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음파를 이용한 정상태아의 신장 크기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용수 ( Yong Soo Seo ),최철훈 ( Cheol Hun Choi ),최석주 ( Seok Joo Choi ),최성진 ( Seong Jin Choi ),김영아 ( Yong A Kim ),양순하 ( Soon Ha Yang ),서정민 ( Jeong Min Seo ),박관현 ( Kwan Hyun Park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3

        목적 : 임신 주수별 정상 태아 신장의 전후방경 (A-P diameter)과 길이 (Length)에 관한 연구. 연구 방법 : 2001년 5월부터 8월까지 산전 진찰을 목적으로 본원을 방문한 임신 19주에서 41주 사이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태아 신장의 전후방경과 길이를 측정하였다. 임신 주수는 마지막 생리 주기 및 임신 초기의 태아의 정둔장 길이 (CRL)로 결정하였다. 기형이 있는 태아, 쌍태아, 당뇨가 있는 임신부의 태아 및 Objective : To establish size ranges of normal fetal kidneys by ultrasonogram during pregnancy. Methods : The A-P diameter and length of each of 450 kidneys in 225 consecutive fetuses between 19 and 41 weeks of gestation were measured on sonogram from Mar

      • KCI등재후보

        저혈당성 경련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진단된 Silver-Russell 증후군 1례

        이정용(Jung Yong Lee)ㆍ김영아(Young A Kim)ㆍ이경연(Kyung Yeon Lee)ㆍ오기원(Ki Won Oh)ㆍ김자형(Ja Hyeong Kim)ㆍ김준성(Joon Sung Kim)ㆍ정진영(Jin Young Jeong)ㆍ박상규(Sang Kyu Park) 대한소아신경학회 201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8 No.1

        저자들은 저혈당성 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4세 여아에서 자궁 내 성장 지연, 출생 후 지속되는 저신장과 저체중, 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머리, 신체의좌우 비대칭, 특징적인 얼굴 모양을 보인 Silver-Russell 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Silver-Russell syndrome(SRS) is a clinically heterogeneous syndrome characterized by intrauterine and postnatal growth retardation with spared cranial growth, characteristic facial features, and body asymmetry. Although mild to moderate hypoglycemic symptoms occasionally appear in children with SRS especially those who are not fed frequently and regularly, hypoglycemic seizures rarely occur. We report a rare case of SRS which was diagnosed in a 4-year-old female who admitted with hypoglycemic seizure. The patient showed the haracteristic features of SRS. Endocrinologic studies were normal except for partial growth hormone insufficiency. To prevent seizures and chronic neurologic deficits in children with SRS, the early recognition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hypoglycemia is critical.

      • KCI등재

        50-g 경구 당부하 검사의 결과와 임신성 당뇨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김종화 ( Kim Jong Hwa ),서용수 ( Seo Yong Su ),최성진 ( Choe Seong Jin ),김영아 ( Kim Yeong A ),노정래 ( No Jeong Lae ),양순하 ( Yang Sun Ha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1

        목적 : 50-g 경구당부하 검사결과와 임신성 당뇨의 상관관계와 임신성 당뇨의 진단이 가능한 50g 경구 당부하검사의 결과치를 결정할 수 있는지 여부 및 50-g 경구 당부하검사결과가 200 mg/dl 이상을 기준으로 임신성 당뇨의 진단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8년 7월부터 2002년 5월까지 50 g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한 임신부 중 결과치가 140 gm/ dl 이상인 1353명을 대상으로 100 g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하여 Objective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ults of 50-g one-hour glucose screening test (50 GTT) and gestational diabetes and to find cut-off result value of 50 g GTT which can diagnosis the gestational diabetes without other confirmative tests.

