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인정찰 탱크로봇에 대한 해킹 공격 및 취약점 분석에 관한 연구

        김승우,박대우,Kim, Seung-woo,Park, Dea-w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9

        드론봇 전투체계는 4차산업혁명에서 미래 전장의 대표적인 모델이다. 드론봇에서 무인정찰 탱크로봇은 인간보다 더 높은 전투력으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장 환경은 장애물, 적 상황 등 매우 복잡하므로 탱크로봇을 조종사가 제어 할 필요도 있다. 탱크로봇은 ICT 신기술의 로봇으로서 해킹 공격이 가능하며, 제어에 이상이 생기면 조종 및 통제에 위협을 줄 수 있다. 탱크로봇과 컨트롤러의 통신구간에 블루투스 Sniffing 공격을 하여, 블루투스에 대한 취약점을 소개하고, 보안대책으로 MAC주소 노출예방과 통신 구간 암호화를 이용한 대책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미래 군 작전에 운용될 탱크로봇에 대한 취약점을 최초로 제시하였으며, 국방 드론봇 부대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dronebot combat system is a representative model of the future battlefiel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dronebot, unmanned reconnaissance tankrobot can minimize human damage and reduce cost with higher combat power than humans. However, since the battlefield environment is very complex such as obstacles and enemy situations,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pilot to control the tankrobot. Tankrobot are robots with new ICT technology, capable of hacking attacks, and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control, it can pose a threat to manipulation and control. A Bluetooth sniffing attack was performed on the communication section of the tankrobot and the controller to introduce a vulnerability to Bluetooth, and a countermeasure using MAC address exposure prevention and communication section encryption was proposed as a security measure. This paper first presented the vulnerability of tankrobot to be operated in future military operations, and will be th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defense dronebot units.

      • KCI등재

        종묘제례악장(宗廟祭禮樂章) <보태평(保太平)>,정대업(定大業)의 특성과 변모 양상

        김승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民族文化硏究 Vol.48 No.-

        <용비어천가>는 그 분량이 방대하고 구성 또한 복잡했던 탓에 실제 연행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세종은 <용비어천가>의 제작 직후 다시 <보태평>·<정대업>의 제작에 착수하여 육룡의 사적을 '文德'과 '武德'으로 특화된 주제적범주에 따라 재해석 내지 재배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보태평>·<정대업>의 내용은 대부분 <용비어천가>로부터 연원하지만, '太宗에 대한 강조'·'武人的 영웅형상의 부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는 <용비어천가>보다 한층 강화된 주제와 어조를 전달한다. 특히 두 번째 특성과 관련하여 세종은 <보태평>과<정대업>가운데 <정대업>쪽에 더욱 큰 비중을 둠으로써 祖宗의 여러 행적 중에서 특히 강인한 무장으로서의 위상을 한층 앞세워 놓았다. 이러한 사정에 대해서는, 고려말의 상황을 바라보는 왕실과 신료 사이의 견해차로부터 그 원인을 추적해 볼 수 있다. 조선왕조 창업의 추동력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두고, 신료들이 여말 신진사대부들의 적극적인 개혁활동과 성리학적 이념의 도입을 강조했던 반면, 세종은 홍건적·왜구 등 이민족의 침입을 격파했던 祖宗의 업적과 그 영도력을 특히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조종의 무인적 영웅형상이 강화된 형태로 즉 <정대업>이 <보태평>보다 부각된 형태로 그 비중이 정해진 것이라 해석된다. 그러나 세조대에 <보태평>·<정대업>이 종묘제례악장으로 공식화 되면서 그 내용에도 변개가 나타난다 세조대의 개작은 <보태평>은 그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되 <정대업>은 대폭 축소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변개의 원인으로는, 세조대에 이르러 달성된 왕권의 확립을 들 수 있다. 왕조의 기틀이 아직 완연히 정비되지 않았던 세종대와는 달리 왕권이 신권을 이미 압도했던 세조대에는 세조 스스로 문무의 조화로운 군주상을 천명하게 될 정도로 정국이 안정되었으며, 때문에 양측면이 융합된 형태로 <보태평>·<정대업>의 내용과 비중이 조정되었으리라는 것이다. 특히 회례악으로서뿐 아니라 <보태평>·<정대업>을 공식적인 종묘제례악으로까지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변개가 필연적으로 요청되었으리라 추정된다. Due to its complexity and extensiveness of Yongbieocheon-ga(Songs of Flying Dragons Through Heavens, 龍飛御天歌), the implications had not been conveyed thoroughly. For that reason, Sejong produced Botaepyeong(保太平) and Jeongdaeeop(定大業) in the attempt to relocate the content of Yongbieocheon-ga in conformity with the area of 'civil virtues(文)' and 'military forces(武)'. Although most part of Botaepyeong and Jeongdaeeop originated from Yongbieocheon-ga, differences existed in two aspects: 'Emphasis on Taejong'; 'Emphasis on the Image of Military Heroism'. In regards to the second aspect, Sejong, particularly, emphasized Jeongdaeeop between the two. That is, the aspect of military forces was keenly articulated among the various accomplishments of the preceding kings. The conflict between the sovereign and the subjects arose as to what was the motivation to establish Joseon Dynasty. The subjects emphasized the active reformation activity of Sinjinsadaebu(新進士大夫) and their introduction of Sung 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Sejong, especially, emphasized the accomplishments and the leadership of the preceding kings that had defeated the attacks from other races(Honggeonjeok(紅巾賊) and Japanese pirates(倭寇)). Therefore, the order of importance had been determined as a form of emphasizing the image of military heroism of the preceding kings-a form that Jeongdaeeop was given prominence to Botaepyeong. However, as Botaepyeong and Jeongdaeeop were used as lyrics on the Jongmyojeryeak(宗廟祭禮樂) in the Sejo period, the variation of contents reappeared. The remaking remained the system of Botaepyeong as it was; whereas, Jeongdaeeop had gone through drastic reduction. The establishment of royal authority in the Sejo period was one of the reasons for these changes. In the Sejo period where the royal authority already overpowered the authority of subjects, the political situation was settled to the extent that Sejo himself preferred the image of sovereign with the harmony of civil virtues and military forces. Therefore, the contents and hierarchy of Botaepyeong and Jeongdaeeop were readjusted to create a balance in both areas of civil virtues and military forces. Especially, these variations were inevitable in Botaepyeong and Jeongdaeeop to be used as lyrics on both Jongmyojeryeak and ceremonial music.

