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훈민정음(訓民正音)<제자해(制字解)> ‘정음이십팔자각상기형이제지(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에 대하여

        김양진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8 No.-

        This article emphasizes the argument of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 in (Haeryebon)Hunminjeongeum. Theory of Explanation of How to make letters in Hunminjeongeum has been explained to have been generally applied only to the basic letters of the consonant letters(ㄱ,ㄴ,ㅁ,ㅅ,ㅇ), and extended by the principal of ‘add stroke’ about the rest of the other consonant letters. It has been explained that vowel letters come from a reference impression of an abstract object called ‘Sky-Earth-Human(天地人)’. Makers of Hunminjeongeum clearly recognized all 28letters as coming from the imitation of phonetic organ. It is based on the system of 2×5=10 and ‘consont-vowel’ based on the system of ‘Rakseo(<洛書>)-Hado(<河圖>)’ according to the method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that time of the making of (Haeryebon)Hunminjeongeum, they made letters under the broad principle of the imitation of phonetic organ. It can be seen as choosing an abstractianal expansion method for vowel letters to ensure that the harmony of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s fully reflected. 본고는 훈민정음(訓民正音)<제자해(制字解)>에서의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의 논지를 강조하였다. ‘훈민정음’의 발음기관 상형설은 그동안 자음자의 기본자 ‘ㄱ, ㄴ, ㅁ, ㅅ, ㅇ’에만 적용되고 나머지 다른 자음자들은 기본자로부터 가획의 원리에 의해 확장되고, 모음자는 ‘天地人’이라는 추상적 대상에 대한 지시적 상형(象形)으로부터 기인했다는 설명이 일반적이었으나 본고에서는 훈민정음 28자가 모두 상형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해례본)훈민정음<제자해>의 설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이들이 모두 상형에 따랐을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김양진(2016)에서는 이 가운데 자음자의 상형에 대한 해설에 집중하였는데 본고에서는 그 논의에서 미진하였던 모음자 상형의 논리를 보충하여 강조하였다. (해례본)훈민정음의 제작자 혹은 해설자들은 분명히 이들 28자 모두를 발음기관의 상형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을 것이다. 다만 그 설명에서는 이를 당시의 역학(易學)적 해석의 설명 원리인 ‘음양-오행’의 방식에 따라 ‘2×5=10’의 체제와 ‘자음-모음’을 ‘<낙서(洛書)>-<하도(河圖)>’의 체제를 바탕으로 하는 ‘구체-추상’의 설명 방식을 취하게 되면서 모음자의 경우 마치 발음기관 상형에 앞서 어떤 추상적 원리를 우선적으로 본뜬 것처럼 서술되었을 뿐이다. 기존의 논의에서 훈민정음 모음자를 ‘天地人’ 상형에 한정한 것은, 후대의 해석이 당대의 서술 방식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데서 기인한 현상이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 혹은 (해례본)훈민정음 제작 당시에는, 발음기관 상형이라는 대원칙 아래 문자를 만들되 다만 그에 대한 해설에서 음양오행의 조화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음자의 경우 추상적인 서술 방식을 택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 KCI등재후보