      • 농어촌민박의 안전관리 기준 및 안전지표에 관한 연구

        서혜승,이용수,김영아,Suh, hey-sung,Lee, Yong-soo,Kim, Youna-ah 한국건설안전학회 2020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Vol.3 No.1

        농어촌 민박 이용객의 증가와 정부의 관련 정책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농어촌 민박의 숙박 서비스에 대한 안전기준이나 안전지표가 부족하여 2018년 12월 강릉 펜션 일산화탄소 누출사고, 2020년 1월 동해 펜션 가스폭발사고 등 대형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숙박업소와 달리 농어촌 민박의 경우 소화기와 화재경보기 등의 일정 요건을 갖추면 영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어촌 민박 제도개선 대책으로 농어촌정비법 개정을 통해 가스와 전기안전 전문가가 안전점검을 하고 그 확인서를 제출하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민박의 숙박시설에 대한 안전기준과 안전지표를 제시하여 농어촌 민박과 관련한 지방자치단체와 정부의 운영관리와 점검에 필요한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숙박시설의 안전관리는 국민의 가장 기본적인 안전과 직결된다. 따라서 농어촌 민박에 대한 적절한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신고필증을 배부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수시점검과 안전교육 및 소방, 질식사고 등에 대한 사전예방을 위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농어촌 민박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관리 기준 및 안전지표, 수시점검 방법, 사고예방 교육을 제공하고 제도화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촌 민박의 숙박이용 국민에 대한 안전확보를 위해 반드시 안전관리 기준과 교육을 제도화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Various support is provided fo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rivate lodging user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related government policies. However, the bed-and-breakfast accommodation in rural areas lack safety standards or safety indicators for the service pension Gangneung, carbon monoxide leak accident in December 2018, 2020 East Sea in January, Pension. Large gas explosion, accident and is threatening the security of their citizens. Unlike lodging facilities, private lodg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s allowed to operate with certain requirements such as fire extinguishers and fire ala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afety standards and safety indicators for lodging facilitie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inspec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government related to lodg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rough the study, safety management areas of private lodg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ere divided into facility safety, fire safety, food safety and living safety, and detailed inspection indicators were presented. There is an academic implication that research on safety management of lodging facilities has been expanded through safety research in areas related to private lodg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management standards and indicators that can be used for safety management of private lodg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more studies on private lodg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lack of research on accommodation safety has prevented more detailed indicators from being derived.

      • KCI등재

        하행 대동맥류 파열 산모에서 응급 제왕절개술과 병행된 대동맥류 교정술

        최철훈 ( Choe Cheol Hun ),김영아 ( Kim Yeong A ),서용수 ( Seo Yong Su ),최성진 ( Choe Seong Jin ),양순하 ( Yang Sun Ha ),김종화 ( Kim Jong Hwa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9

        Aortic aneurysms are extremely uncommon in women under age 40 and are rarely encountered by obstetricians. Various physiologic changes of pregnancy appear to make pregnancy a risky situation of rupture of an aortic aneurysm and pregnancy is discouraged in

      • KCI등재

        자궁경부의 개대가 진행된 자궁경부무력증에서 응급 자궁경부봉축술의 유용성

        양순하 ( Soon Ha Yang ),김지운 ( Ji Un Kim ),최성진 ( Seong Jin Choi ),서용수 ( Yong Soo Seo ),김영아 ( Young Ah Kim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3

        목적 : 자궁경부무력증이 의심되는 임신중기의 임신부에서 자궁경부의 개대가 진행된 경우에서 시행한 응급 자궁경부봉축술이 임신 경과와 주산기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3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응급 자궁경부봉축술을 시행받은 16명의 환자에서 임신부와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임신경과 및 신생아 예후를 분석하였고 이를 같은 시기에 정규 자궁봉축술을 시행받은 48명의 환자의 기록과 비교하였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emergency cerclage on prologation of pregnancy and perinatal outcome in mid-trimester cervical incompetence with advanced cervical dilatation. Methods : We analyzed the pregnancy outcome retrospectiv

