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남시 봉국사의 역사와 대광명전(大光明殿) 주존불(主尊佛)에 관한 고찰

        김엘리 ( Kim Elli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3

        본 논문에서는 성남시의 전통 사찰인 봉국사의 역사를 살폈으며, 법전인 대광명전의 주불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봉국사는 조선 현종대 창건되어 1939년에 경성부 소재 사찰로 법통이 이전되었지만, 봉국사 대광명전이 현지에 보존되어 사찰의 명맥을 이어나갔고, 해방 후에 봉국사는 제 이름을 되찾았다. 봉국사의 역사와 기능 변천을 고찰하면서 조선왕실의 불교문화와 대한제국기 종교계의 변화상을 파악할 수 있었고, 봉국사가 일제강점기에 김교상이 결성한 대한독립단의 독립운동 기지로 활용된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봉국사 대광명전의 주존불을 추적하면서 봉국사 창건시 대광명전에는 비로자나불이 봉안되었고, 나한전에 석가불이 안치되었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봉국사의 두 불상은 서울 지장암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서울 칠보사 목조석가여래좌상으로 현존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현재 봉국사 대광명전의 주불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939년 봉국사가 이전한 후 봉국사 대광명전에 옮겨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일제강점기 사찰의 폐합·이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유실되고 혼재된 문화재의 가치를 재정립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e looked at the history of Bongguksa Temple, a traditional temple in Seongnam-si, and examined the main Buddha of Daegwangmyeongjeon Hall.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 history and function of Bongguksa Temple,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changes in the Buddhist culture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the religious world during the Korean Empire, and to find out that Bongguksa Temple was used as a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Korean Independence Corps’ formed by Kim Kyo-sang in Japanese colonial era. Tracking down the main Buddha of Bongguksa Temple's Daegwangmyeongjeon Hall, it was revealed that Vairocana Buddha was enshrined in Daegwangmyeongjeon Hall when Bongguksa Temple was founded, and Sakyamuni Buddha was enshrined in Nahanjeon Hall. The two Buddha statues of Bongguksa Temple exist as Seated Wooden Vairocana Buddha statues of Jijangam Hermitage in Seoul and Wooden Seated Buddha statues of Chilbosa Temple in Seoul. It is believed that the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the main Buddha of the Daegwangmyeongjeon Hall of Bongguksa Temple, was moved to the Daegwangmyeongjeon Hall of Bongguksa Temple when Bongguksa Temple was relocated in 1939.

