in the Q plug, followed by rockwool and PU-7B. Also, growth was better in the one-day interval treatment. As a result, we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artificial medium to tomato plug seedlings in this experiment, and seedlings were the greatest in the Q plug. Therefor, it is considered that adding nutrients to the artificial medium of the newly developed medium PU-7B, and applying the irrigation one-day interval can produces high quality tomato seedlings similar to using Q plug.

      • KCI등재

        완전제어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광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의 생육과 기능성물질 함량

        김영진(Young Jin Kim),김혜민(Hye Min Kim),황승재(Seung Jae Hwang)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6

        본 연구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아이스플랜트의 생육과 기능성물질에 따른 광질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아이스플랜트 종자를 128구 플러그 트레이에 암면을 이용하여 파종하였고, 묘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담액식 수경재배를 이용하여 정식하고 재배하였다(EC 1.5dS•m<SUP>-1</SUP>, pH 6.5). 정식 후 2주째부터 아이스플랜트의 블러더 세포 발달을 위해 2mM의 염화나트륨(NaCl)을 첨가하여 공급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다른 광질을 가진 세 개의 인공광원으로는 형광등과 RW LED, RBW LED를 사용하였다. 이때 광주기는 14/10(명기/암기), 광도는 150μ㏖•m<SUP>-2</SUP>•s<SUP>-1</SUP>PPFD로 설정했다. 결과적으로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형광등 처리에서 아이스플랜트의 생육 증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SPAD 값은 형광등과 RBW LED 처리에서 각각 29.8과 30.6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염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엽록소 형광은 형광등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총페놀함량과 항산화능은 RBW LED 처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형광등과 RBW LED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본 결과는 형광등 처리에서 아이스 플랜트의 생육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능성물질은 RBW LED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A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ight quality on the growth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ice plant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Seeds were sown in a 128-cell plug tray using rockwool. The seedlings were then transplanted into a deep floating technique system with recirculating nutrient solution (EC 1.5 dS·m<SUP>-1</SUP>, pH 6.5)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The nutrient solution was supplied at two weeks after transplanting with 2.0 mM NaCl concentration in all treatm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bladder cells. The three light sources with different light qualities used were as followed; FL (fluorescent lamps), combined RW LED (red:white = 7:3), and combined RBW LED (red:blue:white = 8:1:1) at 150 μ㏖·m<SUP>-2</SUP>·s<SUP>-1</SUP> PPFD with a photoperiod of 14/10 hours (light/dar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 treatment had the greatest growth enhancement effects on the leaf area and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s and roots. The SPAD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under the FL and RBW LED treatments, at 29.8 and 30.6,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alinity under all treatments. Chlorophyll fluoresc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under the FL treatment. The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highest under the RBW LED treatment.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under the RBW LED and FL treatments. H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wth of ice plant was maximized under the FL treatment. The phytochemical contents were maximized under the RBW LED treatment.

      • KCI등재

        딸기 ‘매향’의 사이토키닌 처리방법과 농도에 따른 생육과 런너 생산

        김영진(Young Jin Kim),김혜민(Hye Min Kim),김현민(Hyun Min Kim),황승재(Seung Jae Hw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시설딸기 ‘매향’의 생육과 런너 생산을 위한 생장조절제의 처리방법과 농도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묘를 2016년 2월 22일에 상업용 혼합상토(토실이)를 이용하여 딸기 재배 포트(64×27×18㎝)에 정식하였다. 생장조절제인 6-benzylaminopurine을 이용하여, 정식 후 3주째에 농도를 900, 1,200, 1,500㎎·L<SUP>-1</SUP>로 제조하여 식물체당 50mL씩 각각 엽면살포와 배지관주하였다. 양액의 공급은 EC 수준을 0.65dS·m<SUP>-1</SUP>로 맞추어뿌리 활착을 위해 충분히 공급하였다. 뿌리 활착 후에는 배양액의 1회 공급량을 딸기 재배 포트 당 450mL로 하루 2회(10분)씩 공급하였다. ‘매향’ 딸기 모주의 초장과 크라운 직경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근장, 1차 근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과 같은 다른 생육 특성은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그리고, 딸기의 SPAD 값은 900㎎·L<SUP>-1</SUP>의 배지관주에서 44.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엽면살포 처리는 배지관주 처리보다 런너 생산에 효과적이었으며, 900과 1,500㎎·L<SUP>-1</SUP> 처리에서 런너 수가 가장 많았다. 반면에, 자묘 수는 엽면살포보다 배지관주에서 효과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시설딸기 ‘매향’의 생육과 런너 수는 900㎎·L<SUP>-1</SUP>의 농도로 엽면살포한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by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 (PGR) on the growth and runner production of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cv. Maehyang) in a velno-type greenhouse. The seedlings of strawberry were transplanted in pot (64 × 27 × 18 ㎝) filled with commercial mixed medium (Tosilee) on February 22nd, 2016. The 6-benzylaminopurine (6-BAP) was applied with foliar spray or drench, respectively as 900, 1,200 or 1,500 ㎎·L<SUP>-1</SUP> (50 mL per plant) at 3 weeks after transplanting. Nutrient solution was sufficiently supplied by the drip irrigation as EC 0.65 dS·m<SUP>-1</SUP> for rooting during 7 days. After rooting, the 450 mL nutrient solution supplied per pot twice a day (10 min). Plant height and crown diameter of ‘Maehyang’ mother plant appear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other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root length, number of primary roots,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 or root, were significantly the greatest in the control. And, the SPAD value of strawberry was the highest as 44.2 in the drench with 900 ㎎·L<SUP>-1</SUP>. The foiler spray was more effective in runner production than drench, and the number of runners appeared high values at the 900 and 1,500 ㎎·L<SUP>-1</SUP>. Whereas, the number of strawberry plantlets was effective in the drench.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growth and the number of runners of strawberry plant were the best achieved by foliar spray application at the 900 ㎎·L<SUP>-1</SUP>.