      • 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 분석

        노재홍(Jae Hong Noh),이지수(Ji Soo Lee),이용승(Yong Seung Lee),이수호(Soo Ho Lee),최중섭(Joong Sub Choi),김영아(Young A Kim),박창수(Chang Soo Park),김병기(Byoung Gie Kim),이제호(Je Ho Lee),배덕수(Duk Soo Ba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목적 : 자궁내막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양상을 확인하고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 및 치료받은 111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연령, FIGO 수술적 병기, 세포 유형, 종양의 크기, 세포분화도, 자궁근층 침윤정도, 그리고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였으며, 환자의 생존 여부는 마지막 병원 방문과 전화 연락을 통하여 조사하여 각각의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을 구하였다. 결과 : 자궁내막암의 중앙 연령은 52세였으며, 연령별 분포는 21세부터 79세까지였다. 임상 병기별 분포는 Ⅰ기가 84예 (82.0%), Ⅱ기가 16예 (8.1%), Ⅲ기가 10예 (9.0%), Ⅳ기가 1예 (0.9%)였다. 치료 방법은 전체 환자 111명 모두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수술 후 방사선 치료 60예 (54.1%), 수술 후 항암요법 5예 (4.5%)에서 시행되었다. 세포분화도 1이 73예 (65.7%), 2가 19예 (17.1%), 3이 14예 (12.6%)로 나타났으며, 침윤정도는 자궁내막에만 국한되어 있었던 경우가 37예 (33.3%), 1/2 이하인 경우가 47예 (42.3%), 1/2 이상이 26예 (24.3%)를 나타냈고, 림프절 전이는 6예 (5.4%)가 있었다. 전체 자궁내막암 환자 111예의 5년 무병생존울은 86.5%, 5년 생존율은 87.8%였다. FIGO 수술적 병기에 따른 무병 생존율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제 1기가 92.8%, 93.3%, 제 2기가 80.0%, 80.0%, 제 3기가 57.1%, 85.7%였으며, 그 외에 발생연령, 림프-혈관 침범 유무, 자궁근층의 침범 정도, 림프절 전이 유무, 그리고 C-erb-B2 발현 여부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였다. 그러나 수술 전 CA-125상승,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결과, 에스트로겐 수용체나 프로제스테론 수용체의 유무, p53 유전자 유무는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IGO 병기 제 Ib기와 제Ic기에서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은 재발 위험 인자를 가진 군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비슷한 생존율을 나타낸 것은 수술 후 방사선 치료가 재발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FIGO 수술적 병기, 세포분화도, 자궁근층 침범정도, 림프-혈관 침범 유무, 림프절 전이, 연령, C-erb-B2의 발현은 자궁내막암 환자에 미치는 유사한 인자라고 추정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uterine endometrial cancer affecting survival of the patients. Methods : Form Jan. 1995 to Dec. 2001, medical records including operation record and pathologic reports of 111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endometrial cancer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reviewed. The survival of patients was determined by description of last follow up date in medical records or phone calls. Results : The median age of all patients was 52 years and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was abnormal vaginal bleeding (74.0%). Histologic type of endometrioid adeno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90%) type of all endometrial cancers. The grades were classified into G1 (65.7%), G2 (17.1%), G3 (12.6%) and unknown (4.5%). The FIGO surgical stage was also classified into stage I (75.7%), stage Ⅱ (14.4%), stage Ⅲ (9.0%), and stage Ⅳ (0.9%). All patients were treated by primary surgery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including radiation therapy (54.1%), chemotherapy (4.5%) was applied. The overall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DFSR) was 86.5% and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87.8%. The age (p=0.04), grade (p=0.04), myometrial invasion (p=0.047), FIGO surgical stage (p=0.0067), lymph node metastasis (p=0.0001),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p=0.01) and C-erb B2 (p=0.04)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univariate analysis. Conclusion : The age, grade, myometrial invasion, FIGO surgical stage, lymph node metastasis,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and C-erb B2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uterine endometrial cancer affecting survival of the patients.