      • KCI등재

        Neuroprotective effects of tannic acid in the postischemic brain via direct chelation of Zn 2+

        김승우,김다빈,김홍석 한국통합생물학회 2022 Animal cells and systems Vol.26 No.4

        Tannic acid (TA) is a polyphenolic compound that exerts protective effects under pathological conditions. The diverse mechanisms of TA can exert beneficial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s. Herein, we reported that TA affords robust neuroprotection in an animal model of stroke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MCAO) and exhibits Zn2+-chelating and anti-oxidative effects in primary cortical neurons. Following tMCAO induc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A (5 mg/kg) suppressed infarct formation by 32.9 ± 16.2% when compared with tMCAO control animals, improving neurological deficits and motor function. We compared the chelation activity under several ionic conditions and observed that TA showed better Zn2+ chelation than Cu2+. Furthermore, TA markedly de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release following acute Zn2+ treatment and subseque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p67 (a cytosolic component of NADPH oxidase), indicating the potential mechanism underlying TA-mediated Zn2+ chela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in primary cortical neur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ti-Zn2+ toxic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participate in the TA-mediated neuroprotective effects in the postischemic brain.

      • KCI등재

        독일 재통일과 유럽통합, 그리고 영국의 경제적 좌절

        김승우 역사문제연구소 2020 역사비평 Vol.- No.133

        This paper analyses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German reunification upon the British economy. In the post-war period, Britain was reluctant on to the European project integration owing to alternatives of the Commonwealth and the Atlantic alliance with the USA. And the City of London took the US dollar for its revival as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 It was not until the late 1980s when the City and Britain accelerated their paths towards European integration. However, the German reunification frustrated the efforts. In order to appease the Eurosceptic Germans, the City lost the competition to Frankfurt in the race to invite the European central bank. And the entry into the European Monetary System resulted in the exchange crisis of sterling in September 1992. Such experiences galvanised the Euroscepticism in Britain. 본 논문은 독일 재통일이 영국에게 안겨준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다. 전후 독일문제 해결을 위해 추진된 유럽통합에 대해 영국은 주저했다. 영연방과 미국과의 대서양 연합이라는 다른 대안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영국의 금융중심지 런던 시티는 미 달러화를 선택했고 국제금융중심지로 부활하기도 했다. 1980년대 말 시티와 영국정부는 유럽통합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 하지만 유럽공동체 내부에서 독일통일을 추진해야 한다는 명분 앞에 그 노력은 실패했다. 유럽단일통화 자본시장과 유럽중앙은행을 유치하려던 시티는 유럽통합에 회의적인 눈길을 보낸 독일 여론을 달래기 위해 프랑크푸르트에게 양보해야만 했다. 유럽통화제도에 가입했던 영국은 독일의 국내 상황만을 고려한 독일연방은행의 통화정책으로 인해 외환위기를 맞이했다. 정치적 명분 앞에 경제적 희생을 강요받았던 영국의 경험은 유럽회의주의의 씨앗을 뿌리게 되었다.