        ≪高麗史≫<食貨志> 漕運 條 所載의 몇몇 地名에 대하여

        김양진 한국지명학회 2010 지명학 Vol.16 No.-

        The place names of 60浦 written in <Sikhwaji(食貨志)> ‘Joun(漕運)’ article of Korye-sa(高麗史) are to be re-constructed as similar as possible in form of Middle Korean. Especially the place names written by Chinese-borrowing writing system should be checked in books and materials written by Chinese-borrowing writing system. The place names in comments of Yongbieochenga(龍飛御天歌) could be very helpful to interpret those place names which mentioned above. Furthermore, <The compilation introductory remarks of the whole country's geographical book> of HwangYunseok(黃胤錫), the place related names of New added Tonggukyeujiseungnam(新增東國輿地勝覽) gave it a important clue to interpret those place names. As a result of research errors such as ‘主乙在→主乙浦’, ‘加乙斤實浦→勿乙斤實浦’, ‘夫攴浦→夫支浦’, ‘所攴浦→所支浦’, ‘豊山→禮山’, ‘含豊→合豊’, ‘希安→保安’ are discussed, and 骨浦[*golgai], 金遷浦[*soibeorʌgai], 薪浦[*saiai], 木浦[*namgai], 置乙浦[*dulgai], 白岩浦[*hʌinbahoiai],黃利內地[*gorinʌigeun],屈乃浦[*gulnagai/*gulnaiai], 主乙在[*julgai], 大募浦[*hanmoiai], 松串浦[*solgocgai], 夫攴浦[*beudiai], 省草浦[*soksaiai], 加乙斤實浦[*mʌlgʌnsilgai], 楊等浦[*beodeulgai], 所攴浦[*sosgai/*sojigai], 居乙浦[*geolgai], 登承浦[*deumbadgai], 梨浦[*baiai], 未音浦[*meuieumgai], 置音淵浦[*dumsogai/*deumsoigai], 下置音淵浦[*lower dumsogai], 赤於浦[*beulgeogai]’ are re-interpreted 본고에서는 ≪高麗史≫의 <食貨志> 漕運 條에 기록된 고려 초기의 60浦에 대한 지명을 원칙적으로 차자표기된 지명으로 이해하고 이들을 가능한 한 중세 국어 어형에 가깝게 재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차자표기 지명들이 오랜 세월 누적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표기상의 오류 혹은 해석 상의 오류를 가능한 한 걷어내고 이들 차자표기 자료들을 살펴야 함을 강조하였고 ≪龍飛御天歌≫(1447) 협주에 훈민정음으로 독음이 달린 지명 표기들이 이 지명들을 해독하는 데 커다란 디딤돌이 될 수 있음을 보였다. 나아가 ≪新增東國輿地勝覽≫이나 황윤석(黃胤錫)의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에 실린 지명 관련 기록들로부터도 이들 지명을 해독하는 데 있어서의 주요한 암시들을 얻을 수 있었다. 본고의 논의 결과, ‘主乙在→主乙浦’, ‘加乙斤實浦→勿乙斤實浦’, ‘夫攴浦→夫支浦’, ‘所攴浦→所支浦’, ‘豊山→禮山’, ‘含豊→合豊’, ‘希安→保安’ 등의 지명 표기상의 오류 문제가 자료 해독에 앞서 거론되었고 ‘骨浦[*골개], 金遷浦[쇠벼개], 薪浦[*새개], 木浦[*남개], 置乙浦[*둘개], 白岩浦[*바회애], 黃利內地[*고리근], 屈乃浦[*굴나개/*굴내애], 主乙在[*줄개], 大募浦[*한뫼애], 松串浦[*솔곶개], 夫攴浦[*브디애], 省草浦[*속새애], 加乙斤實浦[*실개], 楊等浦[*버들개], 所攴浦[*솟개/소지개], 居乙浦[*걸개], 登承浦[*듬받개], 梨浦[*배애], 未音浦[*믜음개], 置音淵浦[*둠소개], 下置音淵浦[*아랫둠소개], 赤於浦[*블거개]’ 등의 포구명들이 중세 국어 시기의 고유명으로 재해석되었다.

      • KCI등재

        부정의 기능동사 '않-/안하-', '못하-' 의 설정에 대하여

        김양진 한국어학회 2007 한국어학 Vol.35 No.-

        If short negations such as 'an meok-(don't eat)' are called modificational short negation, short negation such as 'saenggak anh-(don't think)' may be called substitutional short negation. 'ang-/anha-(don't), motha-(can't), andwe-(not be done), ansikhi-(don't cause)' appearing in substitutional short negation is all light verbs having parallel structures of 'ha-(to do), dwe-(to be done), sikhi-(to cause)' which are predicational forms of predicational noun in Korean. Those 'ang-/anha-(don't), motha-(can't), andwe-(not be done), ansikhi-(don't cause)' are syntactically conjunct with animate predicational nouns in syntactic component meaning of negation, but they are not conjunct with adjectival predicational nouns. They also dependantly appear behind intransitive predicational nouns which are syntactically independent, but they are not conjunct with roots kinds which are internal elements of a word. Lexical negation such as 'moreu-(don't know), eops-(not be)' and substitutional short negation such as 'saenggak anh-(don't think)' and modificational short negation such as 'an meok-(don't eat)' are generated in a sequent order and they show syntactic blocking phenomena based on generating order.