      • KCI등재

        자궁내 태아사망에 관한 임상적 고찰

        노재홍 ( Jae Hong Noh ),이선주 ( Sun Joo Lee ),노정래 ( Cheong Rae Roh ),서용수 ( Yong Soo Seo ),황종대 ( Jong Dae Whang ),김영아 ( Young A Kim ),양순하 ( Soon Ha Yang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2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3 No.1

        Objective:To evaluate the causes, methods of delivery, and maternal complications in cases of fetal death in utero(FDIU) at Samsung Medical Center. Methods:There were 92 cases of FDIU among 25,195 deliveries at Samsung Medical Center during 7 years from 1994 to 2001. In these cases, perinatal autopsy and placental biopsy was performed in 35 and 71 cases, respectively. All the clinical informations were obtained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Results:The overall incidence of FDIU was 0.37%. Most of FDIU occurred in 25 to 29 years old group(43.5%). Recurrence rate of FDIU was 3.3%. Most of FDIU were low birth weight(79.3%) and preterm(79.6%). The modes of delivery were induced labor(68.5%), laparotomy(18.5%), and the spontaneous delivery(13.0%). The causes of FDIU were chorioamnionitis(15.2%), placental abruption(14.1%), severe preeclampsia(11.9%), congenital and chromosomal anomaly(6.5%), but it was unexplained in 27.2%. There were 25 cases with maternal complications and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were intra-/postpartum fever(18.5%), postpartum hemorrhage(8.7%) and DIC(8.7%). Conclusion:The causes of FDIU could not be determined in only about 1/4 cases at Samsung Medical Center. Since FDIU recurred in 3.3%, thorough studies including perinatal autopsy and chromosomal study must be made on stillborn infants and placenta to determine the recurrent causes.

      • KCI등재

        산전 부신피질 호르몬 다회 투여요법이 조산아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최석주 ( Suk Joo Choi ),양순하 ( Soon Ha Yang ),최성진 ( Seong Jin Choi ),서용수 ( Yong Soo Seo ),김영아 ( Young Ah Kim ),노정래 ( Cheong Rae Roh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산전 부신피질 호르몬의 다회 투여가 1회 투여와 비교하여 조산아의 호흡기계 합병증을 비롯한 조산아의 예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임신 24주에서 34주 사이에 조기 분만의 위험이 있는 282명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산모는 부신피질 호르몬 투여 유무 및 횟수에 따라 (1) 부신피질 호르몬을 투여 받지 않은 군 (비사용군), (2) 부신피질 호르몬을 1회 투여 받은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ltiple courses of antenatal corticosteroid therapy on the perinatal outcomes, especially the respiratory outcomes of the preterm neonates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single course of ant

      • SCOPUSKCI등재

        Anticholinergics 가 vecuronium 의 근이완 회복에 미치는 영향

        김영아,김용익,김선종,김성열,김천숙,박욱,옥시영,송경석 대한마취과학회 1993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6 No.6

        Anticholinergics are commonly used to block undesirable musearinic effects of the anticholinesterase agents. The results observed in man and animal seem indicate that atropine may interfere with the neuromuscular junction. Our study investigate this role in clinical anesthesia, when anticholinergics are given at the beginning of recovery from vecuronium induced neuromuscular blockade. Forty-four ASA I-II adult anesthetized(tbiopental, enflurane, N, vecuronium)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surgery were monitored with ParaGraph. The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ly 0.9% normal saline 2ml in control and atropine 0.5mg,atropine 1.0mg, or glycopyrrolate 0.4mg in study group when twitch height spontaneously was beginning to regain. After administration of atropine and glycopyrrolate,TOF ratio and DBS ratio were observed at every 6min intervals. On the other hand, vecumnium 0.8mg in 0.9% normal saline20ml(control) and vecuronium 0.8mg mixed atropine 0.25mg in 0.9% normal saline 20ml(study) were given I.V. each forearm of one patient with double isolation arm test under the normal twitch height. After tourniquet release, first twitch height and TOF ratio were observed at every 5min intervals. All result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ose study groups, for all the observed tests, but anticholinergics seem to be shown to enhance the recovery in clinical doses and to delay in large doses from neuromuscular blockade. The mechanism of action of antieholinergics,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are discussed with references, possibly by acting on muscarinic presynaptic inhibitory receptors, which are invalued in the negative feedback mechanism of transmitter rel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