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팩토리 확산을 위한 비파일시스템(None File System) 기반의 차세대 데이터보호에 관한 연구

        김승용,황인철,김동식,Kim, Seungyong,Hwang, Incheol,Kim, Dongsik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1

        연구목적: 우리나라 최근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loT), 가상현실(VR) 등을 제조 환경에 반영한 스마트공장 도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운영체제 기반의 파일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비파일시스템 기반의 데이터보호 기술을 연구·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운영체제에 의해 식별되거나 제어되지 않는 보안저장부와 디지털 키 값의 입력에 따라 보안 저장부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연구와 BIOS 동작 시 연결을 위한 입출력 정보만 제공하는 제어부를 설정하고 보안 저장부의 활성화에 따라 제2 메타 데이터를 사용한 맵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파일형태의 구조를 연구함. 연구결과: 첫째, 비파일시스템 기반의 보안 저장부의 생성과 데이터 입출력 시 데이터 손상 여부를 샘플 데이터의 해시함수 값과 일반 저장부 및 보안 저장부의 해시함수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음. 둘째, 보안 저장부의 데이터 보호 성능 실험에서는 원본 파일의 해시함수 값과 랜섬웨어 활동 이후의 일반 저장부와 보안 저장부의 해시함수 값을 비교하여 악성코드인 랜섬웨어로부터 데이터 보호 성능을 확인함. 결론: 본 연구는 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업을 통해 기업에 도입되고 있는 정보시스템 내의 중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데이터 보호 기술을 구현하고 실험하였다. 정보보안의 목적인 중요 데이터의 보호를 위해 기존의 저장 개념과 달리 파일 시스템에 비의존적인 비파일 형태의 보안 저장부 생성기술을 구현하였고 그 안전성을 검증하였음. Purpose: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ies that reflec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AI, IoT, and VR, has been actively promoted in Korea. However,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existing file-based operating systems, this research will focus on identifying and verifying non-file system-based data protection technology. Method: The research will measure security storage that cannot be identified or controlled by the operating system. How to activate secure storage based on the input of digital key values. Establish a control unit that provides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based on BIOS activation. Observe non-file-type structure so that mapping behavior using second meta-data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secure storage. Result: First, the creation of non-file system-based secure storage's data input/output were found to match the hash function value of the sample data with the hash function value of the normal storage and data. Second, the data protection performance experiments in secure storage were compared to the hash function value of the original file with the hash function value of the secure storage after ransomware activity to verify data protection performance against malicious ransomware. Conclusion: Smart factory technology is a nationally promoted technology that is being introduced to the public and this research implemented and experimented on a new concept of data protection technology to protect crucial data within the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protect sensitive data, implementation of non-file-type secure storage technology that is non-dependent on file system is highly recommended. This research has proven the security and safety of such technology and verified its purpose.

      • KCI등재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은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

        김승용 ( Seungyong Kim ),임순호 ( Soonho Lim ) 한국화학공학회 201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5 No.3

        본 연구에서는 은나노입자 및 보론나이트라이드의 혼합이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의 경우 열전도도가 보론나이트라이드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에폭시/은 나노입자의 경우는 열전도도가 크게 변화 없었으며 전기전도도는 20 vol%에서 퍼콜레이션 현상을 보여주었다. 퍼콜레이션 함량 이하에서 은나노입자를 고정시키고 보론나이트라이드를 첨가하여 조사한 결과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N (boron nitride) on the thermal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composites. In case of epoxy/BN composites,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increased as the BN contents were increased. Epoxy/AgNP (Ag nanoparticle) nanocomposites exhibited a slight change of thermal conductivity and showed a electrical percolation threshold at 20 vol% of Ag nanoparticles. At the fixed Ag nanoparticle content below the electrical percolation threshold, increasing the amount of BN enhanc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s well as thermal conductivity for the epoxy/AgNP/BN composites