      • KCI등재

        동절기 공정육묘장의 난방 에너지 절감을 위한 나노탄소섬유적외선 난방등의 적정 전력과 설치 높이

        김혜민(Hye Min Kim),김영진(Young Jin Kim),황승재(Seung Jae Hw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4

        동절기에 공정육묘장에서 난방 에너지 절감과 우량묘 생산을 위해 나노탄소섬유적외선 난방등(NCFIHL, nanocarbon fiber infrared heating lamp)의 적정 전력과 설치 높이를 구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벤로형 유리 온실 내부에 수박 접목묘를 재배하기 위해 700과 900W NCFIHL을 육묘 베드(1.2 × 2.4m)에서 0.7, 1.0, 및 1.3m 높이로 각각 설치하였다. 수박(Citrullus lanatus (Thunb.) Manst.) ‘지존꿀’과 박(Lagenaria leucantha Rusby.) ‘선봉장’은 각각 접수와 대목으로 사용되었다. 접수와 대목은 편엽합접 방식으로 접목되었다. NCFIHL의 광도는 모든 처리에서 1μ㏖·m-2·s-1 이하였다. NCFIHL의 광분포는 대부분 적외선 영역에서 나타났다. 외기온도가 10℃ 이하일 때 700과 900W NCFIHL을 0.7m 높이로 설치한 처리구와 900W NCFIHL을 1.0m 높이로 설치한 처리에서 야간 설정온도(20℃)를 유지하였다. 열화상 촬영에서는 900W NCFIHL을 0.7m 높이로 설치한 처리에서 가장 빨리 식물체의 온도가 올라갔다. Compactness는 700W NCFIHL을 1.3m 높이로 설치한 처리에서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700W NCFIHL을 1.0m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timum wattage and installation height using nano-carbon fiber infrared heating lamp (NCFIHL) for heating energy saving and plug seedling production in plug seedling production greenhouse in winter season. NCFIHL of 700 and 900 W was installed over the bed (1.2 × 2.4 m) as 0.7, 1.0, and 1.3 m height, respectively, for the production of grafted watermelon seedling in venlo-type glasshouse.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Thunb.) Manst.) ‘Jijonggul’ and gourd (Lagenaria leucantha Rusby.) ‘Sunbongjang’ were used as scions and rootstocks, respectively. The scions and rootstocks were grafted by single cotyledon ordinary splice grafting. Light intensity of NCFIHL was below the 1 μ㏖·m<SUP>-2</SUP>·s<SUP>-1</SUP> in all treatment. Spectral distributions of NCFIHL presented mostly infrared area. When outside air temperature was below 10℃, 700 and 900W NCFIHL installed with 0.7 m height treatment and 900W NCFIHL installed with 1.0 m height treatment maintained the setting air temperature (20℃) at night. In the result of taking thermal imaging, the grafted watermelons were getting warm fast in 900W NCFIHL installed with 0.7 m height treatment at night. Compactness of the grafted watermelons was the greatest in 700W NCFIHL installed with 1.3 m height trea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NCFIHL installed above 1.0 m height using 700W was suitable for production of plug seed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