      • KCI등재

        19세기 말 高宗代 李奎承의 望京庵 重修에 관한 고찰

        김엘리(Kim, El-Ly)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본고는 망경암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재고하고, 망경암 조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망경암마애여래좌상 주변에 각자된 명문을 분석하고, 망경암칠성대중수비와 망경암소비의 비문을 살펴 망경암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망경암을 왕실 주도의 원찰로 보고,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기까지 왕들이 친히 행차하여 제의하였다는 견해를 재고하였다. 이 같은 의견은 망경암칠성대중수비의 명문과 망경암칠성대 각자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중수비의 명문에 따라 망경암의 조성시기를 고려시대까지 소급할 수도 있겠으나, 문헌상에 확인된 바는 없다. 따라서 왕들이 친히 제의를 행한 암자로 보기는 어렵고, 원찰의 기능을 했던 망경암 인근 봉국사의 영향으로 형성된 설화가 전승된 것이라고 추정된다. 망경암 칠성대 명문에 조선전기 인물인 평원대군과 제안대군이 각자되어 있고, 왕과 왕실의 일원이 각자되어 있어 망경암이 왕실주도의 사찰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소비와 중수비의 명문 분석을 통해 이 각자를 새긴 주체는 왕실이 아닌 망경암 조성자 이규승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칠성대 명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19세기 말 고종대 일정기간동안 각자되었 으며, 대한제국 이전과 이후 두 차례 이상 시간차를 두고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망경암과 칠성대를 조성한 이규승은 칠성신앙과 불교를 바탕으로 왕실을 축원하고, 개인적인 구복행위를 하였다. 이러한 제의행위는 평원대군과 제안대군의 祀孫으로 정해진 1872년경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되며, 망경암 칠성대각자도 이 무렵부터 각석되었다고 짐작된다. 망경암칠성대에서 이루어진 제의행위를 배경으로 이규승은 관료로 진출하게 되었고, 그의 아들 이용호에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영락했던 그의 집안이 경성 부호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번성할 수 있었다. 망경암은 이규승 개인의 염원과 더불어 19세기 말 고종대의 역사가 투영되어 있다. 따라서 망경암에 관한 역사적 사실관계를 논의함으로써 망경암의 문화재적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thesis reconsiderated the previous opinions about Mangkyung-am Templ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and studied building up Mangkyung-am Temple. This thesis analyzed the inscription on Mangkyung-am-ma-ae-yeolae seated statue, which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n illuminated the historical facts about Mangkyung-am Temple, with the epitaph on Mangkyung-am Chilsung-dae- jungsu stele and Mangkyung-am-so stele. First, I regard Mangkyung-am Temple as the royal temple and reconsiderated the opinion that Kings from the end of Goryeo Dynastyto the early Joseon Dynasty visited and ancestral rites personally. This opinion is based on the epitaph of Mangkyung-am Chilsung-dae-jungsu stele and the inscription of Mangkyung-am-so stele built by LeeGyuseung. The period of making Mangkyung-am Temple can be hold to be the Goryeo Dynasty but it isn’t sure. So, this hermitage cannot be the place the kings performed ancestral rites personally, and it is presumed that the tale was handed down by Boungguksa Temple around Mangkyung-am Temple. The epitaph has the names of Pyungwondaegun and Jaeandaegun who were figures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were also the members’names of royal family. That’s the reason Mangkyung-am Temple has been regarded as the royal family’s. B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scription on them, the main agent of Mangkyung-am Temple is LeeGyuseung not the royal family. Besid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ells this inscription was made during Gojongdae in the late 19th and that it was made in twice on different timetables. LeeGyuseung prayed personal subsistence and the royal family based on Chilsung religious belief and Buddhism. His action of memorial service was begun since 1872 when Pyungwondaegun and Jaeandaegun were appointed Sasuon, which means people sh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ir ancestors, the epitaph of Mangkyung-am Chilsung-dae-jungsu stele is estimated at those days. This proved by the part it was 20 years when LeeGyuseung prayed for good fortune at the inscription of Sobi in 1893. Due to this action of memorial service at Mangkyung-am Chilsung-dae, LeeGyuseung launched into politics and it affected his son, LeeYoungho, his poor family got to be rich. Mangkyung-am Temple by personal wish and the history of Gojongdae in the late 19th. Therefore, the cultural assets value of Mangkyung-am Temple is improved since the historical fact relation about Mangkyung-am Temple has been discussed.

      • KCI등재

        20~30대 남성들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김엘리(Elli Kim)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1

        이 연구는 20~30대 남성들의 좀 다른 남성성 수행을 근대 남성성과는 다른 변화라고 보고 그 특성과 의미를 하이브리드 남성성의 개념으로 탐색한다. 한국사회에서 근대 남성성은 가장으로서의 생계부양자(경제)와 군인으로서의 국가안보주체자(군사)가 결합된 씩씩한 군사적 남성성이라면, 2000년대 이후에는 부드럽고 스마트한 자기경영자로서의 남성성 담론이 등장한다. 한편으로 분단사회에서 남성만의 병역의무제는 근대적 군사안보 통치와 신자유주의 자기경영주체의 자유 추구 사이에 모순을 일으키며 문화 격차를 내는데, 이 격차는 국가안보의 강한 통치와 더불어 군의 자기계발 정책 안에서 개인의 이익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봉합된다. 20~30대 남성들은 근대 남성성을 수행할 수 없는 경제적 조건에서 이와 비판적 거리를 두고, 전통적으로 여성의 일로 간주된 것들을 차용하여 고정된 성별분업을 유연하게 만드는 교섭을 한다. 그래서 그들은 배제를 통해 남성성을 구성하는 근대적 헤게모니 남성성과는 달리, 이질적인 요소들을 혼융하는 하이브리드 남성성을 수행하며 복합성과 유동성, 분열성을 드러낸다. 그래서 이 연구는 포스트근대 남성성의 단서를 특징화하고, 20~30대 남성들의 여성혐오정동만이 아닌 좀 다른 남성성을 수행하는 남성들의 혼종성에 초점을 두어 젠더관계 조정을 위한 저항의 생성 가능성을 열어놓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hybrid masculinity reconstructed by men in their 20s and 30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odern hegemonic masculinity, and explores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The masculinity of modern developmental society was characterized as strong militaristic masculinity combined the breadwinner as the head of family with the national security subject as a soldier. In contrast, a soft and smart self-management masculinity has newly emerged since the 2000s in neoliberal society. Besides, the male-only conscription system causes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rule of military security and the pursuit of liberty in neoliberal self-management and makes cultural gap between them. However, this gap is patched up in the way of expanding the individual interest of men within the self-development programs conducted by the military. The men in their 20s and 30s criticize masculinity negatively in economic condition, which is not able to perform modern masculinity, and negotiate with given gender rules for making strict gender division of labor flexible by performing women’s traditional roles. Thus they perform their hybrid masculinities which are charactered as complex, fluidity and ambivalence in contrast to modern hegemonic masculinity constructed through the exclusion of non-hegemonic elements. This study implies that this hybrid masculinity may signal a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masculinities and opens up a possibility for changing the gender relations by focusing on the hybridity of young males who perform slightly different masculinities, rather than speak misogyny.