      • KCI등재

        기업보안용 DVR 영상 복구 알고리즘 개발

        김승용(Seungyong Kim),김상욱(Sangwook Kim),황인철(Incheol Hwang)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5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5 No.4

        Many companies are installing the CCTV for security and even small businesses are joining to install it. However, they are not usually able to manage a lot of video data which the CCTV produces. Especially they are more vulnerable to total or part loss of video data by intentional deletion and initialization after various accidents and incidents, and unplanned physical media damage, fire, flood, etc.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recover impaired video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after accidents and to use it for making decisions about future company security. This study proposed both video data recovery algorism based on meta data and data recovery algorithm based on signature detection. It was obtained from the attempt to recover video data in DVR(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produced by IDIS, the leading company in domestic CCTV DVR market.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recover deleted and initialized video data, and even previously saved video data when it was overwritten, by using those algorithms.

      • KCI등재후보

        직무특성이 멘토링 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율성, 직무복잡성 및 직무상호의존성을 중심으로

        최보인(Boin Choi),김승용(SeungYong Kim)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5 경영과 사례연구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멘토링 관계 시작에 앞서 멘토링의 선행 요인들이 멘토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멘토링의 선행 단계에 중점을 두고 선행 요인으로 특정 직무 특성들을 설정하였다. 특정 직무특성들은 자율성, 직무복잡성 및 직무상호의 존성으로 프로테제의 성장욕구, 지식과 정보 탐색의 필요성 및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할 모호성과 스트레스 상황을 유발할 것이라는 논리적 개연성에 근거하여 선정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직원은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프로태제로서 멘토링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들 직무특성들이 멘토링 참여 의지/욕구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실제 멘토링 과정을 통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멘토링의 전통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경력 기능과 사회심리적 기능 이외에 상호 호혜적 관점에서 협력 기능도 추가하여 실증하였다. 일반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해당 직무특성들은 프로테제의 멘토링 참여 의지/욕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테제의 멘토링 참여 의지/욕구는 멘토링 기능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멘토링 참여 의지/욕구와 성과 변수간의 멘토링 기능들의 매개효과는 일부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멘토링 기능들은 연구에서 포함된 대부분의 성과 변수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링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개인적 특성 위주의 선행변수를 검증한 반면, 본 연구는 환경적 변수라고 할 수 있는 직무특성 요인들을 멘토링 참여의지 및 욕구의 선행변수로 설정하여 실증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면적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 모형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보다 상세한 이론적/관리적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The model draws upon resear ch from diverse literature to examine whether the task characteristics as the antecedents of the mentoring influence employees needs/willingness-to-protégé and outcomes through the mentoring functions. Task characteristics selected in this study are autonomy, task complexity and task interdependence. These variables were selected by likelihood to seek help from others for growth needs,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solving problems to perform their tasks. With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the corporations, we analyzed the r elations between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all the task char acteristics were the better predictors of the willingness-to-protégé, and willingness-to-protégéproduced the significant effect on mentoring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typycial mentoring fuctions, collaboration was also measured and tested. In the analysis of mediator between task characteristics and mentoring functions, willingness to be a protege was found to mediate the task interdependence and collaboration relation. The effects of the functions on the outcomes were mostly supported. This study represents one of the first attempts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for task characteristics but longitudinal study of this model is necessary for further rsearch. The further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more discussed.

      • 지열원 히트펌프 열풍건조기 개발

        박성찬(Sungchan Park),박승태(Seungtae Park),김승용(Seungyong Kim),김동욱(Dongwook Kim),박은규(Eungyu Park),김영일(Young Il Kim),오상민(Sangmin Oh),금종수(Jongsoo Kum) 대한설비공학회 2016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1

        Geothermal heat pump type hot air dryer is being developed. For drying temperature 40~70℃, drying factor becomes 1.8 kg/kWh which is about 2.6 times greater than that of electric heater type dryer, for all year round. Further more, additional function of geothermal heat pump type hot air dryer like cooling and heating by ground loop water, can improve the economic efficiency of ground couple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