      • KCI등재

        鮮初 樂章 「儒林歌」 연구

        김승우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is paper is aimed on looking into when and by whom Yurimga(儒林歌)was composed and into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as a court poem(Akjang, 樂章) in former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at most of court poems which praise King Taejo(太祖) were composed in his reign and that Yurimga includes a certain word "the Han River(漢水)", Yurimga, which also commends King Taejo, is highly probable to have been written between 1394 when Joseon Dynasty transferred its capital to Seoul and 1398 when King Taejo vacated his throne. It has been presumed that Yurimga was composed and presented to a king by usual Confucian scholars, but there is little persuasion in it. As many other court poems in this period, it is very plausible that Yurimga was also written by an illustrious official. Jeong Dojeon(鄭道傳) can be presumed to have composed this poem not only because he had presented several court poems including Sindoga(新都歌) in the Korean vernacular in the reign of King Taejo but also because he often applied the style of Goryeogayo(高麗歌謠) to his compositions that is also widely found in Yurimga. Especially, the persona of the poem states in the fifth stanza that he is willing to admire and follow Pang Xuanling(房玄齡) and Du Ruhui(杜如晦), who were both predominant prime ministers in the period of former Tang Dynasty, which can be actually interpreted as Jeong Dojeon's own pledge. Yurimga is divided into four parts according to the contents: The first part from the beginning to the first half of the third stanza praises the dynasty and the king by presenting several propitious omens; the second part to the fourth stanza celebrates the harmonious balance of the royal authority and the power of the retainers; in the fifth stanza, the third part, the persona displays his ideal and pride as a Confucian; Finally, in the last stanza, he calls another young Confucian who has not been yet in government service despite his hard working and shows his promising future in the new dynasty of Joseon. 본고는, 『樂章歌詞』·『時用鄕樂譜』·『樂學便考』에 수록되어 전하는 鮮初樂章 「儒林歌」의 제작시기와 작자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흐름과 특징을 논의함으로써 선초 악장 및 詩歌史의 전개 양상을 보다 정교하게 해명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악곡이 혹사한 「感君恩」과의 관계를 고려하면 「유림가」 제작의 하한연대는 세종24년(1442)으로 확인된다. 한편, 「유림가」는 태조를 칭송한 작품으로서,태조에 대한 악장이 세종 재위 후반기의 것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태조 재위기에 지어졌다는 사실에 착안할 때, 「유림가」 역시 태조연간에 제작되었으며 문면에 漢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그 구체적인 시기는 한성천도 이후인 태조3년(1394)부터 태조7년(1398) 사이로 분석될 수 있다. 「유림가」를 선초의 유생들이 지어올린 것이라는 추정이 있어 왔으나, 선초 악장의 제작 관행으로 미루어 이는 설득력이 약하다. 이 시기의 여타 악장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유림가」 역시 관각문인에 의해 지어졌을 개연성이 높고, 그 유력한 작자로는 鄭道傳이 지목된다. 정도전은 태조대의 악장 제작을 주도한 인사로서 당시로서는 이례적으로 국문악장을 남긴 전력이 있을 뿐 아니라, 「新都歌」·「靖東方曲」 등에 활용된 고려속요 양식이 「유림가」에도 동일하게 발견되기 때문이다. 또한 작품의 내용으로 보아도 『朝鮮經國典』·『經濟文鑑』 등에서 그가 강조했던 신왕조의 핵심 치적들이 「유림가」의 구절로 詩化된 흔적이 역력하다. 특히 역대의 수많은 사표들 가운데 굳이 唐初의 재상 房玄齡·杜如晦를 흠모하며 따르겠다고 직접 표출한 제5장은 정도전 자신의 자기다짐과도 같은 성격을 띤다. 「유림가」는 크게 네 단락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장 전절까지에서는 黃河淸 등 물이 맑아지는 상서를 통해 신왕조와 임금에 대한 송축을 전개하다가,제3장 후절부터 제4장까지에서는 표현을 바꾸어 각각 학과 봉으로 상징되는 신하와 임금 사이의 조화로운 협력 및 국가운영의 기반을 칭송하였다. 이어지는 제5장에서는 화자가 직접 문면에 등장하여 유자로서의 이상과 긍지를 펼쳐보였으며, 마지막 제6장에 들어 또 다른 서생에게로 그러한 유림의 이상을 확대하면서 유생들의 밝은 앞날을 기약하였다. 이러한 단락 구성은 기승전결의 단계에 부합하는데, 각 단계에 정도전의 입장을 투사하여 해석해 보아도 작품전체의 의미가 무리 없이 연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