      • KCI등재

        여성의 군 참여 논쟁

        김엘리(Kim, Elli)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1

        이 글은 여성의 군 참여에 관한 영미 페미니스트들의 논의를 평등 프레임과 탈군사화 프레임에서 살펴보면서 이 두 프레임을 넘어서, 평등과 탈군사화를 모순되나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다초점 접근의 필요성을 논한다. 평등 프레임은 여성의 군 참여가 정치사회적으로 온전한 평등성을 획득하는 방법이라 보고 여성들도 군사안보의 책임을 질 때 동등한 시티즌십을 행할 수 있다고 보는 틀이다. 반면 탈군사화 프레임은 군사안보를 실행하는 군의 합법적 폭력성과 군사화를 비판적으로 논의하는데 주력한다. 평등 프레임에서 논하는 성평등주의자들은 전투업무까지 참여할 때 온전한 참여가 이루어지며, 여군은 자율과 능력이 있는 여성으로서 군을 변화시킬 수 있는 주체로 본다. 반면 탈군사화 페미니스트들은 시티즌과 병역의 상호연결성이 사회의 군사화를 심화시킨다고 판단하므로 여성의 군 참여에 소극적이며, 여군이 피해자로 처할 수 있는 폭력적인 구조에 관심을 둔다. 두 프레임은 개인과 구조, 안보와 평화, 성차와 평등을 논하는 접근과 인식이 다르지만, 이 글은 여성의 군 참여를 다각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탈군사화된 군 활동을 지향하면서도 성평등을 논의하고자하는 시도이다. This study presents a critical reflection on Western feminists’ debate on drafting women and female soldiers, discussing the necessity of multi-focal approach in order to move beyond equality frame and demilitarization frame, which present drastically different approaches to and understandings of the military. The Equalitarian feminists who argue for equality frame regard women entrance into the military as the main way of accomplishing gender equality, and insist that women can obtain equal citizenship as men when women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national military security. They contend that women should have the right to fight, and that women soldiers are subjects who have the autonomy and capability to transform the military. In contrast, Feminist antimilitarists who argue for demilitarization frame concentrate on criticizing militarization and legitimization of military violence employed in militaristic security. They argue against women entering the military because they think that martial citizenship spreads militarism in the society. They also point to the violent structure within which female soldiers can become victims. This study attempts to consider diversified analysis, which moves beyond both of the frames by suggesting multi-focal lens through which we can see both micro and macro levels along with its potential contradictions in an effort to embrace both gender equality and demilitarization.