      • KCI우수등재

        시조 초중종 3장 형식의 연원과 전승

        김양진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2

        In this paper, Sizo could be understood to have left the entire Joseon Dynasty through the Goryeo-Song of the Goryeo Dynasty, not in the form of a song dedicated to Sadaebu(大大夫) that was formed accidentally in the Goryeo period, but in the system of Hyangga, Samgu-Yukmyong, which was already formalized from Silla to Chasa-sanoe-geok(嗟辭詞腦格). This argument was largely attributed to Jaemin Park(2004)'s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y of a 10-line liqueur in Mojukjiranga, the discussion of hwuku of Silla Hyeongga in Cheolwon Seo(2011), and a new judgment on the formation of Hyeongga in Sunkyu Kim(2016). In other words, Silla's 10-line Hyeong-Ga in Chasa-sanoe-geok originally had a continuous composition of a first verse[first-middle-final]-a second verse[first-middle-final], of which the final line was omitted according to the chorus phrase, and the corresponding chorus phrase is omitt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horus phase. In addition, Goryeo-Song took place as these 3-line 2-verse formats were left with only 1-verse left or extended to longer configurations of more than 3-4-verse, and many of the Goryeo-Songs were left in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whether refines or chorus phrase were deployed, but clearly in the Silla Hyangga and Sizo formats were in the same location. There is also literary significance in that through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Sizo which is a traditional Korean poem, emphasized the familiarity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emphasizing that it is a poem with a long history of more than 1,500 years, which was formed from the late Goryeo, beyond the 600-year tradition since the United-Silla period. 본고에서는 시조가 고려말 우연히 형성된 사대부 전용의 노랫말 형식이 아니라 이미 신라 때부터 정형화된 차사사뇌격으로부터 이어지는 3구 6명의 향가 체제가 고려시대 고려가요를 거쳐 조선시대를 통틀어 남겨진 것으로 이해해 볼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박재민(2004)의 <모죽지랑가>의 10구체 가능성 탐구와 서철원(2011)에서의 신라 향가 후구(後句)에 대한 논의 및 김성규(2016)에서의 향가 구성 형식에 대한 새로운 판단에 힘입은 바 크다. 즉 차사사뇌격(嗟辭詞腦格)의 신라 10구체 향가들이 본래는 1연[초-중-종]-2연[초-중-종]의 연속적 구성이었으며 이 가운데 종장이 후렴구로 해당 후렴구가 생략되는 양상에 따라 8구체 향가가 남겨진 것임을 주장한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3장 2연의 형식이 1연만 남겨지거나 3, 4연 이상의 더 긴 구성으로 확장되면서 고려가요가 이루어졌으며 상당수의 고려가요들이 여음구나 후렴구의 배치 여부에 따라 그 모습이 다양하게 남겨지긴 하였으나 향가와 시조의 징검다리 위치에 있는 시가 형식이 분명함을 실제 사례를 통해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는 한국 전통 시가인 시조가 고려말 이래의 6백년 전통을 가진 형식을 넘어서 통일신라시기10구체 향가로부터 형성된 1500년 넘는 오랜 역사를 가진 시가 형식임을 강조함으로써 우리 문학의 역사의 면면함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국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생존 분석 자료에서 적용되는 시간 가변 ROC 분석에 대한 리뷰

        김양진 한국통계학회 2022 응용통계연구 Vol.35 No.1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곡선은 이항 반응 자료에 대한 마커의 분류 예측력을 측정하기 위해 널리 적용되어왔으며 최근에는 생존 분석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여러 가지 유형의 중도 절단과 원인 불명 등 다양한 종류의 결측 자료를 포함한 생존 자료 분석에서 마커의 사건 발생 여부에 대한 예측력을 판단하기 위해 기존의 통계량을 확장하였다. 생존 분석 자료는 각 시점에서의 사건 발생 여부로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점마다 ROC 곡선과 AUC를 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중도 절단과 경쟁 위험 모형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론과 관련 R 패키지를 소개하고 각 방법의 특성을 설명하고 비교하였으며 이를 검토하기 위해 간단한 모의실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프랑스에서 수집된 치매 자료의 마커 분석을 시행하였다.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developed to quantify the classification ability of marker values (covariates) on the response variable and has been extended to survival data with diverse missing data structure. When survival data is understood as binary data (status of being alive or dead) at each time point, the ROC curve expressed at every time point results in time-dependent ROC curve and time-dependent area under curve (AUC). In particular, a follow-up study brings the change of cohort and incomplete data structures such as censoring and competing risk. In this paper, we review time-dependent ROC estimators under several contexts and perform simulation to check the performance of each estimators. We analyzed a dementia dataset to compare the prognostic power of markers.

      • 실험실 규모의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한 Leucaena의 반탄화물에 대한 반응온도의 영향

        김양진,박영수,김나랑,남성방,구재회,채채우,조남진,백남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2

        화석연료 고갈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대체 에너지원 확보에 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EU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의 80% 정도를 바이오매스로 달성하고 있을 정도로, 바이오매스는 자원의 순환적 이용과 재생산 가능한 청정에너지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인 바이오매스는 밀도가 낮고 함수율이 높기 때문에, 바이오매스를 펠렛화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물리적인 압축을 통해 밀도를 높인 펠렛의 발열량은 약 4,000kcal/kg 정도로, 일반연료유(휘발유)의 발열량인 8,000 kcal/kg의 약 50% 정도 수준으로, 에너지밀도가 높은 바이오매스 연료 생산이 필요하다. 반탄화(Torrfaction)는 반응온도 200~300℃ 범위에서 무산소 조건에서 일어나는 열화학적인 공정으로 부분적인 탈휘발화 반응 및 열분해 반응을 통하여 에너지 밀도가 높은 탄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말레이시아에서 자생하는 바이오매스 중 Leucaena를 반응시간 30분인 조건에서 반응온도를 228, 266, 290, 315 및 350℃로 변화시켜 생성된 반탄화물에 대한 기초성분 및 SEM 분석 등을 통하여, 반응온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