      • KCI등재

        여성군인의 우수인력담론 구성

        김엘리 ( Elli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6

        본 연구는 여군의 제도 변화에 따라 여성군인이 어떻게 활용되었는가를 중심으로 여군의 역사와 정책을 분석한다. 그리하여 여군의 사회적 위치와 정의를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작동하는 젠더권력을 드러낸다. 한국 전쟁 시기에 여군은 ‘여성이라서 못할 것 없는’ 우수한 여성이었으나 남성을 향한 각성과 격려를 위한 타자로, 근대화 기획의 성별분업 구도에서 남녀분리시기의 여군은 여군 무용론 논란을 잠식하지 못한 채 총력안보체제의 애국적 귀감으로 언설화된 반면, 1990년대 남녀통 합시기에 여군은 군 안으로 좀 더 이동하여 적극적으로 군인으로서의 위치를 갖는다. 전쟁 시기에 우수한 여성으로 포착된 여군은 남녀통합체제로 전환된 1990년 이후 우수인력담론 안에서 그 구체적 의미를 구성한다. 우수인력담론은 고기술 정보전이라는 현대전담론과 여성인력활용정책담론을 통해 여군 존재성의 타당성을 높이며 여성의 군 진입을 윤활하게 하는 효과를 낸다. 뿐만 아니라 우수인력담론은 성평등 담론과 만나서 여군을 여풍시대의 강한 여성, 21세기 여성시대를 대표하는 우먼파워로 표상한다. 그러나 한편, 전투력 고양이 조직의 목표인 군에서 여군은 육체적 결핍으로 인해 능력의 한계를 지닌 군인이므로 지속적으로 자기 계발을 해야 할 것을 함의한다. 동시에 군은 ‘여성고유의 특성’을 여군의 우수성으로 환원하여 섬세함, 꼼꼼함, 예민함과 같은 특성들을 여군들의 전문적 능력으로 재해석한다. 우수인력담론은 남성중심적인 군에서 남군들에게 위협을 주지 않으면서도 여군이 군인으로서 용인될 수 있었던 전거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ocial positions and meanings of the Korean woman soldier and to reveal the gender dynamic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woman soldier by analyzing the history and policies affecting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woman soldier, particularly on how changes in the military system reposition and redefine women soldiers. The Korean woman soldier was found as a competent woman during the Korean war, and was stood for a patriotic symbol in an all out national security system under the military authorities and then was represented in the discourse of competent human resource after the military switched to sex-integrated system in the 1990’s. The competent human resource discourse of the Korean woman soldier, combined with both discourses on high-technology war and utilizing female resources, has relocated the woman soldier’s position. Considering gender equality in the background, the competent human resource discourse represents her as a strong woman soldier in the new women era. But in military meritocracy, equality is easily sacrificed over military efficiency. The military prioritizes on strengthening the combat force and the female soldier is often regarded as having weak physical strength so that she should keep trying for self-development to be equal with male soldiers. Also, the military re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such as carefulness, softness and sensitiveness, as components of the competent human resource discourse connecting them only t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women. Thus with the competent human resource discourse, women do not pose a threat to male soldiers and their acceptance into the military is facilitated.

      • KCI등재

        한산이씨의 『고행록』으로 본 조선후기 사대부가 여성의 삶

        김엘리 ( Kim El-ly ) 한국여성사학회 2017 여성과 역사 Vol.0 No.26

        본고는 한산이씨가 환갑 무렵에 자신의 일생을 반추하며 쓴 『고행록』을 통해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의 삶을 살펴본 것이다. 한산이씨는 선조대 영의 정을 지낸 아계 이산해의 현손녀로 1659년에 태어나 69세의 삶을 살았다. 1676년 18세의 나이로 유명천의 三娶로 출가하였다. 남편 유명천은 숙종대이조 예조 호조판서를 역임한 명신으로 한산이씨는 유명천과 결혼하여 남편의 품계에 따라 10대 때 정부인 외명부 직첩을 받게 되었다. 남편 유명천은 진주 유씨 대종가 종손이었으며, 정치적으로 남인계 인물이었다. 숙종대환국정치로 인해 3차례 유배형을 선고 받는다. 외명부 직첩을 받은 영화로움은 정치적 피화로 인해 고행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유배형은 왕의 특별사면이 있어야 해배될 수 있는 형벌로 죽을 때까지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重刑이다. 한산이씨는 남편의 해배가 기약이 없다고 판단하고 남편의 배소로 이주하여 사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縣吏와 驛卒의 집을 옮겨가며 우거하기도 하고, 절도에 안치되어 이거에 어려움도 있었지만, 유배 중인 남편을 대신해 집안의 상례와 장례를 주관하는 등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 주었다. 한산이씨는 『고행록』을 저술해 후손에게 전한다. 가문의 시련이 오더라도 宗婦라면 의연히 받아들이고 감내해야 한다는 것을 자신의 고행을 통해 후대에 알리고자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종부로서 소임을 다하기 위한 삶의 태도는 정치적 피화 속에서도 가문을 지켜준 정신이 되었기 때문에 그녀가 저술한 『고행록』은 후대에 전사되어 가문에 전승되는 이유일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a gentry woman`s life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book 『Asceticism』written by Mrs. Hansan Lee when she was around 60 years old. Mrs. Hansan Lee, a granddaughter of Agae Leesanhye who served as a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was born in 1659 and lived to 69 years old. In 1676 when she was 18 years old she got married to Umyungchun. Her husband Umyungchun successively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so Mrs. Hansan Lee was appointed to the Jungbuin Oemyeongbu. Umyungchun was the succeeding grandson of the U family in Jinju and one of the Namingae political line. He was sentenced to exile three times during King Sukjong`s political upheaval. Glory turned to asceticism because of the political struggle. Exile is a punishment, which can only be lifted by a pardon from the King. But even in the case of pardon return to one`s own hometown is impossible. In these circumstances Mrs. Hansan Lee decided to move to her husband`s place of exile. She had to transfer to several places but managed to supervise conventional practices and funeral rites. Mrs. Hansan Lee wrote the book 『Asceticism』for her descendants. She believed she should accept and endure the family`s hardship, and wanted to inform her descendants of her own specific life experiences. Her attitude towards life became the standard to console the family during political struggle. In this way her book 『 Asceticism』 became widely read.

      • KCI등재

        여성 군인의 능력 있는 자기계발과 군인 되기

        김엘리(Elli Kim)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1

        본 연구는 여성장교들이 ‘능력 있는 자기’를 어떻게 기획하고 경영하는지 분석한다. 그래서 초남성 공간의 젠더권력과 신자유주의적 능력주의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차별화된 자기 계발 전략을 찾는 여군들의 행위성과 ‘능력 있는 자기’를 구성하는 맥락으로서 사회적 조건을 밝힌다. 여군들의 능력 있는 자기 추구는 남성만의 병역의 무제인 한국사회에서 군인을 직업으로 선택한 동기에서부터 출발한다. 도전과 진취성, 모험성, 자기효능감,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여군들은 젠더가 탈각된 자기이자 새로운 일들에 도전하여 성취감을 느끼는 ‘능력 있는 자기’를 계발한다. 그런데 여군은 섹스화된 몸을 가진 여군에서 부착되어 수반되는 ‘여성적인 것’과 보편적 군인을 구성하는 규범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관리해야 하므로, 군의 통치담론에 조응하면서 ‘여성적인 것’을 재의미화하고 경쟁력으로 만드는 관리 전략을 취한다. 남성 군인의 보편성을 부정하고 신자유주의적 여성성을 활용하여 능력 있는 자기를 강화하는 것이다. 능력 있는 자기로서의 여군 주체는 성주류화 정책을 펼친 국가페미니즘과, 군사전략변화에 부응하고 신자유주의 시장원리에 포섭된 군 인적자원개발정책 실행 속에서 등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female soldiers enterprise and manage their ‘self’ in search of unique strategies to develop their competencies in a hyper-masculine space where gender and neoliberal meritocracy work together. Their pursuit of ‘competent self’ begins from motivation when they voluntarily choose to become professional soldiers under the male-only conscription system. They expect to gain self-realization and self-satisfaction by challenging themselves to carry out new tasks, and enjoying their new achievements in the all-male military arena. Thus they constantly attempt at developing their ‘competent-self’. But they also manage the risks involved, the limitations and gaps between ‘the feminine’ and the modern soldier subjectivity. And they use it as a strategy to strengthen their ‘competent self and differentiate from male soldiers. Such ‘competent self’ has emerged under the gender-mainstreaming polity practiced by South Korea’s state feminism and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of the military. These practices are aligned with overall military strategy and the marker principle of neoliberal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